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0 No.2 pp.65-78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2.10.2.65

Effect of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Learning Experience and Anxiety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신감, 학습만족도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

Jung-Suk Kim1*, Eun Sun Lim2, Younghee Lee3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Hyejeon College
2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Hyejeon College
3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ongnam Health

김 정숙1*, 임 은선2, 이 영희3
1혜전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2혜전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3동남보건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Corresponding Author: Kim, Jung-Suk Department of Nursing, Hyejeon College, 19 Daehak 1-Gil, Hongseong, Chungnam-do, 32244, South Korea Tel: +82-41-630-5340, Fax: +82-41-630-5296, E-mail: jsk@hj.ac.kr
20221023 20221116 20221205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competency through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Simulations included blood transfusion care for cancer patients, pneumothorax post-op care, and blood pressure control for hypertension care. Moreover,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mulations on anxiety, self-confidence,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Method: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on student satisfaction, self-confidence, and anxiety. A prospective, on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of 135 fourth-grade nursing students was used. A simulation scenario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sign. It consisted of pre-briefing, practice, serial tests, and debriefing. A simulation of three scenarios comprised blood transfusion care for cancer patients, pneumothorax post-op care, and blood pressure control for hypertension care. Twenty hours of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practicum consisting of three scenarios dealing with major adult diseases was conducted. Result: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ver time in self-confidence (t=4.67, p<.001), student satisfaction (t=3.94, p<.001), and anxiety (t=-4.63, p<.001) after the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Conclusion: Simulation of evidence-based education may be a useful and effective learning strategy. Nursing educators can design evidence-based simulation programs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iveness.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의료기술과 전달의 발전으로 평균수명 연장과 만 성질환 관리가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되고 있다. 이 에 따라 간호환경도 여러 증상관리를 위한 발전된 의료기술과 함께 전문적 간호를 요구하고 있다 (Ross & Burrell, 2018). 간호교육에서도 임상적응 과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기술이 필요하다(Murray et al., 2022). 특히 변화 하는 의료환경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 예비간 호사로써 전문성을 높이고 더불어 임상실습과 실무 에 대한 학습자신감, 학습만족도, 불안을 감소하여 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 적극적 학습전략이 필요하 다(Simmers, 2014).

    이러한 대안으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실무를 과학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학습활동이며 자신감을 높여 졸업 후 현장에서 전문성을 바탕으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Song & Jang, 2021). 또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체계적 이론학 습에 따라 수행역량, 정보 활용능력, 문제해결의 적극 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Botma, 2014).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교수자가 개발단계에서부터 시뮬 레이션 환경에 대한 문헌고찰과 이론적 내용을 포함하 며, 근거기반간호 실무를 경험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연계된 평가도구를 개발한다(Labrague, McEnroe-Petitte, Bowling, Nwafor, & Tsaras, 2019). 디브리핑에서는 시나리오에 포함된 근거기반 간호를 토의할 수 있는 학습전략을 수행할 수 있다 (Labrague et al., 2019). 또한, 시뮬레이션에 포함되 는 술기내용의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실무지 식을 향상시키며 비판적 사고의 발전으로 학습자신 감, 학습만족도를 증가시킨다(Murray et al., 2022).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의 학습경험은 환자모 형 시뮬레이터(Human Patient Simulator, HPS) 또는 표준화 환자(Standardized Patients, SPs)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의 안전한 교육환 경은 체계적으로 대상자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자료의 중요성을 평가한 후 근거기반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대상자 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 전문적 간호과정 을 연습할 수 있다(Kang & Kang, 2020). 또한 근 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이론과 실무를 통합 하여 중재를 강화할 수 있는 생산적 학습전략으로 나타났다(Botma, 2014).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이론적 사실과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다양한 난이도 조절의 반복경험으로 교수와 학생간 의 상호작용 학습 및 개별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달 성 가능한 학습 목표로 학습에 대한 학생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신감과 실무능력을 향상시킨다(Ross & Burrell, 2018). 선행연구에서 환자모형 시뮬레 이터를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자 기효능감과 학습자신감을 향상시키고 불안을 감소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abrague et al., 2019).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술기를 수행 할 수 있는 학습자신감과 의사결정 시 비판적 사고 를 이끌어내고 나아가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중 요한 학습전략으로 나타났다(Song & Jang, 2021).

    간호학생들은 임상실습 환경에서 실제 환자의 간 호과정 적용을 위한 의사결정, 문제해결 등에 대한 높은 불안감이 있다(Ko & Kim, 2014). 임상실습 중 학생이 느꼈던 불안감은 돌봄에 대한 자신감과 실제 환자 치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heung & Au, 2011). 반면 학생들이 임상에 대한 불안이 감소 되면 대상자와 치료관계를 구축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으며 돌봄에 대한 자신감 향상으로 대상자의 치료결과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Szpak & Kameg, 2013). Khalaila (2014)의 연구에서는 학생의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 요소 로 자신감, 시뮬레이션 수업의 만족도, 불안의 감소 를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근거기반의 시뮬레이 션 학습전략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특히, 근거기 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첫 임상실습 경험에서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돌봄에 대한 학습자신감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halaila, 2014). 또한 임상환경에 대한 근거에 기반하여 학생들이 유사한 환경을 구현한 전략으로 상황을 대처하여 긍정적 학 습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감 향상과 불안 감소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Song & Jang, 2021). 시뮬레이션 교육의 학습전략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문제중심 학습연계 시뮬레이션 교 육(Lee et al., 2020;Park & Kim, 2021;Song, 2014), 핵심간호술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Lee, Kim, & Lim, 2021) 등이 있었으며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근거기반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역량을 향상시켜 환자 별 임상상황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발과 검 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은 간호대학생들에게 자신감 증가와 학습만족 도를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하여 임상실습에 대한 극대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암환자의 수혈간호, 기흉수술 후 간 호,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 간호에 대한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대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교 육 전・후 학습자신감과 학습만족도, 불안에 대한 교육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운영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항암환자의 수혈간호, 기흉수 술 후 간호,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 간호에 대한 간 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 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대학생들에게 적 용하여 전・후 학습자신감, 학습만족도, 불안 정도 를 비교함으로써 교육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3. 연구가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 간호대학생들의 학습자신감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둘째,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셋째,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 간호대학생들의 불안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간호대학생들의 학습자신 감, 학습만족도,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 한 단일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H군에 소재한 일 대학교의 간호학과에서 정규 시뮬레이션 수업을 수강 중인 4 학년 학생으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 은 경험이 없는 대상자이며 본 연구의 방법과 목적 을 이해하고 연구참여를 동의한 156명이다. 대상자 수 선정은 간호대학생들의 시뮬레이션 교육의 자신 감, 학습만족도를 검증한 선행연구(Kang & Kang, 2020)를 근거로 G*Power 3.1.9.2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paired t-test로 유의수준(α) .05 일 때, 검 정력(1-β) .90, 효과의 크기(d) .5로 계산한 결과 36명으로 산출되었으나, 정규 교과과정의 8개 분반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시뮬레이션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참여기회를 제공하였다. 전체연구 참여 학생은 156명이었으나 개인사정(코로나19 감염, 질 병발생 등)으로 시뮬레이션 수업도중 2회 이상 결석 을 하였거나, 사후조사에 불충분한 응답을 한 21명 을 제외한 135명으로 최종 분석되었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들은 원저자로부터 도구사 용 승인을 받았다.

    1) 학습자신감

    학습자신감은 미국간호연맹(National League for Nursing, NLN) (2006)에서 개발한 학습자신감 척도(Student Self-Confidence in Learning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Yoo, 2016)로 사용 하였다. 학습자신감은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자의 자신감 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Jeffries와 Rizzolo (2006)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87, Yoo (2016)의 연구에서 .72, 본 연구에서는 .81이었다.

    2) 학습만족도

    학습만족도는 NLN (2006)에서 개발한 학습만족 도 척도(Student Satisfaction with Learning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Yoo, 2016)로 사용 하였다. 학습만족도는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매우 동의 한다’ 5점에서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1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시뮬레 이션실습에 대한 학습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 발 당시 Jeffries와 Rizzolo (2006)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94, Yoo (2016)의 연구에서 .89, 본 연구에서는 .88이었다.

    3) 불안

    불안은 Spielberger (1975)가 개발한 상태특성 불안척도(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를 Kim과 Shin (1978)이 번안한 도구를 승인받은 후 사용하였다. 20문항으로 상태불안을 측정하며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점수의 범위는 20점∼ 80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상태불안 정도가 높음 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 중 부정적인 문항 은 역환산 문항으로 처리하였다. Kim과 Shin (1978)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87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87이었다.

    4. 근거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에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 그램 개발은 Alessi와 Trollip (2001)이 개발한 학 습설계모형에 따라 분석, 계획, 개발, 평가의 순서대 로 진행하였다(Figure 1).

    1) 분석단계

    분석단계에서는 간호학생의 근거기반학습과 시 뮬레이션 실습관련 국내외 학술문헌을 토대로 통합 적인 문헌고찰을 수행하였고 선정된 문헌(Bell- Gordon, Gigliotti, & Mitchell, 2014;Khalaila, 2014;Murray et al., 2022;Ross & Burrell, 2018;Song & Jang, 2021)을 중심으로 분석하였 다. 문헌에서는 암환자관리, 고혈압환자 치료 및 간 호 등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에 반영되는 다 빈도 내용과 임상연계사례를 중심으로 시나리오 주 제와 변수를 반영하였다.

    2) 설계단계

    문헌고찰을 통해 시나리오주제에 대한 근거를 반 영하였고, 시나리오 적용학년(4학년)에 대한 학습성 과와 수준을 고려하였다. 시나리오별 선정한 임상사 례 중심의 근거기반 간호수행이 시뮬레이션 실습의 주요수행전략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3) 개발단계

    개발단계에서는 문헌고찰과 학습성과를 기반으 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에 반영되는 세 가 지 주제(항암환자의 수혈간호, 기흉수술 후 간호, 고 혈압환자의 혈압조절 간호)를 개발하였으며, 시나리 오별 연계된 근거기반간호 수행전략 세 가지를 선정 하여 반영되도록 구성하였다. 시나리오별 사전학습 이 진행되고 이때 시나리오 운영 시 연계되는 간호 수행에 대한 근거기반의 이론적 내용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사전브리핑을 통해 시나리오에서 적용되는 근거기반간호 수행을 연계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시나리오를 구동하였다. 디브리핑에서는 각 시나리 오 주제별 학습목표를 다시 정리하고 시나리오에서 전개될 수 있는 간호진단과 간호수행의 우선순위를 근거기반간호로 연계하여 찾아볼 수 있도록 진행하 였다(Table 1).

    개발된 시나리오는 임상경력이 15년 이상인 2명 의 간호학과 교수와 10년 이상 임상근무 중인 외과 계 병동간호사 2인, 내과계중환자실 간호사 1인, 외 과계 전담간호사 1인이 참여하여 사례검토와 내용타 당도 검증을 4점 척도로(1점, 관련없음; 2점, 수정 을 하지 않는 한 관련 있다고 하기 어려움; 3점, 관 련이 있으나 약간의 수정이 필요함; 4점, 매우 관련 있음) 진행하였다. 6인의 전문가에 대한 내용타당도 결과 항암환자의 수혈간호는 0.94, 기흉수술 후 간 호는 0.83,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 간호는 0.94로 측정되어 문항의 CVI(item-level CVI, I-CVI)값 이 전문가가 6∼10명이면 0.78 이상이 내용타당도 가 만족된 것으로 제시(Polit & Beck, 2006)한 내 용에 충족하였다.

    시뮬레이션 운영과 평가의 일관성 및 정확도를 높 이기 위해 개발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 로그램 진행 전 본 연구팀(시뮬레이션 담당교수 2인 과 간호사 출신의 코디네이터 1인, 임상근무 전인 간 호학과 졸업생 4인)이 사전운영과 평가를 진행하였 고 관찰자간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Kappa’s score 0.75 이상이 관찰자간 신뢰도가 만족한 것으 로 제시(Fleiss, Levin, & Paik, 2013)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0.86으로 측정되었다.

    4) 프로그램의 내용

    근거기반 시나리오별(항암환자의 수혈간호, 기흉 수술 후 간호,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 간호) 연계된 근거기반간호에 대한 각각의 수행전략이 반영되도 록 구성하였다. 첫째, 항암환자의 수혈간호에서는 말초정맥관 관리, 항암제 취급과 관리, 수혈간호의 수행전략을 포함하였다. 둘째, 기흉 수술 후 간호의 전략으로 흉관배액관 관리, 자가 통증조절기 관리, 투약실무 표준에 대한 간호수행전략을 포함하였다. 셋째, 고혈압 환자의 혈압조절 간호의 수행전략으로 혈압측정 표준, 심전도 감시, 고위험약물 관리에 대 한 간호수행전략을 포함하였다. 시나리오별 사전학 습이 진행되고 이때 시나리오 운영 시 연계되는 간 호수행에 대한 근거기반의 이론적 내용을 포함하도 록 하였다. 사전브리핑을 통해 시나리오에서 적용되 는 근거기반간호 수행을 연계할 수 있도록 정리하 고, 시나리오를 구동하였다(Table 1).

    5) 평가단계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시나리오 운영 전・후 학습자신감, 학습만족도, 불안에 대해 연구 대상자로부터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평가하였다.

    5.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운영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4∼5명의 학생을 1개 조로 편성하였고 4개 조 를 한 반으로 하여 8개 반을 운영하였다. 총 3개의 시나리오를 18시간 운영하였으며, 2명의 교수가 동 일한 시나리오운영을 분반하여 운영하였다. 통일된 근거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운영을 위해 완성된 시나 리오의 시뮬레이션 사전운영을 진행하였으며 한국 간호교육평가원 표준안 등을 바탕으로 평가지침을 일치시키고 교수자별 수업 참관을 통해 운영지침을 만들어 프로그램 운영과 방법을 표준화하였다.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시나 리오별 5단계로 진행되었으며, 공통으로 1차에는 프 로그램 전반의 목표, 과정, 규칙 등을 설명하고, 사 전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마지막 회는 각 시나리오의 중요 근거기반간호를 정리하고 소감발표를 진행한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2차에는 사전학습으로 각 시나리오의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연계된 이론적 내용을 학습하며, 시나리오별 연계된 임상사례 중심의 근거기반간호를 주요 수행전략으 로 하여 연계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3차에는 시 나리오별 대상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실습개요와 처 방전 파악, 임상검사결과 해석 등이 진행되었으며, 시나리오에 적용되는 근거기반간호 술기시범을 진 행하였다. 4차에는 3차에 정리된 내용을 중심으로 시나리오연계 간호과정 수행이 진행될 수 있도록 시 나리오 구동 연습을 하였다. 연습은 시뮬레이션 센 터 내 2개의 방을 나누어 할 수 있도록 운영되었다. 5차에서는 시나리오별 평가로 한 조에 15분∼20분 씩 진행하였으며, 조별 시뮬레이션 운영 순서에 따 라 한 조는 다른 조의 시뮬레이션 운영을 참관하도 록 하고 나머지 두 조는 시뮬레이션 실습실에서 시 나리오와 연계된 근거기반간호 술기를 연습하도록 하였다. 또한, 조별 시나리오 구동이 종료되면 디브 리핑 주제에 따라 정리하고, 성찰일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6차의 디브리핑은 조별로 운영된 시 뮬레이션 녹화영상 중 무작위 한 조를 선택하여 시 청하며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운영과정을 함께 성찰하고 반영하여 자유로운 조별 토론과 발표가 진 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Table 1). 모든 1차에서 6차 까지의 수업과정에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원활한 시 뮬레이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Q&A를 자유롭게 진행하였다.

    6.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4일부터 7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시뮬레이션 수업 예정인 4학 년 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총 3개의 시나리오를 H 대학교 간호학과 시뮬레이션 센터에서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전 연구자가 대상자들에게 프로그램의 목 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대상자가 서면동의서를 작성 하였고, 프로그램 진행 중 제외된 학생 등을 포함하 여 최종 135명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D대학교 기관생 명 윤리위원회 승인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IRB No: 1044371-202203-HR-003-01).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연구절차 와 목적을 설명한 후 자발적 동의 후 연구가 진행되 었고 연구기간, 방법, 참여에 대한 이익, 익명성 보 장, 답례 등에 대한 구체적 설명 후 서면 설명문을 제공하고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진행 시 대상자는 일련의 번호로 명기하고 설문지는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연구정보가 포함된 컴퓨터는 암호를 설정 하여 관리됨을 설명하였다.

    7. 자료분석방법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 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과 표준편차인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일반 적 특성과 종속변수인 학습자신감, 학습만족도, 불안에 대한 정규성 검증은 Shapiro-Wilk test로 검증한 결과 정규성이 만족하였다.

    • 2)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전・ 후 학습자신감, 학습만족도, 불안에 대한 교육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Paired t-test로 분석 하였다.

    • 3) 종속변수인 학습자신감, 학습만족도, 불안의 상 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6.6세이며, 85.2%가 여성이었다. 평균성적은 4.5만점 중 3.5이 상에서 4.0미만이 37.0%로 가장 많았으며, 4.0이 상이 18.5%로 가장 적었다. 간호학전공 만족도는 높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64.4%이며, 보통으로 응답 한 대상자는 33.3%, 낮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2.2% 의 순이었다. 간호학과 교수진에 대한 만족도는 높 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0.4%이며, 보통이거나 낮다 고 응답한 대상자는 49.6%였다. 대상자의 84.4%가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이 없었다(Table 2).

    2.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후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 1) 가설 1. ‘근거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 간 호 대학생들의 학습자신감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대상자들의 학습자신감 은 4.00점에서 4.20점으로 증가하였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t=4.67, p<.001) 가설 1은 지지되었다.

    • 2) 가설 2. ‘근거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 간 호 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 점수에 차이가 있 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대상자의 학습만족 도는 4.10점에서 4.30점으로 상승하였고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t=3.94, p<.001) 가설 2는 지지되었다.

    • 3) 가설 3. ‘근거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 간 호 대학생들의 불안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 다’를 검증한 결과 대상자의 불안 점수는 60.01 점에서 55.81점으로 감소하였다(t=-4.63, p<.001). 따라서 가설 3도 지지되었다.

    3.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후 학습자신감, 학습만족도, 불안과의 상관관계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후 학습자 신감과 학습만족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 며(r=.73, p<.001) 학습자신감과 불안(r=-.35, p<.001), 학습만족도와 불안(r=-.32, p<.001)은 모 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Ⅳ. 논 의

    본 연구는 항암환자의 수혈간호, 기흉수술 후 간 호,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 간호를 위한 근거기반간 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 게 적용하여 학습자신감, 학습만족도, 불안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 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들의 항암환자 의 수혈간호, 기흉수술 후 간호, 고혈압환자의 혈압 조절 간호에 대한 실무역량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학습방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근거기반간호 시뮬 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20시간 동안 3개의 시나리 오를 운영하였으며 각각의 시나리오 당 사전학습, 사전브리핑, 시뮬레이션 실습, 시뮬레이션 구동, 디 브리핑 순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사전학습과 사전브 리핑에는 시나리오에 연계되는 근거기반실무를 교 육하고 적용방법을 실습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구동 시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디브리핑 시 근거기반간호 수행의 근거를 찾고 토론하였다.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들의 학습자신감, 학습만족 도, 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학습자신감은 4.00 점에서 4.20점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암환자 증상관리에 대한 근거기반간호 시 뮬레이션을 실시한 후 학습자신감이 2.77점에서 4.40점으로 상승한 결과와 유사하다(Burrell, Ross, D’Annunzio, & Heverly, 2021). 또한 연계된 술기 는 다르지만 첫 번째 임상실습 전 근거기반간호 시 뮬레이션 교육 후 학습자신감이 상승되어 통계적으 로 유의하였던 Khalaila (2014)의 연구결과와 유사 하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근거기반학습은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최상의 과학적 근거, 임상적 전문 성, 이용가능한 자원의 활용을 통한 문제해결 접근 법으로 간호지식에 대한 실제적용을 통해 학습자신 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근거기 반간호 시뮬레이션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항암환자 의 수혈간호, 기흉수술 후 간호, 고혈압환자의 혈압 조절 간호에 대한 학습자신감이 향상된 결과는 선행 연구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학습자 신감은 학습목표를 달성하고 몰입을 증가시키는 중 요한 요소이다(Botma, 2014). 따라서 다양한 임상 사례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개발 과 적용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학습자신감을 향상시 킬 수 있으며,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수업은 중 요한 학습전략으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학습만족도는 4.10점에서 프로그램 후 4.30점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연계 술기는 다르 지만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전반적 만족, 학습만족, 인식만족이 모두 유의하게 상승한 Kim과 Kang (20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학습만족도는 학습자 가 학습에서 목적을 갖고 목적한 부분을 달성하였거 나 학습자 개인이 가지고 있던 기대가 충족되었을 때,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전공 지식과 간호술기의 통합적용능력이 활용될 때 높아 진다(Cho & Kim, 2017). 시뮬레이션 수업도 시나 리오 주제와 관련된 학습 목표를 선정하고 연계된 간호지식을 학습한 후 상황에 맞는 간호술기를 적용 하는 과정을 가진다. 또한, 시뮬레이션 구동과 디브 리핑을 통해 교수는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며 학생이 스스로 학습목표를 달성 할 수 있도록 유도하므로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Ross & Burrell, 2018). 본 연구에서도 시나리오별 학습목표를 제시 하고 연계된 근거기반 수행전략을 학습한 후 학생들 스스로 수업과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반영하였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수업과정을 통해 학습만족도는 향상되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불안은 60.01점에서 55.81점으로 감 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 계 술기는 다르지만 환자모형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수업에서 불안이 감소한 연구결과와 일 치한다(Labrague et al., 2019). 또한, Kim, Park 과 Won (2016)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환경 중 일방향 거울(one-way mirror), 예상치 못한 상황 의 직면, 교수자의 실시간 평가로 인해 수업에 참여 하는 학생은 ‘중’이상의 불안 정도를 보고하였다. 시 뮬레이션 수업 중 불안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실습 전 충분한 사전계획과 시뮬레이션 구동 전 시뮬레이 션이 이루어지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충분한 오리엔 테이션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Elfrink, Nininger, Rohig, & Lee, 2009). 본 연구에서는 사전학습 외 에 사전브리핑으로 교실 사전브리핑과 실습실 사전 브리핑을 진행하여 각 시나리오에 대한 대상자를 충 분히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배정하였고, 시뮬레이션 에서 적용되는 근거기반간호 주요술기를 교수자가 직접 시범보이고 설명한 후 학생들이 실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구동 시 동선과 사 용해야하는 물품 위치, 사용방법 등을 함께 논의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배정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본 시뮬레이션 연구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불안이 감소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추후에는 시뮬레이션 교육 시 불안을 감소할 수 있는 중재방법을 개발하고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신감과, 학습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학습자신감이 높을수록 학습 만족도는 높았다. 이는 연계 술기는 다르지만 학습 자신감이 높을수록 수업의 관심과 참여도가 상승하 며, 학습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주는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한다(Kang & Kang, 2020). 본 연구결과와 같 이 학습자신감은 학습만족도에 관련 있는 중요한 변 수로 학습성과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선행요인이다 (Kim & Kang, 2016). 학습자신감이 높을수록 도 전적인 학습수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만족 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Kang & Kang, 2020). 따라서 추후에는 본 연구에서 효 과를 확인한 변수 외에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영향요인을 파악하 여 중재에 반영하는 중재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불안이 높을수록 학습자신감과 학습 만족도는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학생들의 불안이 높을 때 시 뮬레이션 수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학습자 신감이 낮아지면서 잦은 실수를 반복하게 되고 이로 인해 위축되면서 소극적으로 실습에 참여하게 되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Kim et al., 2016). 또 한 학생들은 불안이 상승하면 시뮬레이션 교육 시 이전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기억하거나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집중력이 방해되어 실습이 산만하고 분 산되면서 실습의 만족도 또한 감소된다(Hutchinson & Janiszewski Goodin, 2013). 선행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수준을 먼저 파악하고 시뮬레이션 난 이도를 조정하거나, 다양한 난이도의 시뮬레이션 시 나리오를 준비하여 학습자에게 선택하도록 하여 불 안을 감소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Kim et al., 2016). 이에 근거하여 시나리오 개발 시 학습자의 요구도 조사 및 학습자 참여를 통해 난이도를 조정 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불안을 감소하고 학습 자신감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 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최신 간호지식을 실무에 적용 하는 사례와 방법을 학습함으로 학습자신감, 학습만 족도는 증가하고 불안은 감소함으로써 체계적인 근 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중요성을 검증하였 다. 나아가 졸업 후 전문직 간호사로써 과학적 간호 를 수행할 수 있도록 근거기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반복적인 적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로 대조군에 대한 비 교가 없고, 대상자 선정 시 무작위 선정이 진행되지 않았으며, 일 개 간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무작위 대조군 전・후 설계로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필요하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항암환자, 기흉, 고혈압 환자에 대한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기 위한 근거기 반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 하고 교육 후 학생들의 학습자신감, 학습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불안이 감소하여 교육의 효과성 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은 자신감을 높이고 졸업 후 현장에서 근거기반 실무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전략으로 활용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히 교수자와 학습 자간 상호작용과,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가 능한 시뮬레이션 교육 적용 시 이론적 지식을 직접 간호에 적용하는 과학적 간호수행경험을 높일 수 있 어 간호교육과 실무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 자 한다. 첫째, 항암환자, 기흉, 고혈압환자의 간호 역량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효과의 지속 성과 실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육에 참여한 졸업생 을 대상으로 다양한 환자 상태를 반영한 전향적 연 구설계를 제언한다. 둘째, 추후 연구에서는 무작위 할당을 통한 대조군을 전・후 연구설계로 시뮬레이 션 수업 프로그램의 효과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학생들이 근거기반의 다양한 간호전략을 세울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나리 오를 개발하고 교육결과와 관련된 다른 변수를 탐색 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Figure

    JKSSN-10-2-65_F1.gif
    Development process of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Table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process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35)
    Verification effect on Learning experience and Anxiety after the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N=135)
    Relationships among Study Variables in the Posttest (N=135)

    Reference

    1. Alessi, S. M. , & Trollip, S. R. (2001). Multimedia for learning: Methods and development (3rd ed.). Boston: Allyn and Bacon.
    2. Bell-Gordon, C. , Gigliotti, E. , & Mitchell, K. (2014). An evidence-based practice project for recognition of clinical deterioration: Utilization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4(6), 69-76.
    3. Botma, Y. (2014).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n how immersive simulation promotes theory-practice integ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frica Nursing Sciences, 1, 1-5.
    4. Burrell, S. A. , Ross, J. G. , D’Annunzio, C. , & Heverly, M. (2021).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in an oncology symptom management seminar-style course: Prelicensure nursing student outcomes. Journal of Cancer Education, 1-8.
    5. Cheung, R. Y. M. , & Au, T. K. F. (2011). Nursing students’ anxiety and clinical performa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5), 286- 289.
    6. Cho, M. K. , & Kim, M. Y. (2017). Effects of learner motivation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4), 468-477.
    7. Elfrink, V. L. , Nininger, J. , Rohig, L. , & Lee, J. (2009). The case for group planning in human patient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83-86.
    8. Fleiss, J. L. , Levin, B. , & Paik, M. C. (2013). Statistical methods for rates and proportions. Toronto: John Wiley & Sons.
    9. Hutchinson, T. L. , & Janiszewski Goodin, H. (2013). Nursing student anxiety as a context for teaching/learning. Journal of Holistic Nursing, 31(1), 19-24.
    10. Jeffries, P. R. , & Rizzolo, M. A. (2006). Summary report. Project title: Designing and implementing models for the innovative use of simulation to teach nursing care of ill adults and children: A national, multi- site, multi-method study. Multi-Site, Multi-Method Study Project Sponsors National League for Nursing and Laerdal Medi.
    11. Kang, H. , & Kang, H. Y. (2020).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clinical compet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8), 107-114.
    12. Khalaila, R. (2014).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n evaluation of students' outcomes at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combined with simulations. Nurse Education Today, 34(2), 252-258.
    13. Kim, E. J. , & Kang, S. J. (2016). Effects of the simulation on the ego resiliency,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major of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324-330.
    14. Kim, J. T. ,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11), 69-75.
    15. Kim, M. Y. , Park, S. , & Won, J. (2016).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anxiety during simulation training on personal satisfaction of simulation,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4), 411-418.
    16. Ko, E. , & Kim, H. Y. (2014). Effects of multi-mode simulation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1), 107-116.
    17. Labrague, L. J. , McEnroe-Petitte, D. M. , Bowling, A. M. , Nwafor, C. E. , & Tsaras, K. (2019). High‐fidelity simulation and nursing students’ anxiety and self‐confidence: A systematic review. In Nursing Forum, 54(3), 358-368.
    18. Lee, E. K. , Jung, S. Y. , Kim, E. H. , Park, J. H. , Lee, Y. J. , Lee, B. G. , et al. (2020). Effects of clinical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8(2), 51-63.
    19. Lee, M. N. , Kim, H. Y. , & Lim. Y. S. (2021). Examining learning effects of simulation by applying scenario-based core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9(1), 27-40.
    20. Murray, T. A. , Simmons, K. J. , Boyd, E. , Holmes, S. , Bobo, T. L. , & Turner, J. (2022). Evidence-based strategies to advance BSN student diversity.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39, 122-130.
    21.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22, June 10). A guide to state approved schools of nursing. Retrieved June 10, 2022, from https://www.nln.org/docs/default-source/uploadedfiles/default-document-library/instrument-2-satisfaction-and-self-confidence-in-learning.pdf
    22. Park, M. H. , & Kim, E. J. (2021). Effect of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the structured discussion-based problem bas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9(2), 47-59.
    23. Polit, D. F. , & Beck, C. T. (2006).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9(5), 489-497.
    24. Ross, J. G. , & Burrell, S. A. (2018).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to facilitate learning in evidence-based oncology symptom manage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7(4), 250-253.
    25. Simmers, P. C. (2014). Simulation as a learning tool in the oncology setting. Journal of the Advanced Practitioner in Oncology, 5(3), 217-223.
    26. Song, C. E. , & Jang, A. (2021). Simulation design for improvement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evidence-based practice: A scoping-review protocol. PLoS One, 16(11), e0260238.
    27. Song, Y. A. (2014).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by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self-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nd nursing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4), 246-254.
    28. Spielberger, C. D. (1975). Stress and anxiety (1st ed.). Washington D.C.: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29. Szpak, J. L. , & Kameg, K. M. (2013). Simulation decreases nursing student anxiety prior to communication with mentally ill patient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9(1), e13-e19.
    30. Yoo, J. H. (2016).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clinical competency in simulation-based education-based on Jeffries's simulatio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