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0 No.2 pp.79-91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2.10.2.79

Experience of Handover Education Using Concept Maps in Simulation Based Nursing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

Moon ju Oh*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Songwon University

오 문주*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이 논문은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Corresponding Author: Oh, Moon ju Department of Nursing, Songwon University, 73, Songam-ro, Nam-gu, Gwangju, 61756, Republic of Korea Tel: +82-62-360-5828, Fax: +82-62-360-5961, E-mail: moonzasee@naver.com
20221030 20221126 20221212

Abstract


Purpose: This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nursing students interpret their experiences with handover education using concept maps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8, 2021 to April 6, 2022, through in-depth one-to-one interviews with 11 nursing students.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lasted for 30 to 45 minutes per session. The main interview question was “How do you make meaning of your experiences with handover education using concept maps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ree categories of were identified: actively engaged with students, addressed the reality of handover education, and there are two sides to handov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quire systematic education on the take-over method and process that can integrate and structure the continuity and thinking necessary for nursing work. Conclusion: Handover education using concept maps in simulation-based methods should be adapted according to the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and their contextual needs. Future studies using large sample sizes and multiple settings should substantially evaluate the impact of handover education programs using concept maps on clinical outcomes.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교육은 간호대학생의 간호 현장에서 요구되 는 지식과 기술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Oermann & Gaberson, 2016). Chirema (2007)은 학부 과정에서 습득한 이론적 지식과 기술 능력이 임상 실무까지 연계되어야 간호의 질이 향상 된다고 하였으나, 간호 교육과정의 시간적 제약, 임 상 실습지의 여건 등으로 인한 관찰 위주의 실습 경 험은 간호대학생들이 졸업 후 간호사가 되었을 때 임상 실무 전이(transition)에 혼란을 느낀다고 하 였다(Shin et al., 2018). 특히 대학을 갓 졸업한 신 규 간호사들은 간호업무 중 인수인계의 어려움을 호 소하므로(Kim & Kim, 2017), 간호업무 중 인수인 계 업무를 충분히 경험하고, 인수인계 방법을 학습 함으로써 인수인계 수행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전략이 요구된다.

    간호사의 업무 중 인수인계는 환자의 상황 및 임 상 데이터와 관련된 종합적인 정보를 체계적으로 전 달하는 과정으로(Scovell, 2010), 간호업무의 연속 성을 위해 필수적이다(Alhamid et al., 2016;Lockwood, 2016). 부적절한 인수인계는 검사의 누 락, 투약오류, 환자 응대시간 지연 등 환자 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므로(Alhamid et al., 2016), 간호대학생의 체계적인 인수인계 교육이 매 우 중요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간호업무 중 인수인계에 대한 학부 과정의 체계적인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신규 간호사가 되었을 때 인수인계는 프리셉터 및 동료 간호사들의 방법을 관 찰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간호업무 수행을 위한 인수인계 교 육 전략이 요구된다. 인수인계 교육은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환자의 상태를 전 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고, 비판적 사고, 의사소 통 능력, 임상 수행 능력, 자신감 등이 요구되는데 (Kim & Kim, 2017), 이와 같이 통합적인 간호역량 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환경인 시뮬레이션 기 반 교육 현장에서 인수인계 역량을 촉진할 수 있다 (Berkenstadt et al., 2008;Collins, 2014).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실수가 허용된 안전한 환경에서 실제에 기반한 가상의 공간에서 이론적 지 식과 술기를 직접 수행하는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 로 수행한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 능력, 임상수행 능력, 의사소통 능력, 자기효능감 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 로 보고된다(Kim & Ham, 2015). 그러나 간호대학 생들은 시뮬레이션 상황의 환자 정보를 통합하고 간 호업무 수행 결과를 체계적으로 전달하는데 어려움 을 호소하므로(Berkenstadt et al., 2008) 이론적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체계적이고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인수인계 교육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개념지도 학습은 Novak과 Gowin (1984)이 개발 한 학습법으로, 간호교육에서의 개념지도 학습은 지 식에 대한 이해를 높여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 하고 분석, 계획, 수행, 평가, 치료적 의사소통 학습 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진다(All, Huycke, & Fisher, 2003;Garwood, Ahmed, & McComb, 2018). 더불어 Hicks-Moore (2005)는 간호교육에 서의 개념지도 학습은 간호이론과 임상 실무를 연결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그 결과 간호대학생 들의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Bressington, Wong, Lam, & Chien, 2018), 임상에 대한 자신감(Samawi, Miller, & Haras, 2014), 임상수행능력(Abd El-Hay, El Mezayen, & Ahmed, 2018), 협업능력(Tseng et al., 2011)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개념지도를 활용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방사선 학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학습 효과를 확인하 거나(Seoung, 2019), 교수-학습 방법으로의 개념 지도 학습 전략(Daley et al., 2016;Lin, Han, Huang, Chen, & Su, 2022), 신규 간호사를 대상 으로 한 개념지도 교육 효과(Kim & Kwon, 2021), 실습 역량 향상을 위한 개념지도 교수법의 효과 (Kim, 2020) 등의 연구가 수행되었을 뿐, 간호대학 생을 대상으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간 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을 탐색하여 인수인계 역량증진을 위한 교 육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 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서술 하여 의미의 본질을 탐색하고, 참여자들의 주관성이 반영된 경험을 통찰하고 해석하고자 한다. 이는 임 상 실무에서의 간호업무 중 인수인계 역량 증진 전 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경험의 본질을 파악 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 구 질문은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Colaizzi (1978)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 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을 심층적으 로 이해하며 이를 통해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 한 질적 연구이다. Colaizzi (1978) 분석방법은 개인 의 속성보다는 연구 참여자 전체에게 나타나는 공통 적인 속성을 이끌어내는데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 에,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의 본 질을 파악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 연구 참여자 선정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 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인수인계 교육 경 험을 풍부하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참여자를 선정하 고자 목적적 표본추출 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 로 연구 참여자는 G 광역시에 위치한 일개 간호대학 의 3학년과 4학년에 재학 중이며 시뮬레이션 기반 개념지도 활용 인수인계 교육을 경험한 자이다. 연 구 참여자는 본 연구자가 소속한 대학의 학생으로, 연구자는 참여자 모집을 목적으로 직접 상호작용하 지 않았으며, 연구보조원이 연구 참여자 모집 안내 문을 학생 휴게실 게시판에 공지하였다. 연구 참여 자 안내문에는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절차, 활용 방안 등이 공지되었으며, 궁금한 내용에 관하여 연 락할 수 있도록 연구자의 연락처를 첨부하였다. 이 후 연구 참여를 원하는 학생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 용, 절차를 설명하였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자발적 으로 서면 동의한 학생 11명을 선정하였다.

    3. 교육과정

    본 연구 참여자들은 호흡기계에 대한 이론과목을 수강하고 만성폐쇄성폐질환 건강문제에 관하여 시 뮬레이션 기반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을 경험한 자이며, 개념지도 활용 인수인계 교육은 시 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에서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4∼5명으로 구성된 팀 단위로 수행되었 다.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 첫 번째 단계는 시뮬레이션 실습 주제에 맞는 강의와 퀴즈를 활용한 이론 수업(60분), 개념지도 작성법 교육(60분)을 시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사전학습 내 용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정보를 강의한 영 상 학습 자료를 제공받았으며, 연구자는 시뮬레이션 구동 전 미니 강의와 퀴즈를 활용하여 만성폐쇄성폐 질환 간호와 그 근거에 대한 이론적 지식 정도를 확 인하였다. 또한, 개념 지도 작성은 시뮬레이션 기반 만성폐쇄성폐질환 대상자의 상황을 시간적 흐름 순 서대로 초기-중기-후기로 나누어 표를 그리고, 대 상자 증상 및 관련 정보를 표 안에 작성하고, 수행한 간호 업무와 그 근거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을 적용(25분)하였으 며, 세 번째 단계는 시뮬레이션 구동 시 수행한 간호 업무와 그 근거들에 대하여 시간적 흐름 순서대로 개념지도를 작성(20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네 번 째 단계로 개념지도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보조원에 게 구두 인수인계하고, 이후 연구보조원에게 전달한 인수인계 내용을 바탕으로 디브리핑(20분)이 이루 어졌다. 마지막으로 피드백 시간(15분)을 제공함으 로써 잘못된 개념지도 내용과 인수인계에 대하여 함 께 수정해 보았고, 참여자가 원할 경우 수정된 내용 으로 인수인계를 할 수 있도록 재학습의 기회를 제 공하였다.

    4. 자료수집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로, 연구참여자와의 관계 형성과 소통이 잘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9월 18일부터 자료가 완전히 포화 상 태에 이르게 된 2022년 4월 6일까지이다. 자료수집 은 개인 면담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면담 시작 전 에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연구참여자에 대한 자발적인 서면 동의서 를 받았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된 참여자들은 11명이고, 면담 장소는 참여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강의가 없는 시간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연구실, 빈 실습실 등에 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진행하기 위한 주요 질문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 용한 인수인계 교육은 어땠나요?”와 같은 개방형 질 문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가 스스로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구 참여자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면담은 한 사람당 1∼2회 실시하였 으며, 1회당 30분에서 약 45분 정도 소요되었고, 면 담 종료 단계에서는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과 관련하여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면 해주세 요.”라고 면담을 마무리하였다. 또한, 1차면담에서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전화를 이용하여 면담내용을 더욱 구체화하여 더 이상 새로운 정보를 얻지 못하 는 이론 포화에 도달하였다. 면담이 이루어지는 동 안 연구자는 참여자의 의미 있는 표정과 행동 등을 메모하였으며, 적극적인 경청자로서의 입장을 유지 하였다.

    면담내용은 참여자의 동의를 받고 모두 녹음하였 으며, 녹음한 내용과 메모 내용은 면담이 끝난 후 바로 연구보조원이 직접 컴퓨터로 필사하였고, 참여 자의 진술 그대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자는 내용 중 모호하거나 함축적인 부분은 참여자와 추가 면담을 실시하거나 전화로 내용을 명료화하였다. 면담은 자 료가 포화되어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발견되지 않 고 내용이 반복되는 시점에서 종료하였다. 참여자의 연령, 성별, 학년 등의 일반 특성에 관한 내용은 설 문지를 이용하였다

    5. 자료 분석

    자료는 Colaizzi (1978)가 제시한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근거로 단계를 좀 더 세분화하여 분석하였 다. 자료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 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을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녹음한 후 이를 필사 하였다. 참여자의 진술에 대한 느낌을 얻기 위해 참 여자의 진술을 반복해서 들으며 읽었다. 둘째, 시뮬 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과 관련된 구, 문장으로부터 의미 있는 진 술을 찾아서 밑줄을 긋고, 비슷한 의미의 진술들과 중복되는 진술을 추출하여 유사한 진술 중 대표적인 진술을 취하고 나머지는 생략하였다. 셋째, 추출된 문장의 진술들을 연구자의 언어로 재진술하여 의미 를 구성하면서 표출된 연구 현상의 다양한 맥락에 숨겨진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넷째, 추 출된 의미에서 주제를 뽑고 주제와 관련된 참여자의 진술을 분류하고, 의미 있는 진술로부터 구성된 의 미를 끌어내 도출된 의미를 주제로 구성하였다. 다 섯째, 주제를 비슷한 것끼리 모아 좀 더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주제모음으로 구성하였다. 여섯째 주제모 음을 타당화하기 위해 원 자료와 비교하면서 확인하 는 과정을 가졌다. 일곱째, 분석된 내용들을 하나의 기술로 통합한 후 연구 현상의 본질적인 구조에 대 한 총체적 기술을 하였다.

    6. 연구의 엄밀성 확보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엄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Guba와 Lincoln (1981)이 제시한 평가 기준에 따라 사실적 가치(truth value), 적용 가능성(applicability), 일관성(consistency), 중립성(neutrality)을 높이고 자 하였다. 먼저 신뢰성(credibility)은 연구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서술이 참여자가 신뢰할 수 있는 것인가를 보는 것으로 결과의 사실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참여자로부터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을 이끌어 내기 위해 노력하였고, 참여자들이 응답한 내용이 인 터뷰 사실과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응답 내용에 대해 의미가 맞는지 참여자들에게 확인하였 다. 또한 이해되지 않거나 모호한 내용은 참여자들에 게 재질문하고 녹음내용의 필사한 복사본을 반복하여 읽으면서 재확인하였다. 둘째, 연구 결과가 일반화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기준인 전이성(transferability) 을 위해 연구 참여자만의 특별한 경험이 아닌지를 논의하여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이 무엇인지, 속성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셋 째, 의존성(dependability)은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 일관성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으 로 본 연구의 수집 방법과 분석 절차에 대하여 자세히 있는 그대로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증성 (confirmability)은 연구 과정과 결과에 있어서 객관 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문을 제시 하였으며, 자료 분석 및 통계적 방법에서도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의 전 과정에서 연구자는 편견을 배제하고자 하였고, 질적 연구 전문가인 간호학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아 연구자의 주관성이 면담 과정이나 결과 등 해석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7. 연구자 준비

    본 연구자는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해 연구 방법론 과 관련된 이론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다 양한 연구 진행 경험을 쌓기 위해 노력하였다. 연구 자는 대학원 석ㆍ박사 과정 중 질적 연구방법론을 학습하였고, 교육통계연구소에서 주관하는 질적 연 구 및 질적 데이터 분석 특강에 참석하여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해 경험을 쌓고, 이를 기반으로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1편 이상의 질적 연구 논문을 수행 한 경험이 있다.

    8. 윤리적 고려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해 연구 참여 철 회 시 어떠한 불이익이 없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적 극적인 윤리적 보호를 위해 연구 참여자의 요구에 따라 개인 면담일정을 조율하고, 성적과 관련하여 영향을 받지 않도록 주말에 진행하였다. 면담내용은 익명으로 처리되며, 비밀이 보장되고, 녹음됨을 알 렸다. 면담자료는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곧바로 코드화하여 보관하였으며, 연구가 종료된 후에 폐기 될 것임을 안내하였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사실을 충분히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서면 동의서 에 서명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는 면담을 마친 후 감사의 표시로 일만 원 상당의 커피 상품권을 전달 하였다.

    Ⅲ.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 자료를 분석 한 결과, 총 14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추출되었다. 의미 있는 진술의 구와 문장을 반복하여 읽으면서 의미가 유사한 것들과 묶여 6개의 주제와 다시 3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주제 모음은 ‘적극적인 참여’, ‘현실적인 임상 실무 교육’, ‘인수인계 교육의 이중성’으로 나타났다(Table 1).

    1. 주제모음 1: 적극적인 참여

    이 주제 모음은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 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에 대한 현장감과 역동적인 실습에 대한 흥미를 담고 있다. 참여자들 은 실제 간호사로 이입되어 적극적인 교육을 경험하 였고, 환자와 관련된 간호업무에 대한 인수인계를 완벽히 수행하기 위한 긍정적인 긴장감을 갖고 있었 다. 이 주제모음에는 ‘역동적인 실습’, ‘상황에 몰입 하게 됨’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

    1) 역동적인 실습

    본 연구참여자들은 개념지도를 작성함으로써 환 자 상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그 내용을 명료 화하여 연구보조자에게 내용을 전달하는 인수인계 를 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간호현장에서 관찰한 인수인계 방법과 유사하게 이루어진 모습을 보며 인수인계 교육 수업에 대한 흥미와 실제 간호 사가 된 듯한 생동감을 느꼈다고 하였다.

    가장 효과적인 학습이 스스로 직접 해보고 깨 닫고 말하는 거라고 하잖아요. 근데 그게 뭔지 알겠더라구요. 그동안 임상실습을 많이 나갔어 도 인수인계를 듣기만 했었지 해본다는 것은 상상도 못하잖아요. 과연, 나는 잘할 수 있을 까? 어쩜 저 선생님은 인계를 깔끔하게 하지? 이런 생각을 해 본적이 있었는데 제가 직접 인 수인계를 해보니까... 뭐부터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구요. 그야말로 멘붕인 것 같아요. 그래도 잘 못했지만 뭔가 모를 진짜를 배운다 는 느낌? 내가 간호사가 된 듯한 느낌? 활어 의 싱싱한 느낌? 이 들었어요. (참여자 9)

    진짜 실제적인 수업 같아요. 정말 실무에 많이 도움이 될 것 같은? 저는 소화기내과 실습을 돌았는데 시뮬 수업에서 배운 내용과 똑같은 환자분을 인계한 신규 선생님을 봤는데... 우와! 대박! 정확한건 기억이 나지 않았지만 제가 배 웠던 인수인계 내용을 인계하시는 거예요. 상 황을 말할 때 모두 근거가 있었고, 체계적이었 어요. 진짜 놀랍고, 이건 찐이다 라고 생각했어 요. (참여자 11)

    2) 상황에 몰입하게 됨

    본 연구참여자들은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초기에 개념지도 작성과 작성된 내용들간에 연 계하여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학습법에 대한 어려움과 긴장감이 학습에 더욱 집중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처음에 개념지도를 작성할 때 어려웠어요. 특히 정리해서 말할 때는 더더욱 그랬던 것 같아요. 근데 할수록 개념지도 작성은 할만 했고, 오히 려 내가 환자에게 수행한 일이 한눈에 다 보이 니까 좋았어요. 처음에는 할 때(시뮬레이션 구 동) 담당의 말도 놓치고 검사 결과도 누락하 고... 깔끔하게 정리해서 인수인계하기가 어려웠 어요. 그래도 마지막에 교수님이 인수인계 디브 리핑이랑 피드백 주니까 요령 같은게 생긴 것 같아요. 그래서 수업을 할수록 점점 더 집중하 게 된 것 같아요. 구두 처방이나 환자 증상 같 은 것을 놓치지 않고...서로 연관지어서 인계하 려고 많이 노력했던 것 같아요. (참여자 2)

    수업 끝나면 선생님께(연구보조자) 인수인계했 었잖아요. 진짜 진짜 떨렸어요. 그 선생님은 혼 내지도 않고 그냥 인계받는 간호사처럼 그냥 서 있을 뿐이었는데도 선임 간호사에게 인계한 다는 생각에 긴장되더라구요. 저는 이것 때문 인지 구동하면서 더 몰입이 되었던 것 같아요. (참여자 6)

    2. 주제모음 2: 현실적인 임상 실무 교육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인수인계를 간호업무 중 중 요한 부분으로 인식하면서도 학교 및 임상실습을 통 해 체계적으로 배울 수 없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말 하고 있었다. 간호업무의 연속성과 논리적이고 과학 적인 근거기반 간호를 위해 인수인계 방법, 과정 등 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 주제모음에 는 ‘불충분한 교육’, ‘인수인계 이해’ 라는 주제를 담 고 있다.

    1) 불충분한 교육

    이 주제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개념지도 활용 인수 인계 교육에 대한 부담감과 함께, 신규 간호사가 되 었을 때 수행하게 될 인수인계 교육의 필요성을 호 소하고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학교에서의 인 수인계에 대한 교육이 제한적이고, 임상실습 중 인 수인계는 관찰만 하였기에 인수인계 교육은 간호사 의 업무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현실적으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제가 진짜 준비를 많이 해야 하잖아 요. 팀끼리 하니까... 다른 수업은 그냥 앉아있어도 되는데 이건 제가 뭔가를 계속 해야 하는데 거기 에 개념지도에다가 그 이유(근거)까지 쓰고... 제가 준비한 것에 비해 막상 하고 나면 괜히 허무한 것 같고... 부담은 있었죠. (참여자 10)

    이 수업은 꿀팁인 것 같아요. 솔직히 말하면 공부해야 하는 것이 많은 건 사실 이예요. 저 진짜 힘들었어요. 핵심술기도 해야하지 (병리) 기전도 알아야지, 약, 교육 등등... 진짜 헤비 (havy)해요. 그게 부담되는 것도 있었지만 솔직 히 어디에서도 배울 수 없는 수업? 이라고 생 각해요. 진짜 현실 수업인 것 같아요. 제가 4 학년이고 곧 임상에 나갈 것 생각하니 더 그런 것 같아요. (참여자 4)

    2) 인수인계 이해

    연구참여자들은 환자를 사정하고 처방을 받아 수 행한 간호 중재들을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지 않고, 환자 상황에 따라, 증상에 따라 구체적이지만 간결 하게 전달함으로써 간호업무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는 인수인계 교육이 필요하고, 개념지도 활용은 환자에게 수행한 간호업무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되 어 내용을 정리하여 전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 였다.

    실습 나가서 봤는데 신규 선생님이 인계를 다 했거든요? 근데 이브닝 선생님이 계속 그 선 생님을 불러서 다시 확인 하시더라구요. 왜 인 계를 안해주냐, 나는 환자를 어떻게 보라는 거 냐, 도대체 환자 파악이 안된다... 라면서 짜증 도 내셨던 것 같아요. (참여자 3)

    처음엔 개념지도 작성이 너무 막연했어요. 근 데 몇 번 하니까... 작성된 개념지도를 작성하 면서 순서도 정리가 되면서... 뭐랄까... 음...예 를 들면 블리딩(bleeding)과 저혈압, 빈맥 등의 관계를 알게 되고... 잘 모를 땐 혈압 얼마, 맥 박 몇 회, 호흡 몇 회 측정되었고, 출혈 소견 있습니다. 라고 말했다면 블리딩 얼마 있는데 측정된 혈압이 얼마고 팔럽(F/U; follow up)한 혈압, 피검사 결과도 같이 말할 수 있는 것 같 아요. (참여자 4)

    맞아요! 예를 들면, 아침에 토혈을 했는데 비피 (BP; blood pressure)가 떨어지고 하트레이트 올라서(HR; heart rate) 피검사 결과 헤모글로 빈 떨어졌다, 보고했더니 수액을 증량하고 수 혈도 했다... 이런 것처럼 요령같은 것을 알게 되죠. (참여자 2)

    3. 주제모음 3: 인수인계 교육의 이중성

    이 주제모음은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 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에 대한 이중성을 담고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은 예비 신규 간호사로서의 인수인계 업무에 대 한 불안감 극복, 간호업무에 대한 자신감, 성찰을 통 한 역량 증진에 도움이 된 반면, 환자 관련 내용 전 달에 대한 불안감과 간호사로서의 자신감 저하, 누 락된 인계로 인한 동료에 대한 미안함 등 심리적 두 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이 주제 모음에는 ‘인수인계 교육의 필요성’, ‘인수인계 교육으로 인한 심리적 두 려움’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

    1) 인수인계 교육의 필요성

    연구참여자들은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 육은, 막연하기만 했던 인수인계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인 수인계 후 디브리핑과 피드백 과정에 만족도가 높았 고 특히,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연계하는데 어려움 이 있는 부분을 피드백 과정에서 함께 토의하고 수 정하였고, 필요시 재학습 할 수 있도록 부여된 반복 경험이 인수인계 수행 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고 하였다.

    아이씨유(ICU: Intensive Care Unit) 실습할 때, 그때가 이브닝 이었는데 신규 쌤이 인계할 때 많이 혼나는 모습을 본적 있는데, 나도 저렇게 혼나면 어떡하지 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거든 요. 근데 제가 3학년 때, 4학년에 걸쳐서 1년 정도 해보니까... 그 쌤처럼 혼나지는 않을 것 같다는 나름의 근자감(근거없는 자신감의 줄임 말)이 생겨요. (참여자 7)

    처음부터 잘하지는 못하겠지만... 제가 까먹지 만 않는다면 나중에 간호사가 되어서 노티 (notify)하거나 일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 요. 간호사 선생님들이 이렇게 인계를 한다고 생각하니까 좀 더 노력해야 할 것 같아요. (참 여자 1)

    인수인계하고 나서도 이게 맞을까? 싶을 때도 있는데 항상 끝나고 피드백 주시고 다양한 방 법으로 인계 시범?? 해주시니까 저는 그게 좋 았어요. (참여자 5)

    2) 인수인계 교육으로 인한 심리적 두려움

    연구참여자들은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 지도 활용 인수인계 교육을 경험하면서, 환자와 관 련된 잘못된 정보 전달로 인한 간호업무의 자신감 저하와, 근무 시간 동안 수행하지 못한 간호업무를 동료에게 떠넘긴 것 같은 미안함으로 간호사 진로까 지도 고민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제가 교육을 받긴 했어도 아직은 잘 모르겠어 요. 꼼꼼하게 정리해서 전달할 수 있을까? 하 는 생각도 들어요. 간호는 과학이라고 하잖아 요. 비판적으로 환자 상황을 분석하고 판단하 여 조리있게 인계할 수 있을지...(참여자 3)

    만약 제가 인수인계 하고 퇴근하려고 하는데, 제 환자를 보는 쌤이 (저를)자꾸 불러서 확인하 면 되게.. 뭐랄까 신경 쓰일 것 같아요. 내가 제 대로 확인 안했거나 전달하지 않았을 때 미안함 그 이상일 것 같아요. 선배 얘기를 들어보면 끝 나고 전화 올까봐 전화기만 계속 보고 있었다고 하더라구요. 저도 그럴까봐...(참여자 8)

    우수갯소리로 이 길은 내 길이 아닌가벼.. 그런 얘길 하는데.... 간호사를 과연 할 수 있을 까 하는 생각도 들어요. (참여자 1)

    Ⅳ.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 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을 통찰하 고 의미의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인수인계 교육 전략을 수립하는데 근거를 제공하고자 Colaizzi (1978)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 다. 연구 결과 총 14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추출되었으 며, 최종 도출된 주제모음은 ‘적극적인 참여’, ‘현실적 인 임상실무 교육’, ‘인수인계 교육의 이중성’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첫 번째 주제모음은 ‘적극적인 참 여’이었다. 연구참여자인 간호대학생들은 관찰만 해 오던 인수인계를 직접 수행하였고, 인수인계 순서나 방법 등을 배움으로써 실제 간호사가 된 듯한 생동감 을 경험하였다. 무엇보다도 환자와 관련된 간호업무 에 대한 인수인계를 완벽히 수행하기 위한 긍정적인 긴장감을 경험하였다. 간호교육의 목표는 임상 실무 에서의 이론적 지식과 기술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Oermann & Gaberson, 2016), 간호대학생들은 기초 전공교과목 학습을 시작으로 고학년으로 올라 갈수록 많은 임상실습을 경험한다. 하지만 제한된 임 상실습 환경 및 관찰위주 실습경험은 임상에서의 간 호업무 수행 능력 저하를 유발한다(Shin et al., 2018). 하지만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념지도 학 습 방법을 적용한 연구 결과(Gerdeman, Lux, & Jacko, 2013), 질병에 따른 사정, 진단, 간호 중재 등 구체적인 지식을 학습할 수 있었고, Bressington 등(2018)은 개념지도 학습은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 키며, 간호사들의 간호역량을 증진시킨다고 하였다. 더욱이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수인계 교육에 대 한 요구도 분석 결과(Kim & Kim, 2017), 환자 정보 를 전달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인수인계 방법 및 순 서, 내용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건강문제에 관한 정보를 강의한 영상 학습자료 제공 및 미니 강의를 하고, 시뮬레이션 구동 초기-중기-후기에 따른 간호업무 및 수행 근거에 대하여 개념지도를 작성한 후 작성 내용을 근거로 구두 인수인계하도록 하였는데, 시뮬 레이션이라는 안전한 환경에서 개념들을 조직화하여 시각적으로 검토하고 간호업무 중 부담감이 큰 인수 인계를 스스로 수행하였기에 연구참여자들이 상황에 몰입되고 생동감을 느끼는 교육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주제모임은 ‘현실적인 임상 실무 교육’이 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향후 신규 간호사가 되 었을 때 수행할 인수인계 업무에 대한 부담감 가지 고 있었는데, 이는 Kim과 Kim (2017) 연구와 유사 한 결과로, 본 연구의 참여자들 또한 학교에서 인수 인계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할 기회가 적고, 임 상 실습 중 관찰 위주의 학습 영향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에서 이 론 및 실기 수업, 임상 실습을 통한 인수인계 경험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은 현실적으로 반드시 경험해야 할 학습 과정이 며, 정확하고 명료하게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간호업 무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는 인수인계 방법의 필 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안전하고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 한 교육은 환자에 대한 사정, 중재, 평가 등 통합실 무 능력을 향상시키며(Hicks-Moore, 2005), 본 연구의 개념지도 활용 인수인계 교육은 지리멸렬하 게 상황을 나열하지 않고 간호업무 수행을 시뮬레이 션 상황의 시간적 순서대로 표로 작성하기에, 시각 적으로 환자와 관련된 전체 정보를 조망할 수 있으 므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이 미래 신규 간호사가 되었을 때 간호업무의 연속성 유지에 도움 이 되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세 번째 주제모음은 ‘인수인계 교육의 이중성’이었다. 본 연구의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 계 교육은 연구참여자들이 신규 간호사가 되었을 때 수행할 인수인계 업무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고, 인수 인계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 념지도를 활용한 간호업무 교육이 신규 간호사의 인수 인계 수행능력을 향상(Kim & Kwon, 2021)시키며, 인수인계에 대한 긍정심리 및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 적(Kim & Kwon, 2021)이라는 연구 결과를 지지한 다. 본 연구의 인수인계 교육은 실수가 허용되는 안전 한 환경인 시뮬레이션 기반에서 수행되었고, 개념지 도 활용은 이론적 지식과 기술을 통합하여 생각을 구조화하였으며, 디브리핑과 피드백, 재학습의 기회 제공이 참여자들의 인수인계 수행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체계적인 디브 리핑과 성찰은 시뮬레이션 학습 경험을 깊게 하고 업무에 대한 자신감 증진(Lestander, Lehto & Engström 2016)에 필수 요소로, 본 연구의 개념지도 활용은 질병에 대한 병태생리적 이해, 검사, 간호 중재 등에 대한 개념들을 연결시키고 조직화할 수 있는 인수인계 교육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연구참여자들은 인수인계 교육 경험이 오 히려 간호업무의 자신감을 저하시키고, 미결업무에 대한 인수인계는 동료에 대한 미안함과 임상 실무에 대한 두려움마저 느끼게 한다고 하였다. 이는 이론 적 지식 부족, 부정확한 인수인계 내용, 미결업무 보 고 등이 간호사 간 업무 인계 시 부정적 감정을 유발 한다는 Jeoung 등(2014)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시뮬레이션 상황별 간호업무 수 행과, 수행에 따른 명확한 근거 제시, 그리고 환자 결과 평가까지 간호진단에 기반한 인수인계에 대한 ‘새로운 수업 방법의 부담’ 경험은 연구 참여자로 하 여금 불편감을 경험하게 하고 일시적으로 부정적 교 육 경험으로 지각될 수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경험 학습과 수준별 인수인계 교육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 에 대한 의미를 밝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일부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고, 연구보 조원을 적극 활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교과목에서 운영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연구 결과 해석에 신중 을 기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Colaizzi (1978)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 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 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분석 결과, 총 14개의 의미 있는 진술로 3개의 주제모음과 6개 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에 서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은 ‘적극 적인 참여’, ‘현실적인 임상 실무 교육’, ‘인수인계 교 육의 이중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직접 인수인계를 해봄으로 써 실제 간호사가 된 듯한 사실감을 경험하였고, 개 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경험이 예비 신규 간호사로서의 인수인계 불안감 극복과 간호업무에 대한 자신감 증진, 잘못된 인수인계로 인한 동료에 대한 죄의식, 임상실무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업무의 연속성과 생각을 통합하여 구조화할 수 있는 인수인계 과정 및 방법 이 과제로 남았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다음 과 같이 제언한다.

    • 첫째,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이 인수 인계 수행능력 증진을 위한 전략적 교육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립하기 위 한 반복 연구와, 연구 참여자 수를 다양화하여 개념 지도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 를 제언한다.

    • 둘째,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방법이 이론적 지식과 기술을 구조화 할 수 있도록 인수인 계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셋째, 개념지도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의 성공 적인 요소로 구체적인 디브리핑과 긍정적인 피드백, 필요시 재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교육환경 과 훈련된 교수가 준비가 필요하겠다.

    Figure

    Table

    Simulation-Based handove Education Experience for Nursing Students

    Reference

    1. Abd El-Hay, S. A. , El Mezayen, S. E. , & Ahmed, R. E. (2018). Effect of concept mapping on problem solving skills, competence in clinical setting and knowledg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8(8), 34-46.
    2. Alhamid, S. M. , Lee, D. X. Y. , Wong, H. M. , Chuah, M. B. , Wong, Y. J. , Narasimhalu, K. , et al. (2016). Implementing electronic handover: Interventions to improve efficiency, safety and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8(5), 608-614.
    3. All, A. C. , Huycke, L. I. , & Fisher, M. J. (2003). Instructional tools for nursing education: Concept map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4(6), 311-317.
    4. Berkenstadt, H. , Haviv, Y. , Tuval, A. , Shemesh, Y. , Megrill, A. , Perry, A. , et al. (2008). Improving handoff communications in critical care*: Utilizing simulation-based training toward process improvement in managing patient risk. CHEST, 134(1), 158-162.
    5. Bressington, D. T. , Wong, W. K. , Lam, K. K. C. , & Chien, W. T. (2018). Concept mapping to promote meaningful learning, help relate theory to practice and improve learning self-efficacy in Asian mental health nursing students: A mixed-methods pilot study. Nurse Education Today, 60, 47-55.
    6. Chirema, K. D. (2007). The use of reflective journals in the promotion of reflection and learning in post registratio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27(3), 192-202.
    7.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8. Collins, G. (2014). Using simulation to develop handover skills. Nursing Times, 110(8), 12-14.
    9. Daley, B. J. , Morgan, S. , & Black, S. B. (2016). Concept maps in nursing education: A historical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direction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5(11), 631-639.
    10. Garwood, J. K. , Ahmed, A. H. , & McComb, S. A. (2018). The effect of concept maps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9(4), 208-214.
    11. Gerdeman, J. L. , Lux, K. , & Jacko, J. (2013). Using concept mapping to build clinical judgment skill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3(1), 11-17.
    12. Guba, E. G. ,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3. Hicks-Moore, S. L. (2005). Clinical concept maps in nursing education: An effective way to link theory and practi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5(6), 348-352.
    14. Jeoung, Y. , Park, Y. I. , Lee, J. W. , Park, S. C. , Jin, J. K. , Lee, H. Y. , et al. (2016).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effective nursing intershift handoff communication on nurses' intershift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interrelationship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5(3), 176-186.
    15. Jeoung, Y. , Park, Y. I. , Park, S. C. , Jin, J. K. , Baek, S. E. , Lee, H. Y. , et al. (2014). The handoff communication experience of nurses-Focused on content analysis-.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9(1), 61-71.
    16. Kim, H. S. , & Kwon, S. H. (2021). Effects of handoff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and PASS-Bar.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8(1), 1-10.
    17. Kim, J. H. , & Kim, H. Y. (2017). Educational need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scenarios on simulation based education of nursing handoffs for new nurses.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7), 429-448.
    18. Kim, S. H. , & Ham, Y. S. (2015). A meta 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08-319.
    19. Kim, Y. S. (2020).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ncept mapping to improve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ie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9), 237-252.
    20. Lestander, Ö. , Lehto, N. , & Engström, Å. (2016).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after high fidelity simulation: Effects of a three-step post-simulation reflection model. Nurse Education Today, 40, 219-224.
    21. Lin, C. , Han, C. , Huang, Y. , Chen, L. , & Su, C. C. (2022). Effectiveness of the use of concept maps and simulated cases as a teaching learning strategy in enhancing the learning confidence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A qualitative approach. Nurse Education Today, 115, 105418.
    22. Lockwood, C. (2016). What is the best nursing handover style to ensure continuity of information for hospital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00(58), 97-99.
    23. Novak, J. D. ,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Oermann, M. H. , & Gaberson, K. B. (2016). Evaluation and testing in nursing education (5th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5. Samawi, Z. , Miller, T. , & Haras, M. S. (2014). Using high-fidelity simulation and concept mapping to cultivate self-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5(6), 408-409.
    26. Scovell, S. (2010). Role of the nurse-to-nurse handover in patient care. Nursing Standard, 24(20).
    27. Seoung, Y. H. (2019). Report of radiologic education effect case in first-year students at university using concept map.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42(6), 491-496.
    28. Shin, S. J. , Kim, J. H. , Kang, Y. M. , Roh, Y. H. , Jeong, S. Y. , Hwang, E. H. , et al. (2018). The experiences of difficulties for nurses in clinical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19(1), 40-47.
    29. Tseng, H. C. , Chou, F. H. , Wang, H. H. , Ko, H. K. , Jian, S. Y. , & Weng, W. C. (2011).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concept mapping among Taiwanese registered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1(8), e41-e46.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