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0 No.2 pp.19-34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2.10.2.19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Simulation Education with Standardized Patients
간호대학생의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경험

Yeon ja Kim1*, Kyung Hwa Jung2
1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ongseo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Taegu Science University

김 연자1*, 정 경화2
1동서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2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이 논문는 2020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기본연구지원사업(NRF-2020R1F1A1065585)과 2020년도 한국간호 시뮬레이션학회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Corresponding Author: Kim, Yeon ja Department of. Nursing, Dongseo University, Pusan, Korea, Department of. Nursing, Department of. Nursing, Tae Gu Science University, Daegu, Korea Tel: +82-51-320-2872, E-mail: yakop1052@gdsu.dong.ac.kr
20220422 20220520 20220806

Abstract


Purpose: This was a qualitative study us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ssential meaning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simulation education with standardized patients. Methods: This study’s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6 senior employees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two universities. They had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simulation education with standardized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December 31, 2021,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1978)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After analyzing the meaning of simulation experiences with the standardized patients, 101 meaning formations were deduced. From this, 13 theme, 4 theme clusters and 2 categories—effective lesson, tasks to solve. Conclusion: Simulation with standardized patients is a recent approach that has been actively applied in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colleges.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students’ experiences with standardized patients and analyzed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simulation education content with standardized patients is developed. This can be achieved by optimizing the advantages of standardized patients with various clinical cases in other subjects besides psychiatry.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빠르게 변하는 보건의료 및 정보통신의 발달과 다 양한 질병의 복잡성과 증가로 인해 임상 환경도 빠 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간호학 또한 매우 도전 적이고 복잡한 전문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학문이 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 발맞춰 나가기 위해 간호사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간호 제공에 필요한 최 신 전문지식을 학습해야 하고 이를 기반으로 숙련된 간호수행능력을 갖추어야 한다(Eom, Kim, Kim, & Seong, 2010). 따라서 간호교육은 간호대학생들 에게 교육을 통한 지식 전달뿐 아니라, 기술의 습득 이 실무에서도 잘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하다(Oh, Kim, & Park, 2020). 간호교육의 목표 는 간호학과 교육과정의 이론과 교내실습, 및 임상 실습에서 배운 내용을 통합하여 졸업 후 임상현장에 서 간호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간호수행능력을 갖춘 전문직 간호사를 배출하 는 것이다(Kang et al., 2016). 이를 위해 질 높은 임상 실습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환자의 권리장 전에 대한 의식 향상과 병원의 고객 중심 서비스 지 향이 강화되어 간호대학생의 직접 간호에 참여할 수 있는 횟수는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직접 환자를 대상 으로 간호할 기회가 줄어들어 관찰 위주의 실습을 하는 실정이다(Kim, Kim, & Moon, 2017;Shin et al., 2017).

    간호학생은 교과과정 중 임상 실습에 많은 스 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이론과 임상현장의 격차로 불안과 긴장을 느끼고 육체적·정신적 피로와 자존 감 저하, 두려움 등을 경험하고 있다(Kim & Park, 2018). 또한 효율적인 임상 실습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완 적인 방법으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이 강조되고 있고(Kim & Jung, 2021), 간호학생들 에게 통합적인 상황 판단과 문제해결을 위한 통합실 습 환경을 구축하고 시뮬레이션 교육을 활용하는 교 육기관이 증가하는 추세이다(Hur & Song, 2015).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한 간호대학 간호교육 인 증평가에서는 전체 임상 실습시간에서 임상 현장 실 습을 대체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실습 인정 비율을 증가시켰고, 수업에 활용한 결과를 요구함으로써 시 뮬레이션에 관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7).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임상환경과 유사한 상 황에서 환자 사례를 경험하도록 하여 임상 상황에서 발생 가능한 환자 사례를 시나리오로 제시한다. 이 는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모달리 티(modality)를 활용하여 문제상황을 해결하도록 하고 수행 후 그 과정에 대한 디브리핑을 통해 간호 지식과 비판적 사고 및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Lee, 2017). 시뮬레이션 교육의 대표적 기반은 고충실도(high fidelity) 시뮬레이터 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며 이는 학생들에 게 실제 임상 현장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간호사처럼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는 시뮬레이터 모 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이다(Kim, 2014). 그러나 고가의 시뮬레이터를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표준화 환자(Standardized patient: SP)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잘 훈련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 여 실제 상황처럼 설정된 학습 환경 속에서 실제 환 자처럼 연출된 표준화 환자에게 접근하여 문제해결 을 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교육으로 임상과 관련된 간호지식과 기술을 함양하기에 적합한 교육방법으 로 추천되고 있고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이 증진되어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임상술기 능력 및 학습만족도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 고 있다(Bak & Kim, 2018;Kim & Yoon, 2018;Tuzer, Dinc, & Elcin. 2016). 표준화 환자를 활용 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임상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증 진시키고, 비판적 사고와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Cho, 2015) 뿐만 아니라, 임상 실습의 제한점과 실 무중심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을 습 득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으로 정신간호영역, 혹 은 지역사회간호영역에서 효율적인 실습교육을 제 공하기 위해 주로 활용되고 있다(Kim & Kim, 2014;Park & Kweon, 2012). 또한 지식습득, 비 판적 사고성향의 향상, 기술,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와 임상수행능력 및 학습만족도에 효과적이라고 보 고되고 있으며(Bak & Kim, 2018;Oh, Jeon, & Koh, 2015),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또한 향 상되어(Shim, Son, & Ji, 2017)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교육적인 목적에 따라 시기를 구애받지 않으 며 다양한 임상상황을 만들어 훈련할 수 있고 질병 단계의 스펙트럼을 넓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사례 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Cho et al., 2019). 가장 큰 장점으로는 시뮬레이터로 구현 하기 어려운 환자의 표정이나 실제와 유사한 복잡한 상황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국내외 표준화 환자 관련 연구를 살펴 보면 실습교육에 대한 효과 검증 연구가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으나 양적 연구가 대부분으로 교육에 참 여한 학생들의 실습교육의 주관적 경험을 이해하고 자 시도된 질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시뮬 레이션 교육에 표준화 환자를 활용함으로써 교수자 의 교육평가와 학생들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본질적 경험 탐색을 기반으로 하는 현상학적 질적 선행연구 의 부재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현상학 연구는 참여자의 특정 경험에 대한 진술에서 의미를 지닌 단위들을 구별하여 의미 단위들을 학문적 용어로 전 환하고 분류하여 경험의 구성요소를 밝혀내고, 합성 과정을 거쳐서 경험에 대한 미시적 이론을 구성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이 생각하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인식의 경험 적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 육을 받은 간호대학생들의 다양한 경험을 질적 주제 분석 방법을 통하여 탐색하고 경험의 본질적인 것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 환 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경험적 본질을 밝히 는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 뮬레이션 교육 경험의 본질적 의미 탐색을 위해 현 상학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질문은 ‘간호대학생의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 육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2. 연구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대구시의 한 개 대학과 부산 시의 한 개 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으로 학과 내 교 육과정에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으로 운영되는 교내실습 교과목을 한 번이라도 이수한 경 험이 있는 학생 중 대학별로 10명, 6명을 편의 추출 하였다. 참여자 추출은 눈덩이 표집 방법을 사용하 였다. 처음 인터뷰 대상자는 시뮬레이션 담당 교수 의 추천을 받아 참여자 면담을 진행하게 되었다. 연 구참여자들의 특성은 모두가 간호학과 4학년으로 나이는 23~32세이며 종교는 불교 2명을 제외하고 종교가 없었다. 간호학과 학생들이 2학년부터 교내 실습을 시작으로 3학년 시기에 임상 실습을 경험하 는 일반적인 흐름에 따라 참여자들은 3학년 때부터 임상 실습을 경험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참여 횟수는 평균 2~3회로 확인되었다(Table 1).

    3.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기관윤리위원회 승인(1041493-A- 2021-0005)을 득한 후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 기 간은 2021년 6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진 행되었다. 인터뷰는 연구자가 연구에 대한 사전 설 명 후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참가자의 경 우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1시 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였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인 터뷰 내용은 녹음되며 연구로 인해 얻게 된 모든 정 보는 컴퓨터에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연구종료 후 완 전히 삭제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인터뷰는 심층 면담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자의 표정이나 몸짓 등 비언어적인 표현도 살펴보면서 진행되었다. 구체적 인 면담 질문은 “당신이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 레이션을 경험한 적이 있나요?”, “표준화 환자를 활 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적이 있다면 어떠했 는지에 대해 말씀해주시겠습니까?”, “표준화 환자 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에 참여하면서 당신은 무엇을 느꼈나요?”, “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에 참여한 후 나에게 변화가 있었다면 어떤 것이 있었 을까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에 참 여한 것이 나에게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다면 무엇 이었을까요?”, “일반적인 시뮬레이션 수업과 차이 가 있다면 어떤 다른 점이 있었다고 생각하나요?” 등의 개방형 질문으로 인터뷰하였다. 인터뷰는 조용 하고 주변인으로부터 방해받지 않는 장소에서 이루 어졌으며 주로 빈 강의실이나 카페, 코로나19의 확 산으로 면대면 면담이 어려울 시에는 줌(Zoom)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4. 연구자 준비

    본 연구자들은 참여자의 경험 진술의 본질을 파악 하기 위하여 대학원 석·박사과정 중 현상학적 연 구, 문화기술지, 근거이론 연구 수업을 이수하였으 며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터뷰 기술과 분석력을 키웠다. 관련된 학회에 참가하여 학문적 교류와 연구력을 향상하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오 고 있으며 여러 차례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 다. 질적 연구의 숙련도를 확보하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오고 있다.

    5. 자료분석

    자료 분석은 인터뷰 당일부터 시작하였으며 인터뷰 후 녹음된 내용을 들으며 필사를 진행하였다. Colaizzi 방법은 개인적 속성보다는 전체 연구참여자의 공통적 인 속성을 도출해내는 데 의의가 있다(Kim, et al., 1999). 자료 분석은 Colaizzi (1978)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우선 참여자의 진술을 반복 해서 읽으면서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어 줄 단위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 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반복해서 보면서 중복되 는 진술들은 배제하고 추상적인 진술로 만들어 의미를 재구성(general restatement)하였다. 이로부터 구 성된 의미(formulated meaning)를 끌어냈다. 연구 자들의 합의를 거쳐 도출된 의미를 주제(theme), 주제 모음(theme cluster), 범주화(category)하였으며 분 석된 자료를 본질적 주제를 따라 총체적으로 최종 기술하는 과정으로 마무리하였다. 자료 분석은 인터 뷰 당일 저녁부터 분석을 시작하였다. 자료는 포화상 태가 확인될 때까지 하였으며 같은 내용이 확인되는 시점을 포화상태로 정하였다.

    6. 타당성 확보

    연구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Lincoln과 Guba (1985)의 평가 기준에 따라 연구의 엄밀성을 확보하 였다. 신뢰성(credibility) 확보를 위해 분석된 자료 와 원자료를 해석하고 반복해서 읽음으로써 순환적 검토를 하였으며 연구자들의 개인 성향이 개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전이성(transferability)을 확 보하기 위해 참여자와의 면담 시 구체적인 질문을 하여 깊이 있는 면담을 유도하였고 포화상태까지 진 행하였다. 의존성(dependability)을 확보하기 위해 자료 분석과 해석을 Colaizzi (1978)의 현상학적 분 석 방법에 따라 충실하게 분석하였다. 확실성 (confirmability) 확보를 위해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배제하기 위해 ‘판단 중지’를 통해 연구자의 선 경험 을 배제하려고 노력하였다.

    Ⅲ. 연구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경험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101개의 의미 있는 진술에서 76개의 의 미구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로부터 13개의 주제와 4 개의 주제 모음, ‘효과적인 수업’, ‘해결해야 할 과제’ 의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Table 2).

    범주 1. 효과적인 수업

    ‘효과적인 수업’의 범주는 ‘몰입되는 수업’, ‘성장 하는 나를 발견’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1) 몰입되는 수업

    ‘몰입되는 수업’에 포함된 주제는 ‘실제 환자를 대 하는 느낌’, ‘수업에 대한 기대감에 설렘’, ‘수업에 재 미를 느낌’이다.

    첫 번째 주제로 ‘실제 환자를 대하는 느낌’의 주제 에 포함된 의미구성은 ‘환자와의 소통을 통해 건강 문제의 우선순위 찾기가 수월함’, ‘표준화 환자와 대 화를 통해 설명력이 향상됨’, ‘표준화 환자가 실제 환 자처럼 느껴질 때 몰입감이 올라감’, ‘실제 환자와 의 사소통하는 것 같은 느낌’, ‘임상 현장과 같은 생생한 경험’, ‘간호사가 된 것 같은 느낌’, ‘모형의 한계를 벗어남’,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함’, ‘환자로부터 실제적인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환자를 대하는 태도 를 익힘’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표준화 환자와 의 만남을 통해 그동안 시뮬레이터와의 시뮬레이션 수업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웠던 실제 환자의 느낌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자 같은 실제 사람을 접 함으로 인해 기계적 장치를 통해 관찰할 수 없었던 표정이나 몸짓과 같은 비언어적인 표현을 알아챌 수 가 있었고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가능해져 실제 임상 현장처럼 느꼈다고 진술하였다.

    “생생한 환경에서 실감 나게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어요. 표준화 환자 역할을 맡으신 분이 너무 실제 환자처럼 연기를 하셔 서 당황할 정도로 현장감이 있었어요. 그 상황 에 빠져들게 되었어요. 긴장도 많이 하고 굉장 히 당황했어요. 내가 간호사로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를 생각하게 되었어요.”(참여자 12)

    두 번째 주제로 ‘수업에 대한 기대감에 설렘’에 포 함된 의미 구성은 ‘능력을 보여 줄 기회라는 생각에 흥분됨’, ‘더 많은 시뮬레이션 수업을 받고 싶음’, ‘나 자신의 다양한 면을 발전시킬 기회’, ‘임상에 도움이 되는 수업이라는 확신’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강의식 수업에서 느낄 수 없는 흥미로움이 시뮬레이 션 수업에서는 있다고 진술하였으며 실제 환자와 유 사한 표준화 환자를 대하며 마치 간호사로서 한 단 계 준비가 된 느낌이 들었다고 진술하였다. 또한 환 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평소 드러나지 않던 자신의 장점을 발견하였다고 하였으며 표준화 환자와 함께 하는 시뮬레이션 교육을 더 많이 받지 못해 아쉽다 고 진술하였다.

    “표준화 환자의 상황 몰입도가 높다 보니 함께 상황에 몰입하여 실습을 진행할 수 있었던 점 이 일반적인 시뮬레이션 수업과의 차이점이라 고 생각합니다. 처음에는 상황이 당황스럽고 정 신이 없었는데 수업을 할수록 저 자신이 문제 에 대처하는 게 빨라지고 당황스러운 것도 덜 해졌습니다. 다음 수업에는 또 어떤 걸 하게 될 까? 기대되고 이론 수업에서 못 느꼈는데 시뮬 레이션 수업은 정말 기대됩니다.”(참여자 4)

    세 번째 주제로 ‘수업에 재미를 느낌’에 포함된 의 미 구성은 ‘문제상황이 실제같이 뚜렷이 나타남’, ‘적 극적인 참여로 집중하게 되는 수업’, ‘즐거운 수업이 라 성실히 참여함’, ‘우리가 해결해 가는 재미’, ‘소통 하는 즐거움’, ‘친구들과 함께하는 즐거움’, ‘교과목 에 관심이 생김’, ‘팀에 도움이 되기 위해 열심히 노 력함’, ‘가장 기억에 남는 수업’, ‘실습을 좋아하게 된 동기가 됨’, ‘해답을 찾아가는 즐거움’, ‘익숙한 수업 에서 벗어남’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그동안 이 론적으로 배워왔던 문제상황이 표준화 환자를 통해 눈앞에서 표현됨으로 인해 수업에 흥미를 느끼게 되 었다고 진술하였다. 그 문제상황에 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친구들과 함께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즐 겁다고 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기존의 받아오던 수 업방식과 차별화되어 있으므로 즐거운 수업이라 느 꼈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고 진 술하였다. 또한 가장 기억에 오래 남는 수업이었고 내가 팀을 위해서 잘해야 한다는 부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고 진술하였다.

    “제가 열심히 하지 않으면 팀에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들어가기 전까지 자 율실습도 하고 시뮬레이션에서 어떻게 할지 사 전 연습도 해보고 수업 전에 준비를 정말 열심 히 했어요. 그렇게 하고 시뮬레이션에 들어가 게 되면 좀 더 잘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팀 에 피해를 주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열심히 한 것 같아요.”(참가자 4)

    2) 성장하는 나를 발견

    두 번째 주제 모음으로 ‘성장하는 나를 발견’은 ‘자신의 부족에 대한 직면’, ‘생각의 전환’, ‘문제해결 능력의 성장’, ‘의사소통 실력의 향상’, ‘ 리더십의 성 장’의 주제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주제로 ‘자신의 부족에 대한 직면’에 포함 된 의미구성은 ‘성장을 가져오는 디브리핑’, ‘실력의 부족함을 느껴 좌절을 경험함’, ‘환자의 처지를 이해 하기 시작함’, ‘다른 팀의 모습을 교훈 삼아 성장함’, ‘소통의 중요성을 몸으로 체험함’, ‘환자의 처지를 이 해하게 됨’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자신 팀의 성 과를 기대하고 적극적으로 문제 상황에 참여하였으 나 좌절을 경험하면서 다른 팀의 잘한 점을 주의 깊 게 관찰하기도 하고 교수자의 디브리핑을 통해 자신 의 부족에 대해 성찰하는 계기로 삼기도 하였다.

    “저는 처음 시뮬레이션에 들어갔는데 표준화 환자가 진짜 사람이면서 실제 환자 같아서 놀 랐어요. 환자는 그 상황에서 힘들어하니까 마 음이 조급해지고 제가 뭘 해야 할지 생각나는 것이 없었어요. 정말 더 열심히 준비해야겠구 나 싶어서 그다음부터는 자율실습을 열심히 하 게 됐어요.”(참가자 10)

    두 번째 주제로 ‘생각의 전환’에 포함된 의미 구성 은 ‘소극적에서 능동적으로 변함’, ‘긍정적인 태도로 의 변화’, ‘임상에 대한 두려움 해소’, ‘바뀐 나를 경 험함’으로 나타났다. 주어진 짧은 시간 동안 문제를 해결해야 할 상황 앞에 놓인 참여자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태도를 변화시켰고 변화된 자신을 발견하게 되면서 자신감을 얻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뮬레이션에 들어가면 적극적으로 될 수밖에 없어요. 가만히 있다 보면 시간이 다 지나가 버리고 우리는 아무것도 환자에게 한 게 없게 되거든요. 그래서 저라도 빨리빨리 뭐라도 하 려고 애를 쓰게 되는 것 같아요.”(참여자 1)

    세 번째 주제로 ‘문제해결 능력의 성장’에 포함된 의미구성은 ‘우선순위를 알게 됨’, ‘상황을 전체적으 로 볼 수 있는 힘’, ‘해결 방법을 찾아감’, ‘피드백은 성장의 터닝포인트’, ‘처치에 필요한 의료장비를 익 힐 수 있음’, ‘몸이 기억하는 기본간호술기’, ‘ 참여 횟수가 늘어날수록 빨리 해결함’으로 나타났다. 참 여자들은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통합적 사고력, 기본간호술기, 의료장비 습득력 등의 성장을 경험하 고 있었다. 기본간호술기에 대해서는 확실히 내 것 이 된 것 같다는 진술을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변화 는 시뮬레이션에 참여 횟수가 늘수록 향상된다고 믿 고 있었다.

    “시나리오를 보고 팀원들과 함께 어떠한 상황 이 발생할지 예상해보고 그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었는데, 표준화 환자의 V/S, 통증의 정도, 연기력 등으로 예상했던 것을 벗어나는 상황이 발생할 때가 있었어요. 그럴 때 당황하지 않고 팀원들과 협업하여 차분하고 빠르게 대처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었고, 다음 시나리오의 상황 에서는 어떻게 대처할지를 고민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어요.”(참여자 15)

    네 번째 주제로 ‘의사소통 실력의 향상’에 포함된 의미 구성은 ‘환자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두려움 해 소’, ‘임기응변의 능력이 생김’, ‘소통의 방법을 몸으로 익힘’, ‘SBAR(Situation-Background-Assessment- Recommendation)훈련으로 의사소통의 수준이 향 상됨을 느낌’으로 나타났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에서는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므로 참여자들은 의사소통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직접 환자와의 대화를 경험한 후 줄어들었다고 진술하였 다. 또한 SBAR 훈련으로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 에 대해 방법을 배우게 되어 당황하던 것이 줄어들 었다고 진술하였다.

    “표준화 환자는 직접 환자와 얘기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아요. 환자에게 직 접 물어볼 수 있고 그보다도 표정이나 감정도 전달되니까 환자의 문제를 알아차리는 게 가능 해 수업 때 의사소통 연습을 많이 하려고 노력 했어요.”(참여자 4)

    다섯 번째 주제로 ‘리더십의 성장’에 포함된 의미 구성은 ‘협력의 중요성을 깨달음’, ‘리더십의 중요성 을 느낌’으로 나타났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 레이션에서는 팀 접근으로 문제해결을 해나가는 과 정을 밟게 되므로 협력의 중요성을 실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자들은 이를 통해 리더십이 성장하 였다고 진술하였다.

    “시뮬레이션은 혼자 잘해봐야 소용이 없어요. 팀으로 하니까 부담도 되었지만 협동이 얼마나 중요한지 배운 것 같아요.” (참가자 15)

    범주 2. 해결해야 할 과제

    ‘해결해야 할 과제’ 범주의 주제 모음은 ‘적응과정 에서의 어려움‘, ’철저한 사전수업 준비‘이다.

    1) 적응과정의 어려움

    첫 번째 주제 모음에 포함된 주제는 ’적응의 시간 이 요구됨’, ‘낯섦에 대한 극복’, ‘성장에 대한 부담’ 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주제로 ‘적응의 시간이 요구됨’에 포함된 의미 구성은 ‘스스로 생각하고 고민해야 해결되는 상황’, ‘강박감 속에 내몰림’, ‘직접 행동으로 보여줘 야 하는 부담’, ‘과제의 버거움’, ‘일찍부터 배우고 싶 음’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주제로 ‘낯섦에 대한 극 복’에 포함된 의미 구성은 ‘실제 같은 현장감으로 당 황함’, ‘해결 방법을 찾아감’, ‘생소한 수업방식으로 인해 당황함’, ‘표준화 환자의 생생한 연기에 당혹감 을 경험함’, ‘익숙해지기 전에는 힘들고 무서움’, ‘수 업에 익숙해진 후부터 재미를 느낌’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처음 시뮬레이션에 노출되었을 때 문제 상황 앞에서 당황하고 뭔가 행동을 해야 하는 것에 부담감을 느꼈다고 진술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가면서 노출되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인해 그 부담이 줄어드는 것을 경험하였다.

    “처음에는 상황이 당황스럽고 정신이 없었는데 수업을 할수록 저 자신이 문제에 대처하는 게 빨 라지고 당황스러운 것도 덜해졌어요.”(참여자 4)

    세 번째 주제로 ‘성장에 대한 부담’에 포함된 의미 구성은 ‘표준화 환자에게 대처할 수 있는 순발력이 요구됨’, ‘적극적인 태도가 요구됨’, ‘맞지 않는 팀원 과의 만남’, ‘차이 나는 역량’, ‘평가에 대한 부담’, ‘설 명이나 의사소통에 비중이 커짐을 느낌’으로 나타났 다. 참여자들은 단기간에 급속한 성장이 요구된다고 느끼고 있었다. 주어진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부족을 실감하면서도 좌절하고 포기할 수 없 다고 느끼고 있었고 특히 팀별 접근이다 보니, 팀원 간의 역량의 격차로 힘들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가를 받아야 하므로 맞지 않는 팀원과도 소통해야 하는 부담이 있지만, 그로 인해 성장의 계기를 맞이 하는 것 같다고도 진술하였다.

    “재밌음과 동시에 여러 방면에서 매우 부족하 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단편적인 부분만 보 고 간호를 시행했었지만, 사실 그 행위를 왜 하는지에 대한 근거가 부족했었고, 조금 더 기 준을 확실히 세우고 간호를 진행했으면 어땠을 까 하는 아쉬움도 있었어요.”(참여자 10)

    2) 철저한 사전수업 준비

    두 번째 주제 모음 ‘철저한 사전수업 준비’에 포함 된 주제는 ‘강조되는 표준화 환자 훈련’, ‘사전수업 준비의 중요성’이다.

    첫 번째 주제는 ‘강조되는 표준화 환자 훈련’으로 이에 포함된 의미 구성은 ‘표준화 환자의 일관성 있 는 표현’, ‘의학적 지식이 없는 일반인일 때 더 실재 감을 느낌’, ‘표준화 환자의 현실감 있는 연기가 중요 함’, ‘표준화 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실력이 향 상됨을 느낌’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표준화 환 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특히 여러 팀이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에 참여해야 하므 로 표준화 환자의 일관성 있는 표현에 대해 중요하 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참여자들은 표준화 환 자의 실감 나는 연기에 의해 임상 상황에 대한 실제 적인 느낌을 강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나리오를 위해 필요한 부분만 표준화 환자분 들이 말씀해주시기 때문에 다른 것을 물어보고 의사소통을 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존재했어 요. 아는 것만 대답해주시고, 정해진 것만 물어 보는 점이 약간 아쉬웠던 것 같아요.”(참여자 6)

    두 번째 주제로 ‘사전수업 준비의 중요성’에 포함 된 의미 구성은 ‘현장감 있는 시나리오 개발이 중요 함’, ‘세밀화된 시나리오가 요구됨’, ‘배경지식의 부 담으로 좌절감을 경험함’, ‘전문적인 지식의 중요성 을 알게 됨’, ‘침습적 처치의 제한 대처가 요구됨’으 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시뮬레이션의 성공 여부는 표준화 환자의 사전의 철저한 준비뿐만 아니라, 시 뮬레이션 환경에 대한 준비, 검증된 모듈 등 사전에 점검해야 할 것들이 준비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진술 하였다. 표준화 환자와의 소통에 허점이 발견되면 몰입도가 떨어진다고도 진술하였다.

    “처음에는 몰랐는데 시뮬레이션을 하면 할수록 저 자신이 준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어 요. 사전학습과제가 많아서 부담되기도 하였지 만, 열심히 준비할수록 수업에 더 몰입할 수 있었어요.”(참여자1)

    Ⅳ. 논 의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 중 표준화 환자를 활용 한 시뮬레이션에 참여 경험이 있는 학생 16명을 대 상으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에 참여 경 험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1개의 의미 있는 진술에서 76개의 의미구성을 도출하였으며 이 로부터 13개의 주제와 4개의 주제 모음, 2개의 범주 가 도출되었으며 ‘효과적인 수업’, ‘해결해야 할 과 제’로 명명하였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의 첫 번째 범주는 ‘효과적인 수업’이다. 이 범주에는 ‘몰입 되는 수업’과 ‘성장하는 나를 발견’의 주제모음이 속 해 있는데 학생들은 표준화 환자를 처음 접했을 때 움직임이 제한되어 누워있던 기계적 장치와는 달리 실제 사람을 환자로 만나게 되어 당혹감을 느꼈다고 진술하였다. 표준화 환자가 실제 환자와 매우 유사 하고 이러한 상황을 마주하고 보니 마치 자신이 간 호사가 된 것 같은 생각이 들었고 환자를 위해서 뭐 라도 해야겠다는 부담감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 었으며 표준화 환자와 소통을 마음껏 할 수 있어 소 통에 대한 두려움도 줄어들었다고 진술하였다. 이러 한 경험은 학생들이 수업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 으며 시뮬레이션에 참여 횟수가 증가할수록 몰입도 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는 Yun와 Kang (2021)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시나리오가 진행될수록 참여자들이 점차 상황에 몰 입되어갔으며 병원과 유사한 환경에서 표준화 환자 의 상태변화를 보면서 실제 환자처럼 인식하고 환자 의 여러 가지 요구에 대응하면서 상황에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k와 Kim (2018)의 연구에서도 표준화 환자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실습 몰 입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성장하는 나를 발견’의 주제모음에서는 학생들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부족을 발견하고 생각의 전환을 통해 자신을 지지해나가며 문제해결 능력뿐 아니라, 의사소통 능 력과 리더십의 성장을 경험하면서 자신감이 향상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Kim 와 Lee (2018)의 연구에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해 당 뇨병 환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교 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이 의사소통 능력뿐 아니 라, 비판적 사고성향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m과 Park (2018)의 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연구에서도 시뮬레이션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이 문제해결능력, 치료적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임상 수행 자신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후로 임상 실습에까 지 연결되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우 의미 있는 연구 결과로 시뮬레이션 교육이 임 상 실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 인하게 된 좋은 연구 결과라 할 수 있겠다. Chang, Cassalia, Warunek와 Scherer (2018)의 연구에서 도 시뮬레이션 교육 후 학생들의 관련 지식과 술기 능력의 향상으로 인해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chmidt, Nauta, Patterson와 Ellis (2019)는 표준화 환자를 훈련해 학생들과의 의사소통 내용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신 념과 어긋나는 말을 환자가 했을 때 불편감을 느낀 다는 것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 한 시뮬레이션은 의사소통 훈련에서 강점을 나타내 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주로 정신간호학 교과목에 서 활용되는 예가 많다.

    두 번째 범주는 ‘해결해야 할 과제’이었다. 이 범주 에는 ‘적응과정의 어려움’과 ‘철저한 사전수업 준비’ 의 주제모음이 속해 있다. 학생들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마주했을 때 우선 실제 환자와 유사한 표준화 환자를 보고 당황스러움을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처음 표준화 환자를 활용 한 시뮬레이션을 접하는 학생들에게는 낯섦을 극복 할 수 있는 기다림이 요구되며 시뮬레이션이 효과적 으로 학생들에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이런 학생의 적 응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저한 사전수업 준비’ 주제모음에서는 표준화 환자의 실재감이 시뮬레이션의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시뮬레이 션 환경 및 표준화 환자의 사전수업 준비가 중요하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에 대한 사전 준비 는 시뮬레이션에 참여하게 되는 학생들에게도 매우 중요하게 요구되는 내용으로 지식이 어느 정도 갖추 어졌을 때 실습 후 만족감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an, Kim와 Chung (2019)의 연구에서 도 유사한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표준화 환자의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결과에서 표준화 환자의 자연스러움에 대해 학생들이 높은 점 수를 부여하였고 특히 소통이 원활했을 때 높은 점 수를 부여하였다. 이는 실제 환자처럼 잘 재현해 줄 수 있도록 표준화 환자 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 타내며 표준화 환자의 진정성이 실제 환자일지 모른 다는 현실감으로 다가올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되어 야 함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해 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었 다. 표준화 환자가 실제 환자처럼 보이는 현실감으 로 인해 학생들은 시뮬레이션에 몰입할 수 있었으며 의사소통과 공감 능력 향상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 임상 간호 사들이 현장에서 환자와 얼마나 많은 소통을 해야 하는지를 생각할 때 간호대학생들에게 의사소통을 훈련하는 시간이 턱없이 부족한 것은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현실적인 문제이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 해 이러한 기회를 제공한다면 앞으로 학생들이 임상 현장에 나갔을 때 간호사로서 환자와의 라포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 이션에 참여한 경험이 한 번이라도 있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므로 시 뮬레이션 운영 직후에 자료수집이 되지 않아 학생들 의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기에 부족한 자료라 할 수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 중에서도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간호대학생들의 참여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 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학습 방법은 환자와의 상호작용과 실제적인 간호의 수행 과정 등, 학생들에게 매우 현실적 체험으로 경험되 어지고 있으며 새로운 교수-학습전략으로서 매우 훌륭한 학습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이라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실습경험, 성찰, 디브리핑이 통합된 교육과정 이 지식수준을 향상, 보유시켜 임상 현장으로의 전 이를 촉진하는 표준화 환자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현 재 주로 활용되고 있는 정신 혹은 지역 교과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과목에서 임상 사례를 기반으로 하 는 표준화 환자 적용 시뮬레이션 교육 콘텐츠를 개 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특히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제 간호 수행이 미흡한 부분에 대해 학생들의 임상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표준화 환자 프로그램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필요하 고, 그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환의 표준화 환자 사례 를 이용하여 근거 기반 맞춤형 중재 경험에 관한 연 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 학생들의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경 험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는 시뮬레 이션 실습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 초자료로 활용하여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는 시뮬레 이션의 장점을 더 많이 발견하고 임상 현장이 시뮬레 이션 실습에서 현실감 있게 구현되어 질 높은 시뮬레 이션 교육이 학생들에게 제공되기를 기대해본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sis Results

    Reference

    1. Bak, Y. G. , & Kim, T. K. (2018).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a standardized patients for schizophrenia nursing care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6), 437-447.
    2. Chang, Y. P. , Cassalia, J. , Warunek, M. , & Scherer, Y. (2018). Motivational interviewing training with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for prescription opioid abuse among older adults.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55(4), 681-689.
    3. Cho, A. R. , Kim, J. H. , Ko, D. R. , Chung, H. S. , Shin, Y. S. , Kim, J. H. , & Cho, J. H. (2019). The effect of lecturing about communication skill with standardized patient for medical students. Health Communication, 15(1), 11-16.
    4. Cho, H. Y. (2015).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respiratory pati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clinical skil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health related department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3), 2100- 2108.
    5. Colaizzi, F. U.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In R. S.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 Eom, M. R. , Kim, H. S ,. Kim, E. K. , & Seong, K. Y. (2010).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0(2), 151-160.
    7. Han, E. R. , Kim, S. , & Chung, E. K.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udents' assessment of standardized patients and patient‐ physician interaction scor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1(3), 150-154.
    8. Hur, H. K. , & Song, H. Y. (2015). Effects of simulation- based clinical reasoning education and evaluation of perceived education practices and simulation design characteristics by students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3), 206-218.
    9. Kim, B. H. , Kim, K. J. , Park, I. S. , Lee, K. J. , Kim, J. K. , Hong, J. J. , et al. (1999).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of Nursing, 29(6), 1208-1220.
    10. Kim, E. J. (2014).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ment skills in simulation: Using trainer’s clinical judgment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0(2), 212-222.
    11. Kim, E. J. , Kim, Y. J. , & Moon, S. M. (2017).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meaning, response, and effective methods for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1), 51-59.
    12. Kim, H. J. , & Park, I. H. (2018). Effects of simulation- based practice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on novic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6(1), 13-24.
    13. Kim, S. O. , & Kim, H. S. (2014). Effects of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using simulated pati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self-efficacy, satisfaction of learn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2), 396-408.
    14. Kim, Y. A. , & Yoon, S. (2018).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al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1), 125-140.
    15. Kim, Y. J. , & Jung, K. H. (2021). Experience of blended simulation education emphasizing health assessment. Journal of Healthcare Simulation, 5(2), 33-41.
    16.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7, February 20).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a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Retrieved February 20, 2017, from http://kabone.or.kr/HyAdmin/view.php?bbs_id=kab01&doc_num=560.
    17. Lee, O. S. (2017). The effects of simulation- based practi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 93-100.
    18. Lincoln, Y. S. ,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tage.
    19. Oh, H. J ,. Kim, M. J. , & Park, K. M. (2020).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on motivation to transfer in the practicum of psychiatric nursing convergence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9), 375-383.
    20. Oh, P. J. , Jeon, K. D. , & Koh, M. S. (2015).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nursing students: A meta-analysis. Nurse Education Today, 35(5), 6-15.
    21. Park, S. Y. , & Kweon, Y. R. (2012). The effect of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al training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1(1), 79-88.
    22. Schmidt, C. , Nauta, L. , Patterson, M. , & Ellis, A. (2019). Medical students’(dis) comfort with assessing religious and spiritual needs in a standardized patient encounter.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58(1), 246-258.
    23. Shim, K. , Son, M. , & Ji, E. (2017). The effectiveness of child nursing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anxiety,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 299- 308.
    24. Shin, S. J. , Yang, E. B. , Hwang, E. H. , Kim, K. H. , Kim Y. J. , & Jung, D. Y. (2017).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for clinical practic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9(2), 76-82.
    25. Tuzer, H. , Dinc, L. , & Elcin, M. (2016). The effects of using high fidelity simulation and standardized patients on the thorax, lung and cardiac examination skill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45, 120-125.
    26. Yun, J. A. , Kang, I. S. , & Son, M. S. (2021). Experience of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and standardized patients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9(5), 31-56.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