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0 No.2 pp.35-45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2.10.2.35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with ‘Room of Errors’ Simulation
‘Room of Errors’ 시뮬레이션을 통한 간호대 학생들의 환자 안전 교육

Young-Ju Kim*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김 영주*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위 논문은 2021년 성신여자대학교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입니다.


*Corresponding Author: Kim, Young-Ju College of Nurs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55, Dobong-ro 76gagil, Kangbuk-gu, Seoul, Korea, 01133 Tel: +82-2-920-7510, Fax: +82-2-920-2092, E-mail: yjkim727@sungshin.ac.kr
20221009 20221105 20221205

Abstract


Purpose: Room of Errors is a little-known method in Korea, effective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nursing students’ recognition of pre-staged medical errors while working as individuals or in a team. Methods: Thirty-four errors for a pre-op care scenario and thirty errors for a post-op care scenario were pre-set in two simulated patient rooms. Fifty-six nursing students randomly participated as individuals or as a team in one of two “Room of Errors” to find as many errors as possible within a certain time. The evaluation of error detection and debriefing occurred immediately following the simulation. Results: “Wrong patient name on wrist band” (77-100%) and “bedside rails down” (91-100%) were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errors by both individuals and teams. Few students found “injection of a drug to which the patient is allergic” (0-9%) and “administration of a contraindicated drug to the patient” (0-7.7%). The performance of students working in a team was much better than those working alone.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Room of Errors” provided very experiential and practical learning to nursing students in identifying simulated patient threats. The method is also useful for interprofessional patient safety education to develop teamwork and communication.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환자안전은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 에 예방, 제거하고 최소한의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 으로 정의될 수 있다(Oh, Lee, Jang, & Kim, 2019). 일개 대학병원에서 3년간 보고된 환자안전보 고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투약오류사고 중 간호사에 의한 투약오류 발생율은 40.6%로 투약오류 발생 원 인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Koo, 2021). 환 자안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11년 다양한 직종의 보건의료인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과정 가이드를 개발하여 보급하였는 데, 특히 보건의료 학생들은 가까운 미래에 환자안전 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인력으로서 이들이 환자안전 의 개념과 원칙을 알고 수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 하였다(WHO, 2011).

    현재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환자안전은 독립된 교 과목으로 운영되기 보다는 여러 이론 및 실습교과목 에서 환잔안전 관련 지식과 훈련이 분산되어 교육되 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학습자를 위한 안전 한 학습환경을 보장하면서 학생들의 흥미와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 방법으로 시뮬레이 션이 적극 활용되고 있다(Yu, Kim, Kim, & Lee, 2021). WHO의 환자안전 교육과정 가이드에서도 환자안전 교육 방법 중의 하나로, 실제 환자를 위험 에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임상 상황의 전체 또는 일부를 재현하여 그 상황에 몰입할 수 있게 하는 시뮬레이션을 제시하고 있다(WHO, 2011).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환자안전 교육의 효과가 검 증되고 있는 가운데 투약 관련 환자안전 사고예방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Yu et al., 2021)가 있으며, 문제중심학습과 시뮬레이션 훈련을 통해 투약오류를 발견한 경우 즉시 구두보고 할 수 있는 자신감이 향상되었다는 연구결과(Kuo, Wu, Chen, Chen, & Hu, 2020)가 있다. ‘Room of Errors (ROE)’ 는 학생들에게 참여적 학습 경험 을 제공하는 유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방법이다. 이 는 실제 환자 병실과 유사한 실습실내에 교수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의료오류들을 학생들이 직접 찾아 내고 그 오류들을 복구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 함으 로써 학생들의 지식과 경험을 통합하게 한다. 따라 서 ROE와 같은 참여적 학습 경험은 학생들의 인지 적, 정서적 기술 학습에 매우 도움이 되는 교육방법 이다(Diemer, Jaffe, Papanagnou, Zhang, & Zavodnick, 2019). ROE는 이미 다수의 국외 연구 에서 보건의료인 또는 보건의료 학생들을 위한 환자 안전 교육방법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Clay et al., 2017;Diemer et al., 2019;Löber, Garske, & Rohe, 2020;Loboda, Vigneron, Mulot, May, & Demore, 2019;Myers et al., 2017;Reime, Molloy, Blodgett, & Telnes, 2022;Turrentine et al., 2020;Wiest et al., 2017;Zimmermann, Fridrich, & Schwappach, 2021). 그 중에서 Diemer 등(2019)의 연구에서는 120명의 인턴들을 16개 팀으로 나눠 20분 동안 미리 설정해 놓은 환자 안전 위험요인들을 발견하여 보고시스템에 보고까 지 마쳐야 방을 탈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방 탈 출(patient safety escape room) 시뮬레이션에 참 여한 인턴들은 환자안전 위해요인 발견에 대한 자신 감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참여자의 96%가 본 시뮬 레이션 교육이 실무와 매우 연관성이 높다고 평가하 였다. Reime 등(2022)의 연구에서는 간호, 의학, 물리치료, 사회사업 등 9개 의료보건관련 학과의 학 생들이 개인 또는 팀을 이뤄 미리 설정된 48개의 위 해상황을 찾도록 하였다. 학생 혼자서 참여한 경우 위해상황의 43%를, 팀을 이루어 참여한 경우에는 위해상황의 90%까지 찾아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팀 기반의 활동이 중요하며 환자안전에 관한 전문직 간 교육 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ROE는 국외 보건의료계에서 환자안전 교육 및 연구에 적극 활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 활 용된 사례나 보고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 는 ROE 시뮬레이션을 통해 간호학생들이 미리 설 정해 놓은 의료오류들을 얼마나 잘 찾아내는지 항목 별 의료오류 발견 빈도를 조사하여 학생들의 환자안 전 역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의료오류들을 학 생 개인이 찾아내는 빈도와 팀을 이뤄 찾아내는 빈 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ROE 시뮬레이션이 간호대학생들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프로그램으로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방법 론적인 적용가능성도 함께 모색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과 관련 된 의료 오류들을 찾는 시뮬레이션 ROE 시행에 따 른 항목별 의료 오류 발견 정도를 알아보고, 또한 의료 오류 찾기를 팀별로 시행한 경우와 개인별로 시행한 경우에 따라 오류 발견 정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단일집단 사후 설계의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56명으로 사전 연구 공지에 참여 의사를 밝힌 학생들로 편의모집하였다. 이 중 에서 32명의 학생들은 4명씩 8개의 팀으로 나뉘어 ‘팀별 ROE 시뮬레이션’에 1회 참여하였고, 24명의 학생들은 한명씩 ‘개인별 ROE 시뮬레이션’에 1회 참 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사전에 연구의 목적과 방 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서 면 동의하였다. 8개 팀이 팀별로 찾은 의료 오류 자 료와 24명이 찾은 개인별 의료 오류 자료는 모두 최 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3. 연구 진행 절차

    1) ROE 시나리오 개발

    ROE 시뮬레이션을 위해 간호대 교수 2인이 ‘오 른쪽 슬관절 환치술 전 간호’와 ‘복강경 충수절제술 후 간호’ 총 2개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시나리 오 내용은 위에 기술된 수술명으로 일개 종합병원에 실제로 입원한 환자 2인의 진단명, 입원 경로, 과거 력과 현재력, 의사 처방 자료들을 바탕으로 개발되 었다. 내외과병동에서 25년 임상경력이 있는 수간 호사 1인이 개발된 내용을 검토한 후 최종 시나리오 를 확정하였다.

    ‘오른쪽 슬관절 환치술 전 간호’ 시나리오는 76세 여자 환자가 슬관절 환치술을 위해 입원한 사례로 수술 전 간호와 수술 전 의사처방의 수행과정 중 오 류가 있는지를 찾아내는 시나리오이다. 본 시나리오 에는 의무기록과 다른 환자명과 ID가 적힌 손목밴 드, 내려진 침대 난간, 고정되지 않은 침대 바퀴, 사 용한 주사기와 알콜솜의 침대 위 방치, 3-way가 막 혀 수액이 정맥으로 주입되지 않는 상황, 수액줄과 소변백이 바닥에 끌리는 상황 등 환자 주변의 물리적 환경 오류들과 안경, 악세세리, 속옷, 양말 착용, 수 술동의서 미작성 등 수술실로 내려가기 전 간호사가 점검해야 할 항목들의 오류, 의사처방과 다른 약물 명, 용량, 투여경로, 약물 부작용, 약물투여 금기사 항, 수액내 이물질, 수액의 유효기간 만료 등 투약과 관련된 오류 등 4개 범주 내에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 는 총 34개의 의료 오류들을 설정하였다(Table 1).

    ‘복강경 충수절제술 후 간호’는 급성 복통으로 입 원하여 복강경 충수절제술을 받은 17세 남자 환자의 수술 후 간호 및 의사처방 수행과정의 오류를 찾아 내는 시나리오이다. 위에 기술된 슬관절 환치술 전 간호 시나리오와 유사한 환자 주변의 물리적 환경 오류들 및 의사처방과는 다르게 주입되고 있는 약물 오류들을 세팅하였고, 수술 후 의사처방과는 다른 검사 시행, 복대 미착용 등의 처방 시행 오류 등 5개 범주 내에 총 30개의 의료 오류들을 마네킹과 침상 주변에 설정하였다(Table 2).

    2) ROE 시뮬레이션 적용

    두 개의 실습실에 각각 ‘오른쪽 슬관절 환치술 전 간호 ROE’와 ‘복강경 충수절제술 후 간호 ROE’ 시 나리오를 개별 세팅하였다. 각 실습실에는 침대위에 누워있는 전신 마네킹과 입원기록지, 의사처방지, 수술동의서, 수술기록지, 검사결과지 등의 의무기록 지 및 의사처방에 따른 약물들을 세팅하였다. 실습 당일 사전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습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학생들을 하나의 실습실에 배정하여 주어진 시간 동안 설정된 오류들을 찾도록 하였다.

    팀을 이뤄 팀원들이 함께 오류들을 찾는 경우와 개인별로 찾는 경우에 따라 발견한 오류의 개수와 발견 항목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ROE 시뮬레이 션을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첫 번째 ROE 시뮬레이션에서는 32명의 학생을 4명씩 총 8개 팀 으로 구성하여 팀별로 6분 동안 협력하고 논의하여 오류들을 찾도록 하였다. 두 번째 ROE 시뮬레이션 에서는 24명의 학생이 1명씩 시뮬레이션에 참여하 여 10분 동안 오류를 찾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들 에게 어느 그룹에 들어가는지 사전에 얘기하지 않고 두 번의 시뮬레이션 일정만 공지한 후 학생 개인의 일정에 맞춰 참여할 수 있는 일자에 1회 ROE 시뮬 레이션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업이나 성적과 무관하며 언제든지 중도 포기가 가 능함과 그로 인한 어떤 불이익이 없음을 연구대상자 들에게 서면 및 구두로 설명하였다. 개인별 또는 팀 별 실습이 끝난 직후 발견한 오류들에 대해 팀별 또 는 개인별로 피드백을 제공하였고, 전체 학생들의 ROE 시뮬레이션이 끝난 후 다같이 모여 환자안전 에 대한 디브리핑을 20분 동안 진행하였다.

    4. 자료 수집 방법

    교수자 2인이 각각의 실습실에 1인씩 들어가 학 생들이 오류를 찾는 동안에는 뒤에서 관찰만 하고 학생들의 간단한 질문에 답변을 해주었다. 정해진 시간이 되면 학생들이 기록한 오류들과 교수자가 사 전에 작성한 오류 체크리스를 하나씩 비교하여 팀별 또는 개인별 찾아낸 오류들의 점수를 계산하였다. 오류를 찾아내면 개별 항목별로 1점을 부여하고, 찾 지 못한 경우에는 0점을 부여하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를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시나리오별로 세팅된 오류들의 개 별 항목별로 몇 팀이 또는 몇 명의 개인이 발견하였 는지를 실수와 백분율 등 기술 통계로 분석하였다.

    6. 연구의 윤리적 고려

    시뮬레이션 전 연구목적과 진행과정에 대해 학생 들에게 설명하고, 자발적인 참여 또는 참여 중지가 가능하며, 연구로 인한 이익과 불이익, 개인 정보 보 호, 수집된 자료가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됨을 설명하 고 서면동의서를 받았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최종 자료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56명으로 모두 여자이며,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24.3±1.74이었다.

    2. ‘오른쪽 슬관절 환치술 전 간호 ROE’에서 팀과 개인별로 발견한 오류 항목 비교

    <Table 1>은 ‘오른쪽 슬관절 환치술 전 간호 ROE’ 시나리오 내 세팅된 34개 오류 항목별로 몇 팀 또는 몇 명의 개인이 그 오류를 발견했는지를 명 (팀)수와 백분율로 제시한 표이다. 수술 전 수술동의 서가 작성되지 않은 것을 4개 팀 중 2팀(50%)이 발 견하였고, 개인은 11명 중 3명(27.3%)이 발견하였 다. 5개 약물의 용량 오류를 3개 팀(75%)이 발견한 반면 개인은 2명(18.2%)~6명(54.5%)이 발견하였 다. 환자의 현재력과 과거력에 근거하여 환자에게 투여 금기인 약물이 처방된 것을 발견한 팀이나 개 인은 없었다. 라텍스에 알러지가 있는 환자의 주변 에 라텍스 장갑이 있는 것을 4개 팀과 11명 개인이 모두 발견하였고, 소변줄의 클램프가 잠겨 있는 것 을 3개 팀(75%)이 발견한 반면, 개인은 2명(18.2%) 만 발견하였다. 정맥주사 라인들이 바닥에 떨어져 끌리는 것을 4개 팀 중 한 팀도 발견하지 못하였지 만, 개인 5명(45.6%)이 이를 발견하였다.

    3. ‘복강경 충수절제술 후 간호 ROE’에서 팀과 개인별로 발견한 오류 항목 비교

    <Table 2>은 ‘복강경 충수절제술 후 간호 ROE’ 시나리오 내 세팅된 30개 오류 항목별로 팀별 또는 개인별 발견율을 나타낸 것이다. 수술 후 반좌위를 취해주라는 의사의 처방과 다르게 앙와위로 취해진 것을 4개 팀은 모두 발견하였으나, 13명의 개인 중 에서는 6명(46.2%)만 발견하였다. 수액에 이물질이 들어 있는 것을 4개 팀이 모두 발견하지 못했고, 개 인은 1명(7.7%)만 발견하였다. 17세 미혼인 환자의 주 보호자가 부인으로 기록된 것을 1개 팀(25%)과 2인(15.4%)만 발견하였다. 견과류에 알러지가 있는 환자에게 잣죽이 식사로 제공된 점을 3개 팀(75%) 과 10명(76.9%)이 찾아내었다.

    Ⅳ. 논 의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환자안전 교육의 일환 으로 간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원환자 간호 시 발생할 수 있는 의료 오류들을 마네킹을 이용한 시 뮬레이션 실습실에 설정한 후 학생 개인 또는 팀을 이뤄 일정 시간 동안 얼마나 많은 오류를 찾아내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학생들이 개인 또 는 팀을 이루어 찾아낸 오류 항목 중 발견율이 높은 오류로는 환자 ID 손목밴드의 틀린 이름과 성별, 침 대난간이 내려져 있는 상황, 환자 침상 주변에 방치 된 알콜솜과 주사기, 라텍스 알러지가 있는 대상자 주변에 라텍스장갑이 있는 상황 등 환자 주변의 물 리적 환경에 설정된 오류들이었다. 이는 간호학 이 론교과목이나 실습교과목에서 모든 간호중재 시 환 자 확인이 첫 번째로 시행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이 고, 간호중재가 끝난 후 침대 난간 확인 등 환자 주 변을 꼼꼼히 살펴봐야 함을 강조한 결과라고 여겨진 다. 2018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Kim, 2020)에 따르면, 환자안전사고 유형 중 낙상 사고의 발생률이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 라서 환자 정보 확인, 침상 난간 확인, 낙상을 유발 할 수 있는 환자 주변의 위험요인들을 오류 목록 내 에 포함하여 낙상예방에 대한 반복적인 훈련이 필요 하다.

    대상자가 수술실에 내려가기 전 간호사가 확인해 야 할 항목 중 귀걸이와 목걸이 등 액세서리 착용, 안경 착용, 매니큐어 미제거 등의 오류는 학생들이 잘 찾아냈으나, 수술동의서에 의사와 환자의 서명이 없는 점, 수술을 하지 않는 건강한 다리에 압박스타 킹을 적용하라는 의사의 지시와는 달리 수술예정 다 리에 압박스타킹이 적용된 점, 침상에 ‘금식’ 팻말이 없는 점 등의 오류는 참여한 학생 개인 또는 팀의 50% 이상이 찾아내지 못하였다. 이는 수술 전·후 간호 교육 시 의사처방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처방 지에 근거한 간호수행, 수술동의서 작성여부에 대한 확인 교육이 더 강조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수술 전·후 간호 시뮬레이션은 모든 전공영역에서 사용 되는 주제 중의 하나로써, 수술의 종류에 따라 수술 전·후 간호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 에서 사용된 시나리오는 수술 전·후 간호에 공통으 로 적용될 수 있는 의료 오류들로 구성하였다. ROE 시뮬레이션은 수술 전·후 간호사가 독립적으로 수 행해야 하는 환자 소유물의 제거 및 보호, 수술 전· 후 교육 및 투약 등 수술 전·후 간호 교육 시 전공 에 상관없이 쉽게 활용될 수 있다.

    투약오류는 의사의 처방에서부터 환자에게 약물 이 투여되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의 미하는데(Parry, Barrball, While, 2015), 투약오 류는 입원기간 연장, 의료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 으며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안전한 투약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의 투약처방지와 다른 환자이름, 약 물명, 용량, 투여경로 등 투약의 원칙에 위배되는 오 류들과 약물과 음식간의 상호작용, 약물알러지, 약 물 금기사항 등 난이도가 높은 오류들을 설정하였 다. 다른 환자 이름이 약물라벨에 쓰여 있는 오류는 학생 개인 또는 팀을 이뤄 하는 경우 모두 높은 발견 율을 보였다. 그러나 환자에게 투여 금기인 약물 투 여, 알러지가 있는 약물 투여, 유효기간이 지난 수 액, 이물질이 들어있는 수액 등의 오류들은 학생 개 인 또는 팀의 80% 이상이 발견하지 못했다. 여러 간호학 교과목에서 투약의 원칙과 중요성을 강조하 고 있으나 실제 간호현장에서 간호학생이 직접 투약 의 전 과정을 제대로 실습하고 투약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Yu et al., 2021). 이에 ROE와 같이 간호 학생들이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안전관련 문 제를 정확히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경험적 교육과정이 꾸준히 제공되 어야 한다.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은 임상실습교육의 한계점 을 보완하고 반복적인 경험학습을 제공하여 간호 학 생들이 환자안전관련 기술을 이해하고 습득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Yu et al., 2021). 국외에서 는 ‘Room of Errors’ 또는 ‘Room of Horrors’ 명칭 으로 수행된 연구들(Clay et al., 2017;Diemer et al., 2019;Löber, Garske, & Rohe, 2020;Loboda, Vigneron, Mulot, May, & Demore, 2019;Myers et al., 2017;Reime, Molloy, Blodgett, & Telnes, 2022;Turrentine et al., 2020;Wiest et al., 2017;Zimmermann, Fridrich, & Schwappach, 2021)이 다수 있으나, 국내 연구 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기에 본 연구가 국내 보 건의료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처음 시행된 ROE 연구인 것으로 사료된다. ROE는 학습자에게 안전 하고 반복적인 학습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발견 된 오류들을 복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혁 신적인 교육방법이다(Löber et al., 2020). 또한 ROE는 저충실도 단순 마네킹(low fidelity simple mannequin)을 활용하여 운영할 수 있기에 상대적 으로 고충실도 마네킹을 활용한 시뮬레이션보다 비 용이 적게 들며, 간단한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다양 한 임상 오류들을 설정할 수 있기에 시나리오 개발 및 시뮬레이션 운영 경험이 적은 교수자들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ROE는 여러 의료기관에서 다양한 보건의료인을 대상으로 환자 안전 교육 시 활용될 수 있으므로 각 의료기관에서 신규 간호사나 신규 인턴들을 대상으로 한 오리엔테이션 시 적극 반영하 기를 권장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으로 학생 개인 또는 4명 이 팀을 이뤄 ROE를 시행했을 경우 오류 발견율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전반적으로 대 부분 항목에서 개인보다는 팀의 오류 발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른쪽 슬관절 환치술 전 간 호 ROE’ 시나리오에서 약명이 비슷한 약물 투여(평 균 22.5% vs. 37.5%), 처방과 다른 용량 투여 (25.2% vs. 75%), 근육주사를 정맥주사로 투여(0% vs. 25%) 등 투약원칙에 위배되는 오류들을 개인보 다는 팀이 잘 발견하였다. 이는 Reime 등(2022) 연 구와 Clay 등(2017)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도출 되었는데, 임상현장에서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 들을 규명하고 논의하며 감소시키기 위한 활동들을 고려할 때 팀기반 접근이 중요함을 시사한다(Reime et al., 2022). Clay 등(2017)은 ROE 시뮬레이션을 두 번 이상 반복적으로 시행하고 학생들이 팀을 이 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기술하였다. 학생들이 팀을 이뤄 의료오류들을 찾는 과정에서 팀원 개개인 의 역할과 책임을 존중하게 되고, 오류를 발견한 팀 원이 그것을 팀 전체에게 크게 말함으로써 환자 안 전에 필요한 이중 확인을 할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 로 목표 달성을 위한 팀워크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 다고 한다(Clay et al., 2017). 최근 전문직간 교육 (interprofessional educa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 고 있는 시점에서 ROE 시뮬레이션은 다직종의 보 건의료인 또는 학생들간의 팀워크, 의사소통, 협업 을 훈련시키기에 매우 유용한 교육방법이라고 여겨 진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먼저 일개 간호대학의 학생 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 수가 적어 개인 과 팀 간 오류 발견율에 대한 통계적 유의미를 찾기 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두 개의 시나리오 내 설정된 의료 오류들은 최대한 임상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로 구성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임상현장의 실 제 오류와 다소 다를 수 있다. 또한 마네킹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실습으로 인해 학생들이 실제 환자나 임 상환경을 접할 때보다 현실감이 떨어지는데 이는 오 류 발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나리오 내 설정된 오류 외에 학생들이 추가로 발 견한 오류들은 결과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예를 들 어, 수술 전 간호 시나리오에서 침상에 손소독제가 없거나 주사바늘로 꽉 찬 주사바늘통 등 교수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또는 실습실 내 시나리오와 상관없는 물건들을 미리 제거하지 못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전 리허설을 통 해 시뮬레이션 운영 시 나타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상황들에 대비가 필요하다.

    이런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 음 시도된 ROE 시뮬레이션 연구로써 ROE는 학생 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실습 참여도를 높이는 동시에 환자안전 교육에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ROE는 운영상의 많은 장점이 있어 보건의료 교육 기관의 학생들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내 의료진의 환 자안전 교육에도 적극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 연 구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임상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의료오류들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지식 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추후에는 이런 일련 의 반복적인 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사의 오류 발생 감소, 환자 안전 역량 강화 및 환자 간호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과 관련 된 의료 오류들을 마네킹을 이용한 실습실에 미리 설정한 후 일정시간동안 환자안전 오류들을 찾아내 는 시뮬레이션 ROE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 를 통해 간호대생들의 환자안전 항목별 의료 오류 발견 정도를 알아보고, 또한 의료 오류 찾기를 팀을 이뤄 시행한 경우와 개인별로 시행한 경우에 따라 오류 발견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 다. 환자의 ID, 이름, 성별 등 기본 정보의 오류 및 내려진 침상난간, 침대 위에 버려진 알콜솜과 주사 기 등 환자 침상 주변의 물리적 환경 오류들의 발견 율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투여용량 오류, 투여경로 오류, 수액 내 이물질, 알러지 및 투 약금기 약물투여 등 투약과 관련된 오류들의 발견율 은 매우 낮았다. 따라서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투약 에 대한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야 하며, ROE 시뮬레이션을 적극 활용하여 투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에 대한 경험적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학생 혼자서 오류를 찾을 때보다 팀을 이루어 찾을 때 오류 발견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환자안전에 대한 교육은 팀원 간의 협력, 소통, 상호격려를 통해 환자안전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팀 기반 학습으로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ROE를 의료기관 내 다양한 직종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교육 및 연구에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를 적극 제 언한다.

    Figure

    Table

    Staged Errors Identified by Teams and Individuals in Room of Errors for Pre-op Care
    Staged Errors Identified by Teams and Individuals in Room of Errors for Post-op Care

    Reference

    1. Clay, A. S. , Chudgar, S. M. , Turner, K. M. , Vaughn, J. , Knudsen, N. W. , Farnan, J. M. , et al. (2017). How prepared are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o identify common hazard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nal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14(4), 543-549.
    2. Diemer, G. , Jaffe, R. , Papanagnou, D. , Zhang, X. C. , & Zavodnick, J. (2019). Patient safety escape room: A graduate medical education simulation for event reporting. The AAMC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15, 10868.
    3. Kim, N. Y. (2020). Analysis of patient safety incid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2), 151-159.
    4. Koo, M. J. (2021). Analysis of medication errors of nurses by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7(1), 109-119.
    5. Kuo, S. Y. , Wu, J. C. , Chen, H. W. , Chen, C. J. , & Hu, S. H. (2020).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and problem- based scenarios on the improvement of graduating nursing students to speak up about medication errors: A quasi-experimental study. Nurse Education Today, 87, 104359.
    6. Löber, N. , Garske, C. , & Rohe, J. (2020). Room of horrors: A low-fidelity simulation practice for patient safety-relevant hazards of hospitalization. Journal of Evidence and Quality in Healthcare, 153, 104-110.
    7. Loboda, C. , Vigneron, J. , Mulot, C. , May, I. , & Demore, B. (2019). A “chamber of errors” adaptation to assess pharmaceutical assistants’ knowledge in chemotherapy preparation. Journal of Oncology Pharmacy Practice, 25(2), 454-459.
    8. Myers, J. S. , Tess, A. V. , McKinney, K. , Rosenbluth, G. , Arora, V. M. , Tad-y, D. , et al. (2017). Bridging leadership roles in quality and patient safety: Experience of 6 US academic medical centers.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9(1), 9-13.
    9. Oh, H. M. , Lee, W. , Jang, S. G. , & Kim, S. Y. (2019). Current practices and future directions in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curriculum in medical schools.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1(3), 143-149.
    10. Parry, A. M. , Barriball, K. L. , & While, A. E. (2015). Factors contributing to registered nurse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 A narr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2(1), 403-420.
    11. Reime, M. H. , Molloy, M. A. , Blodgett, T. J. , & Telnes, K. I. (2022). Why an IPE team matters...Improvement in identification of hospital hazards: A room of horrors pilot study.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Healthcare, 15, 1349-1360.
    12. Turrentine, F. E. , Schroen, A. T. , Hallowell, P. T. , Quatrara, B. A. , Smith, P. W. , Williams, M. D. , et al. (2020). Enhancing medical students' interprofessional teamwork through simulated room of errors experience. Journal of Surgical Research, 251, 137-145.
    13. Wiest, K. M. , Farnan, J. M. , Byrne, E. , Matern, L. , Cappaert, M. , Hirsch, K. , et al. (2017). Use of simulation to assess incoming interns' recognition of opportunities to choose wisely.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12(7), 493-497.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July 6). WHO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 Multi-professional edition. Retrieved July 19, 2022, from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9789241501958
    15. Yu, M. , Kim, E. Y. , Kim, J. K. , & Lee, Y. (2021). Development of a simulation program related to patient safety: Focusing on medication err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7(2), 107-117.
    16. Zimmermann, C. , Fridrich, A. , & Schwappach, D. L. (2021). Training situational awareness for patient safety in a room of horrors: An evaluation of a low-fidelity simulation method. Journal of Patient Safety, 17(8), e1026-e1033.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