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0 No.2 pp.93-104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2.10.2.93

The Effects and Adaptation of Augmented Reality–Based Intradermal Injection Practice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피내주사 실습교육 적용 및 효과

Mi-Seon Kim1, Hyeon Cheol Jeong2*
1Ph.D. Candidate,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2Professor, College of Nursing, Sahmyook University

김 미선1, 정 현철2*
1삼육대학교 대학원 간호학박사수료
2삼육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Corresponding Author: Jeong, Hyeon Cheol Sahmyook University, 815, Hwarang-ro, Nowon-gu, Seoul, 01795, Rep. of KOREA
Tel: +82-2-3399-1592, E-mail: love2hc@syu.ac.kr
20221031 20221128 20221212

Abstract


Purpose: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intradermal injection practice education. Practical augmented reality (AR) 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on clinical competence,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 Participants were nursing students at “S” university. There were 37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6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for a total of 73 students. The measurement scales were clinical competence,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questionnaires.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using AR with smart glasses; the intervention in the control group was conducted using a tablet P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χ2-test, and ANCOVA using the SPSS 25 program. Results: Clinic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90.99±0.23) than in the control group (70.43±0.23; F=3745.89, p<.001).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55.56±1.32) than in the control group (42.50±1.32; F=46.15, p<.001).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40.81±6.58) than in the control group (32.56±7.74; t=4.52,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velop effective nursing competency teaching strategies an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learning and nursing education.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은 2022년 4주기 인증평가 에서도 간호대학생이 18개의 핵심기본간호술을 반 드시 익히도록 하고 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22). 이는 간호학 교과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이 간 호지식과 술기를 익히고 추후 간호사 역량함양을 통 해 임상 현장에서 적절한 지식과 기술, 판단을 보여 주고 유능하게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인 임상수행능력 (Chang et al., 2014;Lim, 2017)의 기초가 되는 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간호대학생이 간호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학 습성과를 달성하도록 하는것이 간호교육의 핵심 (Lim, 2017)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간호대 학생은 기본간호학 및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에서 부터 상당한 시간을 할애하며 간호 역량을 준비하고 있다(Chang et al., 2014). 이러한 교과목을 학습 하는 학생의 입장에서는 임상수행능력 향상이라는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학습성과 달성을 위해 간호 대학생과 교수자가 동시에 노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고, 때로는 학업스트레스를 유발하기도 (Choi & Kwon, 2017) 한다. 특히 임상수행능력 향 상을 위해서는 기본간호학실습 및 임상실습과 같은 교육이 필요하다(Chang et al 2014). 특히 투약실 습에 있어서 피내주사 실습항목은 기본간호학실습 및 핵심기본간호술 교과목의 한 내용에 해당하고 수 술 전 간호, 알레르기 반응검사 및 결핵과 관련된 수행을 해야 하는 등의 목적(Kim & Kang, 2011)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난이도가 ‘상’에 해당하는 어려운 항목으로 간호대학생의 투약 역량을 증진하는 항목 중 중요한 항목으로 지정되어있으며 간호대학생 4 학년의 졸업을 위한 평가 중 하나인 핵심술기평가에 포함되어있는 것에서도 그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자기효능감은 자신 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확신으로 인해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고 그 행동을 지속시키 는 힘이라고 정의된다(Bandura, 1977). 자기효능 감은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영향요인이고 (Ha, Kwon, Kim & Song, 2022;Song, 2020),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 점수가 높았 다(Chae, 2021;Ha et al., 2022;Lee, Kim & Lim 2021). 특히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은 실습을 수행할 때에 해당되는 과업을 잘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적극적인 태 도로 임하게 되며, 수행 과정에 어려움이 있더라도 반복적으로 노력하는 과정에서 수행자신감 향상에 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다(Chae, 2021;Lee et al., 2021;Song, 2020;Yeter & Havva, 2021). 그러 나 수행자신감은 교내실습이나 시뮬레이션 실습보 다는 임상현장실습을 통해 향상될 수 있고(Chang et al., 2014), 간호현장에서 핵심기본간호술의 직 접 경험이 어려운 현실성을 고려하여, 자신감을 향 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모색해야 한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성취결과나 행동을 설명 하는데 중요한 변수라고 나타난 연구결과(Lee et al., 2021)를 미루어볼 때 투약 실습교육에도 역시 중요하게 작용할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본 간호학실습 수업 시에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가 충만 한 교육환경을 제공하면 학습자인 간호대학생의 교 육만족도가 향상된다(Choi & Kwon 2017). 결국 교수자는 학습자 교육만족도 증진을 위해서도 노력 해야 하므로 어려움이 있다.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메타버스(MetaVerse) 와 관련된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교육 콘텐츠 및 프로 그램이 개발되고 있는데(Gordon & McGonigle, 2018;Heo, 2022) 특히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하 는 현실감과 몰입감이 증가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교육 이 주목받고 있다(Gordon & McGonigle, 2018;Verkuyl & Hughes, 2019). 증강현실(AR)은 현실세 계와 가상세계를 실시간으로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몰입감과 현 실감을 제공하는 기술(Azuma, 1997)로 주목받고 있 으며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객체화해서 실제 배경에 가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실제 적용되는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학습경험을 강화하는 Mixed Reality를 구성한다는 장점이 있다(Verkuyl & Hughes, 2019). 이처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교육 효과를 검증한 연구로는 국외에서는 모바일 증강현실 교육 연구(Kurt & Ozturk, 2021), CABG 수술 참여 수술실 학생들의 실습연구(Sanglzaei & Omid, 2021)와 아동의 충수돌기절제술 시나리오를 이용한 가상시뮬레이션실습연구(Verkuyl, Romaniukuk, Atack & Mastrilli, 2017)와 다수의 연구에서도 증강 현실 및 가상현실 기반 교육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 고 있다. 최근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증강현실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로는 고위험 분만 간호교육(Kim, 2022)이 있고, Heo (2022)의 개인보 호구 실습교육 연구, 핵심술기 수혈 자율실습을 위한 연구(Kim & Jeong, 2021)가 있었다. 국내에서 가상 현실 기반의 교육을 적용한 연구로는 유치도뇨 술기실 습(Ha et al., 2022), 정신간호 교육(Son & Choe, 2022;Song, 2020), 천식 아동에 대한 가상현실 연구 (Kim, Kim, & Lee, 2019), 핵심간호에 대한 시뮬레 이션 실습(Chae, 2021)이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며, 그 외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다수의 연구(Kang, Kim, Lee, Nam, & Paik, 2020;Ko & Jung 2021;Yoon & Jeong, 2021)가 있었다. 그러나 기존 시행된 연구 중에 피내주사 실습 항목을 적용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간호학실습을 배우려는 저학년 간호대학생들에게 증강현실 기반 피내주사 실습교육을 적용하여 임상수행능력, 자기효능감, 교 육만족도에 관한 효과를 검증하고, 하나의 교육방법 으로 증강현실 기반 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더욱 높 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 기반 피내주사 실습교 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 피내주사 실습교육이 간 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연구(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 이다.

    2. 연구 기간 및 대상

    본 연구는 2022년 3월 02일부터 6월 30일까지 서울 소재 S대학교 간호학과 1-2학년에 재학중인학 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기본간호학 및 기본간호학실습을 다 이수하지 않은 학생으로 선 정하였다. 교내에 연구 목적과 내용, 예상 소요 시 간, 답례품 등에 관한 정보가 들어간 연구모집공고 를 하여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 동의서에 서명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표 본의 크기 산출을 위해 G*Power 3.1을 이용 하였 으며, 선행연구(Yeter & Havva, 2021;Yoon & Jeong, 2021)를 참고로 하여 결과분석에 이용한 공 변량 분석(Analysis of Covaranace, ANCOVA)을 위해 유의수준 .05, 효과크기 .40, 검정력 .80으로 하였을 때 총 표본 수는 52명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Yoon & Jeong, 2021)를 참 고로 헤서 20%의 탈락자를 고려하여 74명이 모집되 었다. 이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치우침을 줄이기 위 해 컴퓨터 무작위배정(Randomized Control Tria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 배 정한 결과 실험군 37명, 대조군 37명에 배정되었다. 그중 대조군에서 1명이 중간에 철회 하여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된 대상자는 실험군 37명, 대조군 36명 으로 총 73명이었다(Figure 1).

    3.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속해 있는 대학의 생명윤리심 의위원회(Institute of Research Board, IRB)의 연구승인(No.-2020029HR)을 획득한 후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과목에서 운영하지않 고, 본연구를 위해서 따로 단독으로 연구를 위한 교 육 및 평가가 진행되도록 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자 를 연구자가 소속된 학과에서 담당하는 교과목의 대 상 학생과 지도학생이 아닌 대상자를 제외기준으로 분류해서 타대학에 소속된 제1저자인 연구책임자가 교과목 평가 대상자가 아닌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연구의 치우침(Bias) 등을 줄이고 대상자를 윤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연구 참여에 대한 혜택을 설명하였고, 서면으로 연구참여 동의를 얻었다. 대상자는 연구에 참여한 이후 언제 든지 동의 철회가 가능하며, 연구 동의 철회를 하더 라도 그에 따른 어떤 불이익도 없다는 것을 설명하 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무기명으로 고유 번호를 부여한 후 순수한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이 고, 개인 정보는 보호되며 절대적으로 비밀이 보장 됨을 약속하였다. 연구종료 후 대조군의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실험군과 동일한 증강현실 기반 피 내주사 실습교육을 제공하였다.

    4. 측정 도구

    1) 피내주사 실습교육 - 임상수행능력

    본 연구에서 임상수행능력은 한국간호교육평가 원(KABONE, 2022)에서 제시한 핵심기본간호술 프로토콜 중 피내주사 항목을 평가체계에 따라 평가 한 점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피내주사(전완의 내측 면) 실습 항목으로 이는 총 27문항으로 3점 Likert 척도로 ‘완전수행’은 2점에서 ‘미수행’ 0점으로 측정 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피내주사 임상수행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2) 피내주사 실습교육 – 자기효능감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An (2014)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평가 도구를 수정·보완하였고, 자기효능감을 측정 한 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 3인에게 문항별 자문을 받아 완성하였다. 선행연구(Yoon & Jeong, 2021)를 근거로 최종적으로 각 문항별 내용타당도 (Contet Validity Index, CVI)가 85% 이상 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자기효능감 도구는 총 11문항으로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매우 그렇 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측정하였으 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 다. An (2014)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α =.8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2 이었다.

    3) 피내주사 실습교육 - 교육만족도

    본 연구에서 교육만족도는 Park (2017)의 시뮬레 이션 실습만족도 평가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후 피내주사 실습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 3인에게 문항별 자문을 받아 완성 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문항별 내용타당도(CVI)가 85% 이상 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교육만 족도 도구는 총 9문항으로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 로 점수가 높으면 교육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Park (2017)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α =.9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3이 었다.

    5. 자료수집 방법 및 연구절차

    1) 피내주사 실습교육 콘텐츠 제작

    (1) 증강현실 피내주사 실습교육 콘텐츠 선택과정

    본 연구에서는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의 한 항목 인 투약실습교육 중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피내주 사 실습 항목을 증강현실(AR) 기반 교육 콘텐츠로 선정하게 되었다.

    (2) 증강현실 피내주사 실습교육 콘텐츠 제작

    피내주사 임상수행능력 체크리스트 형태의 매뉴 얼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카메 라(i-phone, Apple, USA)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였다. 사전에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작업을 거 쳤고, 스마트 글라스에서 명확한 구현을 위해 배경 을 일부 그린 스크린으로 만들었으며, 촬영된 동영 상은 편집프로그램(VLLO Premium, Vimosoft, Korea, 2022)을 이용해 편집하였다. 추가 작업으로 피내주사 실습교육과 관련한 수행 내용을 증강현실 기능이 구현되도록 영상 속에 자막 및 설명과 그림 을 삽입하였다. 동영상 내용은 약물준비단계 (5분), 약물 투여단계(3분), 반응결과 확인 및 기록 단계(1 분 14초)로 총 9분 14초로 구성되었다(Figure 2).

    본 연구에 사용된 스마트 글라스(GTM 200, PANACEA, Korea)는 실리콘 (Full-HD resolution) 패널 탑재로 자연스럽고 고화질 영상을 최 대 320인치의 대화면을 눈 앞에 펼쳐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영상은 렌즈 양쪽 모서리에서 투사되어 화 면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3D와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으며, 투명한 글라스의 렌즈 하단 부분을 통해 사물을 동시에 보면서 실습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서 사용되었다(Figure 2).

    (3) 연구보조원 훈련 및 역할

    자료수집 및 임상수행능력 평가 시 Bias를 줄이 기 위해 연구자가 속하지 않은 대학의 기본간호학실 습을 담당하고 그중에 피내주사 실습 항목을 평가한 교육경력과 평가 경력이 있는 기본간호학 교수 중 2인을 연구보조원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보조원에게 연구 시작 전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실 습 진행 절차에 전반에 관한 설명을 하였다. 연구보 조원은 컴퓨터 무작위배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 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배정 하였으며, 실험군은 스 마트 글라스, 대조군은 태블릿 PC 사용 방법 및 피 내주사 실습교육을 사전교육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교육 중재와 사전 사후 평가에 필요한 물품을 모두 제공하였으며, 사전교육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임상 수행능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2) 증강현실 기반 교육 중재 과정

    연구절차는 총 2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1단 계는 연구책임자가 사전교육 60분, 피내주사 실습 이론 교육 30분과 피내주사 실습 시범(15분)씩 2회 총 30분의 시범 실습 교육 하였다. 교육 후에 임상수 행능력 평가는 연구보조원이 실시하였다. 자기효능 감은 자가 기입식 설문 평가로 실시하였다.

    2단계에서는 실험군은 증강현실이 구현되도록 스 마트 글라스를 착용하였고, 대조군은 동일한 동영상 을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실시간 시청하면서 동시에 실습교육을 30분간 실시하였다. 사후 수행능력 평가 는 교육 동영상이나 매체(Device)의 도움 없이 15분 이내에 수행 하도록 하고 현장에서 연구보조원이 평 가하였다.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에 대한 설문은 대 상자가 자가기입식 평가로 시행하였다(Figure 2).

    6. 자료 분석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실험군과 대 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χ2 – test(chi-squared test)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변수인 임상수행능력, 자기효 능감, 교육만족도의 정규성 검증은 Shapiro-Wilk test를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은 결과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값을 공변량으로 통제한 공변량 분석 (ANCOVA)과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대상자는 실험군 37명, 대조군 36명으로 총 73명 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학년, 안경 착용, 유무, 증강현실 기반 교육 관심 여부, 증강현실 기반 교육 경험, 유무를 비교한 결과,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사전 동질성이 확인되었다(Table 1).

    2. 임상수행능력

    교육 중재 전-후 임상수행능력을 분석한 결과, 실 험군은 평균 90.99±0.23점, 대조군은 평균 70.43± 0.23점으로, 증강현실(AR) 기반 교육을 실시한 실 험군이 대조군보다 임상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높았다(F=3745.89, p<.001) (Table 2).

    3. 자기효능감

    교육 중재 전-후 자기효능감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실험군은 평균 55.56±1.32점으로 대조군 평균점수 42.50±1.32점보다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높았다(F=46.15, p<.001)(Table 3).

    4. 교육만족도

    교육 중재 이후 교육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실험군 은 평균 40.81±6.58점으로 대조군(평균 32.56± 7.74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4.87, p<.001)(Table 4).

    Ⅳ.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증강현실(AR) 기반의 피내주사 실습교육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 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증강현실(AR) 기반 피내주사 실습교육의 효과는 임상수행능력, 자 기효능감, 교육만족도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임상수행능력은 실험군이 대조군보 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 상으로 증강현실 수혈 실습교육을 적용한 연구(Kim & Jeong, 2021)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임상수 행능력이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도 유사한 연구결 과로 나타났다. 또한 가상현실 교육을 적용해서 간 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Kim et al., 2019)고 분석한 연구와도 유사한 결과 를 나타낸다. 그러나 Ha 등(2022)의 연구에서는 가 상현실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임상수행능력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와는 다른 실습인 유치도뇨와 기관절개관 관리 항목이어서 직 접적인 비교는 어려웠지만 Ha 등(2022)의 교육 프 로그램은 360도 화면이 제공되는 가상현실(VR) 교 육이었던 반면에, 본 연구는 증강현실(AR) 기반의 교육 매체이기 때문에 차이가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 다. 특히 본 연구는 실험군에게는 증강현실(AR)기 반 교육을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태블릿 PC 동영 상 교육을 제공하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임상수행 능력이 높게 측정되었지만 Ha 등(2022)의 연구는 대조군에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을 제공한 중재 처치 부분에 차이가 있어서 임상수행능력에 있어 실험군 과 대조군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실험군의 임상수행능력이 대조군보 다 높게 나타난 이유는 증강현실 피내주사 실습교육 을 받음과 동시에 실습 평가와 유사한 환경에서 실 습을 직접 실시간으로 수행을 적용한 데 기인했다고 사료된다. 증강현실 피내주사실습교육은 스마트 글 라스 착용을 통해 실제 교육 및 평가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실습교육을 받는 듯 하지만, 스마트 글라 스만 벗으면 실습환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평가받는것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었다. 또한 스마 트 글라스를 착용한 교육이지만 360도 가상현실 (VR) 교육과 다르게 스마트 글라스 밖으로 주변 환 경과 사물이 그대로 투명하게 잘 보여서 처음 경험 하는 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적응해서 안 전한 실습 환경에서 자기주도적인 간호행위를 할 수 있는 경험을 가져다주는 차별화된 교육환경 때문에 VR연구에서 임상수행능력의 차이가 없었지만 스마 트 글라스를 활용한 AR 연구에서는 임상수행능력에 차이가 있었을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 로 가상현실 정신간호학 실습교육을 적용 후 자기효 능감이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한 Song (2020)의 연 구결과와 유사한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 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수행항목을 스스로 잘 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이 형성될 수 있도록 긍정적 변화 에 영향을 미친다(Ha et al., 2022;Kang & Kim. 2022;Kim & Kim, 2021;Lee, Kim & Lim, 2021)고 다수의 연구에서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 력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도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Kang과 Kim (2022)의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학점, 대인관계, 학업성취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고, 최근 진행된 Yoon, Park, Park과 Cho 등(2021)의 연구 에서는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 하나 로 자기효능감이 영향변수로 나타난 결과를 제시했 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성이 바탕이 되는 학습동기의 영향으로 임상수행능력에 주요한 요소 로 작용할 수 있다(Lee at al., 2021;Yeter & Havva, 2021)고 해서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이 나 란히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것 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변수간의 관계를 밝힐 필요가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Ha 등(2022)의 연구 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인 간호대학생에게 있어서 자기 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진다 (Kang & Kim., 2022)의 선행연구와 같이 Ha 등 (2022)의 연구에서는 임상수행능력도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자기효능감도 함께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즉, 임상수행 능력과 자기효능감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후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교육만족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대상자에게 증강 현실(AR) 교육을 적용한 Yeter와 Havva (2021), Yoon과 Jeong (2021)Kim (2022), Heo (2022)의 연구결과와 같이 높게 나타났고, 가상현실 (VR)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한 선행연구(Kim &  Kim, 2021;Son & Choe, 2022)와도 유사한 연구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증강현실(AR) 기반 교육이 실습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새로운 교육방법으 로 학습동기부여와 흥미를 이끌어 내고, 학습몰입도 와 집중력을 높인다(Heo, 2022;Yeter & Havva, 2021)는 것과 같은 영향이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 스마트 글라스를 처음 접하 는 매체를 착용한 뒤 즐겁게 반복적으로 실습 교육 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만족도가 높은 것으 로 생각된다. 이는 Kim과 Jeong (2021)의 연구, Yoon과 Jeong (2021)의 연구 및 Heo (2022)의 연 구와 유사한 이유로 교육만족도가 높게 나타난것이 라고 생각된다. 또한 간호대학생이 기존의 3인칭 시 점의 동영상 교육보다 1인칭 시점에서 학습자가 직 접 간호수행을 하는 것과 같은 입체적인 교육이 제 공되어서 더욱 교육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Heo (2022)의 연구와 Ha 등(2021)의 연구결 과에서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1인칭 교육이어서 만족스러웠다는 연구결과와도 유 사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교육만족도에 있 어서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방법을 더 선호하는 연구 결과(Kang et al., 2019)도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 는 대조군에게 태블릿 PC를 이용한 동영상 교육방 법을 적용하고 사전 교육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에게 전통 강의식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서 매체가 다른 동영상 교육의 실제 효과를 봤기 때문 에 증강현실이라는 경험해보지 못한 교육방법에 대 한 교육만족도가 더 높았던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증강현실(AR)기반 피내주사 실습교육을 지금까지 거의 시도되지 않은 피내주사 실습이라는 항목에 적용해서 콘텐츠를 연 구자가 직접 처음부터 끝까지 제작한것과 임상수행 능력과 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교육만족도에 미치 는 효과를 규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 는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하고 실시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추후 간호대학생의 역량을 증진 시키기 위해서 증강현실(AR) 기반의 간호교육 과정 교과목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콘텐츠 개발과 학습자의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 는 반복연구 및 확대연구를 제언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 유사 실험연구로 기본간호학 실습을 이수하지 않은 저학 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증강현실 기반 피내주사 실습교육을 시행한 후 임상수행능력,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증강현실 기반 피내주사 실습교육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 에 비해 임상수행능력,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의 점수가 높음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확대되어 다양한 교육에 적용 및 활용할 것을 적극 권장한다. 또한 교육 중재의 효과인 임상수행 능력, 자기효능감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확인하기 위 한 시계열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증강현 실 기반 실습교육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적고, 다 양한 간호학 교과과정 및 평가에 노출되는 간호대학 생을 위한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 및 적용과 같은 중 재 방법에 관한 연구에도 확대되어 적용할 수 있겠 다. 간호대학생을 위해 증강현실 기반 콘텐츠의 접 근도와 활용도를 높인다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 능력,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간호교육의 목표달성 및 학습성과 성취수준 향상에 효과적인 전략 및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생각 된다.

    Figure

    JKSSN-10-2-93_F1.gif
    Research flow chart
    JKSSN-10-2-93_F2.gif
    AR-based intradermal injection practice cases

    Table

    Homogeneity Te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N=73)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Clinical Competence after Intervention (N=73)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Self-Efficacy after Intervention (N=73)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fter Intervention (N=73)

    Reference

    1. An, S. H. (2014). Effect of Korea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based on simulated training on nurses' confidence and applic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 Azuma, R. T. (1997).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6(4), 355-385.
    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4. Chae, M. J. (2021).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and lecture- style education methods in practice educa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12(6), 1283-1294.
    5. Chang, S. O. , Won, J. S. , Park, J. H. , Lim, H. S. , Park, H. S. , Lim, S. Y. , et al. (2014).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 Nursing, 21(4), 446-456.
    6. Choi, S. H. , & Kwon, S. H. (2017).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s satisfaction with practicum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 Cooperation Society, 18(5), 626-635.
    7. Gordon, R. M. , & McGonigle, D. (2018).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8. Ha, Y. O. , Kwon, S. J. , Kim, J. I. , & Song, J. H. (2022). Effects of nursing skills practice using VR (virtual reality) on competency and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learn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4), 47-55.
    9. Heo, S. H. (2022). The effects of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base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ractice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performance, confidence, practice immersion and practic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 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0. Kang, M. K. , & Kim, I. K. (2022).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Changes in teaching method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7), 139-152.
    11. Kang, S. J. , Kim, C. M. , Lee, H, J. , Nam, J. W. , & Park, M. S. (2020). Integrative review on nursing education adopting virtual reality convergence simul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1), 60-74.
    12. Kim, J. , & Kang, H. Y. (2011). Effects of EMLA cream in intradermal skin test of ampicillin sodium antibiotics.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 Nursing, 18(1), 46-53.
    13. Kim, K. S. , & Jeong, H. C. (2021). Effect of self-directed practice using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confidence, ability, and practic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9(1), 57-68.
    14. Kim, M. K. , & Kim, H. W. (2021). The effects of classes us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 on knowledge of hospital environment, academic self-efficacy, leaning flow,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8(4), 520-529.
    15. Kim, M. K. , Kim, S. H. , & Lee, W. S. (2019).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nd a blended simulation of care for pediatric patient with asthma.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5(4), 496-506.
    16. Kim, S. M. (2022). Effects of AR on academic success, problem solving and self directed leaning skill in education on high risk delivery nursing.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13(2), 1849-1864.
    17. Ko, J. Y. , & Jung, A. R. (2021). Augmented reality- based surgical nursing practic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2), 47-56.
    18.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2, November 1).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a baccala 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Retrieved 1 November, from http://whttp://www.kabone.or.kr/reference/refRoom.do
    19. Kurt, Y. , & Ozturk, H. (2021). The effect of mobile augmented reality appication developed for injections on the knowledge and skill levels of nursing students: An experimental controlled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021(103), 104955-104955.
    20. Lee, M. N. , Kim, H. Y. , & Lim, Y. S. (2021). Examining learning effects of simulation by applying scenario-based core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9(1), 27-40.
    21. Lim, K. C. (2017). Simulation-based clinical judgment and performance ability for tracheal su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23(3), 330-340.
    22. Park, Y. M. (2017). The effects of simulation- based practice 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1-7.
    23. Sargolzaei, F. , Omid, A. , Miromohammad- Sadeghi, M. , & Ghadami, A. (2021). The effects of virtual augmented reality training on anxiety among operating rooms students attend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Nursing and Midwifery Studies, 10(4), 229-235.
    24. Son, J. A. , & Choe, M. H. (2022). Effect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program of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6), 1037-1051.
    25. Song, Y. M. (2020). Effects of a online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e program on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counseling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9), 271-290.
    26. Verkuyl, M. , & Hughes, M. (2019). Virtual gaming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mixed-methods study.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9, 9-14.
    27. Verkuyl, M. , Romaniuk, D. , Atack, L. , & Mastrilli, P. (2017). Virtual gaming simulation for nusing education: An experiment. Journal of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3(5), 238-244.
    28. Yeter, K. , & Havva, O. , (2021). The effect of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developed for injections on the knowledge and skill levels of nursing students: An experimental controlled study. Nurse Education Today, 103, 104955.
    29. Yoon, D. J. , & Jeong, H. C. (2021). The effects of extra-corrporeal mambrane oxygenation preparation edu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on performance ability, performance confid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Nursing, 9(2), 61-71,
    30. Yoon, Y. S. , Park, B. S. , Park, S. J. , & Cho, H. N. (2021). Factors affecting clinical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online clinical practic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ERA.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6(2), 1-10.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