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0 No.2 pp.105-121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2.10.2.105

Effect of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r Nursing Simulation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Jung-Hee Kim1, Ahrin Kim2*, Soon Hee Lee3, Jiyoung Kim4
1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eongju University
3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4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Sangmyung University

김 정희1, 김 아린2*, 이 순희3, 김 지영4
1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2청주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3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4상명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이 논문은 2021년도 대한간호협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Corresponding Author: Kim, Ahrin Cheongju university, 298 Daeseong-ro, Cheong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Republic of Korea Tel: +82-43-229-7932, E-mail: arkim@cju.ac.kr
20221103 20221213 20221217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r nursing simulation on perceived knowledge, confidence, and competence, and then evaluate its effects. Metho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eight-hour program covered simulation education theory, scenario design and development, simulation design and operation using patient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debriefing, curriculum integration, simulation evaluation, and faculty development. Thirty-eight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in August 2021. The study used paired t-tests to analyze differences in perceived knowledge, confidence, and competence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is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knowledge, confidence, and competence for nursing simulation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positively affected simulation instructor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refore, this validated and standardized training program can be used for training simulation faculty members at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It can not only reduce the cost and effort required for faculty development at each university but als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spread of nursing simulation.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교육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 을 위해 실습 교육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간호 교육 과정에서 실습 교과목은 주로 기본간호학실습 등의 교내 실습실 교육 및 임상실습으로 편성·운영 되고 있으며, 시뮬레이션실습은 일부 임상실습 시간 을 대체하여 운영할 수 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21). 간호대학생의 임상실무능력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 고 있으나, 대상자의 권리 보호와 환자안전 향상을 위해 임상실습 현장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직접 간호 수행이 제한되고, 관찰 위주의 실습이 이루어지고 있 다(Kim et al., 2010). 또한 실습실 교육에서는 교수 자 대 학생 배치 비율이 1:20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 고 있으나(KABONE, 2021), 제한된 수업 시간 내에 모든 학생의 실습 수행을 지도하고 감독하는 데 어려 움이 있다. 그러나 간호대학생 수의 급증, 임상실습 지 부족, 대상자의 권리와 안전 보장에 대한 요구 상승, 제한된 시간과 교수자 부족 등의 문제로 간호 대학생이 역동적인 임상실무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히 간호실무와 술기를 습득하지 못한 채로 졸업을 하게 되고(Kim et al., 2010), 이러한 경우 임상현장에서는 신입간호사에게 간호실무와 술기에 대해 재교육을 시행해야 하기 때 문에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Yang, Park, & Yang, 2012).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에서 임상실습 기회가 제한되거나, 교내실습이나 온 라인 실습으로 대체되는 등 임상실습의 형태가 변화 함에 따라(Kang & Yang, 2021), 임상실습에서 제 한되는 부분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시뮬레이 션 실습의 활성화가 요구된다(Jeffries, Rodgers, & Adamson, Ket al. 2015).

    그러나 새로운 교육 방법이나 기술을 도입할 때 교수자들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는데, 교수자 가 인식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장애 요인으로는 시간 부족, 기술에 대한 두려움, 업무 부담 등이 있었고, 지원 요인으로 교수진 교육, 행정 지원, 전담 시뮬레 이션 코디네이터 등이 있었다(Al-Ghareeb & Cooper, 2016). 이에 교수자들은 시뮬레이션을 간호 교육과 정에 통합하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을 위한 추가시 간, 교육 기회, 장비, 지원 등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Adamson, 2010).

    시뮬레이션 실습은 임상현장과 유사한 경험에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위해 없이 실수가 허용된 다는 점에서 안전한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지만, 학습자 측면의 심리적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촉진 자, 두려움 없는 학습, 협력, 긍정적 대화 등이 필요하 다(Stephen, Kostovich, & O'Rourke, 2020). 따 라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교수자의 역량과 전문성 은 교육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이며(Roh, Kim, & Issenberg, 2019;Jeffries et al., 2015)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촉진할 수 있는 교육, 기술 및 능력을 갖춘 촉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Persico, Belle, DiGregorio, Wilson-Keates, & Shelton, 2021).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효과 적인 촉진자로서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유용하고, 철 저한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에(Adamson, 2010) International Nursing Association of Clinical and Simulation Learning (INACSL) 에서는 의료 시뮬레이션 모범 사례 표준의 핵심요소에 전문성 개발 을 포함하고 있으며, ‘초기와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고품질의 시뮬레이션 경험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를 표준으로 제시하고 있다(Hallmark et al., 2020). 시뮬레이션 교수자는 효과적인 실습을 위한 교수자의 준비가 필요함을 인지하였으며, 적극적 인 지원과 더불어 교수자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하 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Kim, Heo, & Min, 2014). 또한, 시뮬레이션 사용에 익숙한 교수자가 익 숙하지 않지 않은 교수자에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Adamson, 2010) 시뮬레이션 교수자의 입장에서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을 전달할 수 있다.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시뮬레이션 교수자 개발 프 로그램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KSSN], 2021)에서는 기본과정, 심화과정 등을 운 영하고 있으며, 한국의료시뮬레이션학회(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KoSSH], 2021)에서는 시뮬레이션 강사 과정, 표준화환자 교 육과정, 디브리핑 과정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일 부 간호대학에서는 교수자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나, 아직 표준화된 교 육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국외의 경우,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SSH] (2021)에서는 시뮬레이션실습 운영자의 역량을 높 이기 위한 표준교육을 개발하고 자격인증을 제공하 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Bøje et al., 2017;Kim, Park, & O’Rourke, 2017)에서 교육프로그램이 교 육자의 지식,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국외 결과를 바로 국내 간 호교육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시뮬레이션에 대한 교 육 및 임상실무 현장의 요구, 간호시뮬레이션 실습 을 위한 국내 간호 교육환경을 반영하여 간호시뮬레 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의 임상실 무역량 향상을 위한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 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표준교육이 간호시 뮬레이션 운영자의 지식, 기술 및 태도에 미치는 효 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 그램이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의 지식, 기술 및 태도 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2. 연구 절차

    본 연구는 1단계 교육요구도 분석, 2단계 간호시 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3단계 간 호시뮬레이션 실습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평가로 진행되었다.

    1단계 교육요구도 분석 절차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육전문가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국내외 문헌고찰 실시하였다.

    2단계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절차에서는 1단계의 요구도 분석을 토대로 교 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차시별 교육주제와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이에 맞는 표준교재를 운영자 용과 학습자용을 나누어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프 로그램과 표준교재는 시뮬레이션 교육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3단계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평가 절차에서는 Kirkpatrick (1976) 의 교육훈련 평가 모델에 근거하여 교육 효과를 평 가하였으며, 1단계 반응 평가로 교육 만족도를, 2단 계 학습 평가로 지식 측면에서는 간호시뮬레이션 교 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을, 기술 측면에서는 교 수자 역량을 태도 측면에서는 간호시뮬레이션 교육 에 대한 자신감을 평가하였다.

    3.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기준은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간호대학 교수 및 박사 과정생 이었으며, 모집 공고에 따른 신청자를 기준으로 성 인, 모성, 아동, 지역사회, 응급중환자 등 5개 전공 분야별로 10명씩, 총 50명의 교육생을 선착순으로 선정하였고, 분아별 선착순 마감 이후에 신청한 대 상자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G*Power 3.1 프로그램(Faul, Erdfelder, Buchner, & Lang, 2009)을 사용하여 paired t-test에서 중 간 정도의 효과크기 d=.50, 유의수준 α=.05, 검정력 β=.80일 때, 최소 필요 인원은 34명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탈락률(약 30%)을 고려하여 실험군을 약 50명 모집하였다. 교육 참여자 50명 중 사전 및 사후 설문에 모두 참여하지 않거나 사전이나 사후설문 중 일부만 참여한 대상자(12부)를 제외하고 사전 및 사 후설문에 모두 참여한 38부의 설문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고, 탈락율은 24%였다.

    4. 연구 도구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및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령, 성 별, 최종 학력, 직위, 전공 분야, 근무 지역, 임상 경력, 교육 경험, 과거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유무 및 횟수, 과거 시뮬레이션 교육 운영 경험 유무 및 횟수, 시뮬레이션 관련 학회나 단체의 회원 가입 여 부, 교육 참여 동기 등을 조사하였다.

    2)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교육프로그램 만족도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 육시간, 교육난이도, 기대 부응 정도, 역량 향상에 대한 도움 정도, 추천 의도, 전반적 만족도 등 8개 질문을 통해 평가하였다. 질문지 내용은 한국간호시 뮬레이션학회 및 대한간호협회의 교육프로그램 만 족도 조사 문항을 기초로 연구자들이 구성하였고, 각 문항에 대해 ‘1=전혀 만족하지 않는다’에서 ‘5=매 우 만족한다’로 이루어진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 였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 .95이었다.

    3)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본 교육프로그램의 차시별 학습목표 에 대한 이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총 8개 차시, 2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은 왼쪽 끝 ‘0=전 혀 이해하지 못한다’에서 오른쪽 끝 ‘10=완전하게 이해한다’로 이루어진 10점 숫자평정척도(numerical rating scale)로 측정하며, 각 문항 점수를 차시별 및 전체 평균 점수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점수 범 위는 최소 0점에서 최대 1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이 높 음을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학습목표에 대한 시 뮬레이션 교육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CVI = 1.0이었 고,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 .98이었다.

    4) 간호시뮬레이션 교수자 역량

    간호시뮬레이션 교수자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Roh et al.(2019)의 한국어판 시뮬레이션 교수자 역량 중요도-수행도 척도(Simulation Instructor Competence Importance-Performance Scale- Korean version)를 도구 개발자의 승인을 받아 사 용하여 평가하였다. 도구는 전문가 기초(7문항), 사 정 및 평가(5문항), 시뮬레이션 실행(5문항), 성찰 및 촉진(6문항), 시뮬레이션 교육 원칙(3문항)의 5 개 영역,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1=전혀 유능하지 않음’에서 ‘4=매우 유능함’으로 이 루어진 4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고, 각 문항 점수 를 영역별 및 전체 평균 점수로 환산하여 계산하였 다. 점수 범위는 최소 0점에서 최대 4점으로 간호시 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교수자 역량에 대한 수행능 력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행도에 관한 도구의 신뢰도는 Roh et al. (2019)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 .95이었고,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 뢰도 Cronbach’s α = .98이었다.

    5)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자신감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자신감을 평가하기 위해 Karacay와 Kaya (2020)가 개발한 시뮬레이 션 기반 교육에서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수자의 인 식에 관한 교수자 자가평가(self-assessment questionnaire for faculty) 질문지를 도구 개발자 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시뮬레이션 계획(4문항), 시뮬레이션 실행(2문항), 시뮬레이션 평가(5문항)의 3개 영역, 총 11개 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다. 각 문항은 왼쪽 끝 ‘0=자신이 없다’에서 오 른쪽 끝 ‘10=매우 자신 있다’로 이루어진 10점 숫자 평정척도(numerical rating scale)로 측정하고, 각 문항 점수를 영역별 및 전체 평균 점수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점수 범위는 최소 0점에서 최대 10점으 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자 신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Karacay & Kaya (2020)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 .73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 .99 이었다.

    5.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에 앞서 교육 요구와 교육 환경이 간호시뮬레이션을 위한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수용되도록 국내외 문헌고찰을 진행하였다. 국내 시뮬레이션 교 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Jang et al., 2016;Kim & Kim, 2017;Kim et al., 2014) 고찰을 통해 국내 간호시뮬레이션 교수자의 교육 요구와 교육 환 경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실습을 촉진하 기 위해 요구되는 교수자의 역량을 파악한 체계적 고찰 연구(Topping et al., 2015)와 시뮬레이션 교 수자 역량 관련 연구(Roh et al., 2019)을 검토하여 시뮬레이션 교수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였다. National League for Nursing [NLN] /Jeffries 시뮬레이션 이론(Jeffries et al., 2015)에서 제시된 주요한 시뮬레이션 교육설계의 구성요소를 교육 내 용에 포함하였고, INACSL Standards Committee (2016)의 시뮬레이션 교육 표준, NLN Simulation Innovation Resource Center (SIRC) (2021)의 시 뮬레이션 교수자를 위한 교육과정, SSH (2021)의 시뮬레이션 교육자 자격 인증 과정을 검토하여 공통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교육프로그램이 국제 표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국간호교육평가 원(KABONE, 2021)에서 제시한 시뮬레이션 실습 의 정의와 인증평가 기준을 검토하여 교육주제, 학 습목표, 학습내용 구성이 국내 상황에 적합한지 확 인하였다.

    교육요구 분석 및 문헌고찰 내용을 토대로 교육프 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차시별 교육주제와 학습목표 를 설정하였으며,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을 위 한 이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자용과 학습 자용을 나누어 표준교재를 개발하였다. 간호시뮬레 이션 운영자 양성을 위한 이론교육 프로그램은 총 8차시(기초과정 6차시, 심화과정 2차시)로 구성되 어 있으며, 시뮬레이션 교육 이론, 시나리오 설계 및 개발, 환자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설계 및 운영,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설계 및 운 영, 디브리핑, 교육과정 통합, 시뮬레이션 평가, 교 수자 개발 등을 포함한다(Table 1).

    개발된 교육프로그램과 표준교재는 교육목표와 부합정도, 내용의 적절성, 내용의 난이도에 대해 시 뮬레이션 교육과정 개발 및 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 대학 교수로, 시뮬레이션 교육 운영에 5년 이상 근 무하고, 시뮬레이션 교육 관련 학회의 이사직을 담 당하고 있는 전문가 8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 았다. 내용타당도 점수는 1~4점 범위에서 교육목표 와 부합 정도 평균 3.87점, 내용의 적절성 평균 4.00점, 내용의 난이도 3.37점이었으며, 내용타당 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1.0으로 매우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문가 자문 의견 을 반영하여 일부 학습목표 및 학습내용을 수정·보 충하였다. 구체적 수정 사항으로는 1차시 ‘시뮬레이 션 교육 이론’ 부분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육 필요성 에 대한 보충, 시뮬레이션 교육을 위한 사전 준비 중 학습자 측면의 준비 사항, 전문가 간 교육 등에 대한 내용 추가가 이루어졌다. 2차시 ‘시나리오 구 성 및 개발’에서는 시나리오 개요와 구성 요소에 대 한 내용을 보강하고, 시나리오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보충 설명을 추가하였다. 3차시 ‘환자 시뮬레 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설계 및 운영’에서는 차 시의 제목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설계 및 운영’을 ‘환자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설계 및 운영’으로 변경하였고, 최근 시뮬레이션 활 용 현황 및 실태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 하다는 지적에 따라 최신 자료로 수정하였다. 4차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설계 및 운영’에 서는 표준화 환자 이해 부분에 가족 구성원이나 의 료인에 대한 부분을 추가하고, 해당 사례를 제시하 였다. 5차시 ‘디브리핑’ 부분에서는 일부 오탈자 등 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졌고, 6차시 ‘교육과정 통합’ 에서는 최신의 참고문헌으로 업데이트하고, 임부를 임산부로 용어를 변경하고, 일부 내용의 제시 순서 를 변경하였다. 7차시 ‘시뮬레이션 평가’ 부분에서는 학습목표를 수정하고, 고전검사 이론, 평가도구의 실용성 파악을 위한 고려사항 등에 대한 내용을 추 가하고, 평정척도의 문제점과 적용 시 고려사항, 표 준 설정에서 표준이 무엇인지, 어떻게 설정되는지,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 참고할만한 자료, 시뮬레 이션 평가를 정리하면서 점검해야 할 내용에 대해서 는 내용을 보충하였다. 8차시 ‘교수자 개발’ 부분에 서는 간호시뮬레이션 활용 현황 및 실태 부분이 관 련성이 없어 보인다는 지적에 따라 내용을 수정하 고, 일부 오탈자에 대해 수정하였다.

    6. 연구 진행 및 자료수집 절차

    2021년 7월 대한간호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본 프 로그램을 공고하고, 간호대학 교수 및 대학원 박사 과정생을 대상으로 참여자를 공개 모집하여 성인, 모성, 아동, 지역사회, 응급중환자 등 5개 전공분야 별로 선착순 10인, 총 50명을 참여 대상자로 선정하 였다.

    대상자 모집 후 교육 1주일 전 연구대상자에게 사 전 설문조사에 관한 온라인 링크를 전달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간호시뮬레 이션 교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 간호시뮬레이 션 교육에 대한 자신감 및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자 역량에 대해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실시간 온라인 화상 강의로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을 위한 이론교육을 진 행하였고, 교육일시는 8월 27일(금) 09:00~18:00 였다.

    교육 종료 후 참여자에게 사후 설문조사에 관한 온라인 링크를 전달하여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 간호시 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자신감 및 간호시뮬레이션 교 육자 역량에 대해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7.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교육프로 그램 만족도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서술 적 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Shapiro-Wilk test로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여 정규성 가정을 만족 하는 경우에는 모수통계로,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모수 통계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후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자신감 및 간호시 뮬레이션 교수자 역량 점수의 차이는 paired t-test 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 른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 간호시뮬레이션 교수자 역량 및 간호시뮬레이션 교 육에 대한 자신감의 교육 전후 점수 변화 차이는 정규 성 가정을 충족한 경우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 다. 그러나 연령에 따른 지각된 지식 수준 및 자신감 과 시뮬레이션 관련 학회나 단체 회원 여부에 따른 간호시뮬레이션 교수자 역량의 교육 전후 점수 변화 차이는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지 않아 각각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8.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C 대학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IRB No.: 10411107- 202108-HR-027-01)을 받았고, 설문 참여에 앞 서 연구 참여 과정에서 원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참 여를 취소할 수 있고, 수집된 자료는 정해진 연구목 적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무 기명으로 처리되어 비밀이 보장됨을 기술한 연구에 대한 설명문을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자발적 의사에 의해 설문조사 참여에 동의한 경우에 한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45.53세이고, 최종 학력은 박사 이상이 33명(86.8%), 직위는 조교수 27명 (71.1%)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 임상 경력은 10.80년 이었고, 교육 경력은 5.89년이었다. 과거 시뮬레이 션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가 35명 (92.1%)으로 대부분이었고, 교육 경험 횟수는 5회 이상이 13명(34.2%)로 가장 많았다. 과거 시뮬레이 션 교육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27명(71.0%) 이었고, 이 중 운영 경험 횟수는 1-5회 11명(28.9%), 10회 이상(26.3%), 6-10회 6명(15.8%) 순이었다. 현재 시뮬레이션 관련 학회나 단체 회원으로 가입되 어 있지 않는 경우가 27명(71.0%)이었고, 본 교육의 참여 동기는 ‘본인의 업무에 도움이 되기 위해’가 20 명(52.6%)으로 가장 많았다(Table 2).

    2.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전반적인 프로그램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55±0.69점이고, 92.1%가 교육에 만족한다고 응 답하였다(Table 3). 항목별 평균은 4.18~4.66점으 로 나타났고, 세부 항목별로는 교육 방법에 대한 만 족도가 4.66±0.58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육시간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4.18±1.01점으로 가 장 낮았다.

    3.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효 과는 Table 4와 같다.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은 사전 평균 6.63±1.47점, 사후 평균 8.61±0.80점 으로 1.98점 상승하였고(t=9.73, p<.001), 교육 후 에 시뮬레이션 교육이론, 시나리오 구성 및 개발, 시 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설계 및 운영, 표준 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설계 및 운영, 디브리 핑, 교육과정 통합, 시뮬레이션 평가, 교수자 개발에 대한 지각된 지식 수준이 모든 유의하게 상승한 것 으로 나타났다.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자신감은 사전 평균 6.47±1.67점, 사후 평균 8.26±1.01점으로 1.79점 상승하였고(t=7.39, p<.001), 교육 후에 시뮬레이 션 계획, 시뮬레이션 실행, 시뮬레이션 평가에 대한 자신감이 모두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자 역량은 사전 평균 2.52± 0.57점, 사후 평균 3.04±0.48점으로 0.52점 상승 하였고( t=6.64, p<.001), 교육 후에 전문가 기초, 사정 및 평가, 시뮬레이션 실행, 성찰 및 촉진, 시뮬 레이션 교육 원칙에 대한 역량이 모두 유의하게 상승 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 전후 점수 변화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 전후 점수 변 화의 차이로 분석한 결과, 과거 시뮬레이션 교육 운 영 경험에 따라 간호시뮬레이션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F=4.47, p=.019) 및 자신감(F=4.62, p=.017) 측면에서 효과에 차이가 나타났다(Table 5). 사후분석 결과, 과거 운영 경험이 없는 경우에 6회 이상인 경 우보다 교육 전후 점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의 임상실무역량 향상을 위한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의 역량을 개발하 기 위해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교육프로그램의 전반적 만족도는 평 균 5점 만점에 4.5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교육 시간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4.1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기초에서 심화까 지 하루 8시간 동안 진행되어 집중도 및 교육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교육 효과 향상을 위해 향후 교 육 시간 조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시뮬레이션 실 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촉진하기 위해 교수자에 게 지식, 기술과 행동, 태도/자질 관련 역량이 요구 되는데(Topping et al. 2015), 간호시뮬레이션 교 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 간호시뮬레이션 교육 에 대한 자신감 및 시뮬레이션 교육자 역량이 교육 후에 유의하게 상승하여 지식, 기술 및 태도 측면에 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지각된 지식 수준은 시뮬레이션 교육 이론, 환자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설계 및 운 영, 디브리핑에 대해서는 사전 지식 정도가 상대적 으로 높았으나, 향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 참여자의 92.1%는 과거 시뮬 레이션 관련 교육을 받은 적이 있었고, 선행연구에 서 시뮬레이션 실습지도인력은 개별 학회(44.3%)나 의료기회사(30.4%) 등에서 교육을 받았고(Jang et al., 2016),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 자의 84.4%가 디브리핑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보고 되었다(Kim & Kim, 2017). 시뮬레이션 교육 이론 은 시뮬레이션 교육 이론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내 용이며, 일반적으로 의료기 회사에서 시행하는 교육 은 시뮬레이터 관련 프로그램이나 구동에 대한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수 있고, 대부분의 시뮬레이션 교육 담당 교수자가 디브리핑 교육을 이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볼 때 해당 내용에 대한 사전 지식 정도 가 높고, 이에 향상 정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 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디프리핑은 중요하 고, 선행 메타분석 연구에서 구조화된 디브리핑 방 법이 유의한 교육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Lee et al., 2020), 국내 간호시뮬레이션 교수자들 은 구조화된 디브리핑 이론 및 평가 모델을 충분히 적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Kim & Kim, 2017), 교수자가 운영하는 시뮬레이션 실습 특성에 맞게 교육 받은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 양한 디브리핑 이론과 모델을 실제 시뮬레이션 교육 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반면,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설계 및 운 영, 시뮬레이션 평가 및 교수자 개발에 대해서는 사 전 지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향상 정도가 상대 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Kim과 Ham (2015)의 국내 간호사와 간호사 대상 시뮬레이션 기 반 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에서 시뮬레이션 교육 방법은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교육이 68.8%,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교육이 31.3%로 보고되어 상 대적으로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교육이 적게 이루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 메타분석 연구 에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은 효과 크기가 크고(Kim & Ham, 2015), 임상수행능 력, 의사소통기술, 문제해결능력, 학습만족도, 자기 효능감 측면에서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었기에(Kim & Yoon, 2018)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한 교 수자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과 성과를 체 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평가 유형 결정, 평가 시기 를 포함하도록 교육 설계, 타당도와 신뢰도 있는 평 가 도구 활용, 평가자에 대한 교육, 평가 종료, 결과 해석 및 학습자에 대한 피드백 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McMahon, Jimenez, Lawrence, & Victor, 2021).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는 전문성 개발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최신 상태로 유 지하고, 고품질의 시뮬레이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교육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Hallmark et al., 2021). 그러나 국내 간호시뮬레이션 활용 현황 및 실태 조사 결과,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실습을 위 해 전담인력 등 교수인력 확충(37.5%)과 교육시설 개선(18.1%), 타당화된 평가도구개발(16.7%)이나 교수자 역량 강화(15.3%)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되어(Jang et al., 2016) 교육 인프라 구축 이외에 도 평가나 교수자 역량 개발에 요구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 역량 개발을 위해 표준 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설계와 운영, 시 뮬레이션 평가, 교수자 개발은 필수 요소이며, 본 교 육프로그램은 이러한 시뮬레이션 교수자 역량 강화 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교육프로그램 제공 후에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자신감은 시뮬레이션 계획, 실행 및 평가 영역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교육자 역량은 전문가 기초, 사정 및 평가, 시뮬레이션 실행, 성찰 및 촉진, 시뮬레이션 교육 원칙 영역에서 모두 유의하 게 향상되었다. 자신감 향상 정도는 시뮬레이션 계획 영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뮬레이션 교육자 역량은 시뮬레이션 실행과 성찰 및 촉진 영역에 향상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학습목표를 충족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설계 되고, 기대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야 한다(INACSL Standards Committee, 2016). 또한, 촉진은 학습목표를 이해하고,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학습자가 응집력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조와 과정을 제공하는 촉진자가 필요하다(Persico et al., 2021). 시뮬레이 션 교육 중이나 교육 후의 의식적인 성찰은 학습자에게 지식의 격차를 확인하고, 자신의 실제 실천 사이의 모순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학습자의 생각, 신념, 행동을 연결함으로써 통찰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준다(Decker et al, 2021). 그러나 Roh 등(2019)의 선행연구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자가 성찰 및 촉진 영역에서 중요도와 수행도 간의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디브리핑 중에 심도 있는 토론 촉진에 대한 교수자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교수자가 시뮬레이션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할 때, 학 습자가 학습목표 달성할 수 있는 촉진 전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과거 시 뮬레이션 운영 경험이 없는 경우에 과거 운영 경험 이 10회 이상인 경우보다 지식 및 자신감 측면에서 교육의 효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교수자의 준비 정도와 역량은 시뮬레이션 실습을 한 번도 접해보지 못한 초보 교수자에서 스스로 시나리 오를 개발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을 운영한 후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숙련된 전문가 교수자까지 매우 다 양하므로, 수준에 따라 맞춤화된 교육을 시행하고, 교수자로서의 역량을 획득하고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Roh et al., 2019). 따라서 대상자의 교 수자로서의 경험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 전략이 필요 할 것이며, 과거 교육 경험이나 수준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 의 방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간호시뮬레이션에 대한 교육 및 임상실 무 현장의 요구, 국내 간호 교육환경, 시뮬레이션 이 론 및 시뮬레이션 관련 국제 표준을 반영하여 표준 화된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다. 본 연구 결과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자의 지식, 자신감, 교육자 역량 향 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 교육프로그 램은 시뮬레이션 교육 설계부터 운영 및 평가까지 전반적인 과정에서 효과가 확인되었기에 간호시뮬 레이션 교수자의 역량을 개발을 위해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일군 실험설계로 이루어졌고, 아직까지 시뮬레이션 교수자의 지식, 기술 및 태도 측면에서 교수자의 역량 향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교수자의 지식 수준을 자가평 가만으로 측정하여 본 연구 결과를 해석하고 일반화하 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Kirkpatrick (1976) 의 4단계 평가모형 중 반응과 학습을 중심으로 교육프 로그램의 효과 평가가 이루어졌으나, 향후 교수자가 교육받은 내용을 실제 시뮬레이션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는 학생의 결과가 달라 지는지 등 행동과 결과 측면에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코로나 19 확산 시기에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준수하 기 위해 실시간 화상 온라인 교육으로 이루어진 바, 향후 교육 방법에 따른 효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의 임상실무역량 향상을 위한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의 역량을 개발 하기 위해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 램을 시범 적용하고,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 자신감 및 교수자 역량 측면에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시뮬레이션 운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평균 4.55점으로 높았고, 본 프로그램이 교수자의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지각된 지식 수준 및 자신감, 간호시뮬레이션 교수자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간호시뮬레이션 운 영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은 각 대학 및 기관에서 시 뮬레이션 교육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각 대학에 서 시뮬레이션 교육자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 을 절감하는 효과 뿐 아니라 시뮬레이션 교육 확산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Tabl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r Nursing Simulation
    General Characteristic of Participants (N=38)
    Satisfaction with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r Nursing Simulation (N=38)
    Effect of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r Nursing Simulation (N=38)
    Differences in Pre-Post Score Chang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38)

    Reference

    1. Adamson, K. (2010). Integrating human patient simulation into associate degree nursing curricula: Faculty experiences, barriers, and facilitator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6(3), e75-e81.
    2. Al-Ghareeb, A. Z. , & Cooper, S. J. (2016). Barriers and enablers to the use of high-fidelity patient simulation manikins in nurse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36, 281-286.
    3. Bøje, R. B. , Bland, A. , Sutton, A. , Hartvigsen, T. , Hannula, L. , Koivisto, J. M. et al. (2017). Developing and testing transferability and feasibility of a model for educators using simulation based learning-A European collaboration. Nurse Education Today, 58, 53-58.
    4. Decker, S. , Alinier, G. , Crawford, S. B. , Gordon, R. M. , Jenkins, D. , & Wilson, C. (2021). Healthcare simulation standards of best practiceTM the debriefing proces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8, 27-32.
    5. Faul, F. , Erdfelder, E. , Buchner, A. ,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6. Hallmark, B. , Brown, M. , Peterson, D. T. , Fey, M. , Decker, S. , Wells-Beede, E. , et al. (2021). Healthcare simulation standards of best practiceTM professional development.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8, 5-8.
    7. International Nursing Association of Clinical and Simulation Learning INACSL Standards Committee. (2016). INACSL standards of best practice: SimulationSM Simulation desig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2(S), S5-S12.
    8. Jang, H. J. , Kim, J. H. , Ji, E. J. , Jung, D. Y. , Lee, S. H. , et al. (2016). The study on current status of simulation based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1), 1-12.
    9. Jeffries, P. R. , Rodgers, B. , & Adamson, K. (2015).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Brief narrative descrip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6(5), 292-293.
    10. Kang, D. H. S. , & Yang, J. (2021).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3(5), 509-521.
    11. Karacay, P. , & Kaya, H. (2020). Effects of a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learning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13(1), 555-562.
    12. Kim, J. I. , Kim, K. H. , Paik, H. J. , Sohng, K. Y. , Eom, M. R. , Oh, S. Y. , et al. (2010).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and test for competency of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3), 362-370.
    13. Kim, J. , Heo, N. R , & Min, H. Y. (2014). Instructor's experience o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2), 9-20.
    14. Kim, M. , & Kim, S. (2017). Debriefing practices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in South Korea.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3(5), 201-209.
    15. Kim, S. H. , & Ham, Y. S.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08-319.
    16. Kim, S. , Park, C. , & O’Rourke, J. (2017). Effectiveness of online simulation training: Measuring faculty knowledge,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adopt. Nurse Education Today, 51, 102-107.
    17. Kim, Y. A. , & Yoon, S. (2018).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al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1), 125-140.
    18. Kirkpatrick, D. L. (1976). Evaluation of training. In R. L. Craig (Ed.), Training and development handbook: A guide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2nd ed., pp. 301-319). New York: McGraw-Hill.
    1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KABONE). (2021).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a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Retrieved July 1, 2021, from http://www.kabone.or.kr/mainbusin/nurse01outline.do
    20.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KoSSH). (2021). Academic/curriculum. Retrieved July 1, 2021, from https://www.kossh.or.kr/bbs/board.php?bo_table=bo3_1
    21.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KSSN). (2021). Academic events. Retrieved July 1, 2021, from http://www.kssn.or.kr/board01/list.php
    22. Lee, J. , Lee, H. , Kim, S. , Choi, M. , Ko, I. S. , Bae, J. , et al. (2020). Debriefing methods and learning outcomes i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rse Education Today, 87, e104345.
    23. McMahon, E. , Jimenez, F. A. , Lawrence, K. , & Victor, J. (2021). Healthcare simulation standards of best practiceTM evalu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8, 54-56.
    24. National League for Nursing(NLN). (2021). NLN simulation innovation resource center courses. Retrieved July 1, 2021, from http://www.nln.org/sirc/sirc-courses
    25. Persico, L. , Belle, A. , DiGregorio, H. , Wilson-Keates, B. , & Shelton, C. (2021). Healthcare simulation standards of best practiceTM facilit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8, 22-26.
    26. Roh, Y. S. , Kim, M. , & Issenberg S. B. (2019). Perceived competence and training priorities of korean nursing simulation instructor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6, 54-63.
    27.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SSH). (2021). Certification standards and elements. Retrieved July 1, 2021, from https://www.ssih.org/Credentialing/Certification/CHSE
    28. Stephen, L. A. , Kostovich, C. , & O'Rourke, J. (2020). Psychological safety in simulation: Prelicensur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47, 25-31.
    29. Topping, A. , Bøje, R. B. , Rekola, L. , Hartvigsen, T. , Prescott, S. , Bland, A. , et al. (2015). Towards identifying nurse educator competencies required for simulation-based learning: A systemised rapid review and synthesis. Nurse Education Today, 35(11), 1108-1113.
    30. Yang, J. H. , Park, K. Y. , & Yang, Y. O. (2012). Factors influencing the confidence on performa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5), 2611-2622.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