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0 No.2 pp.123-139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2.10.2.123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Instructor's Nursing Simulation Training Nee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교수자의 간호모의실습 교육 요구도, 교육환경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Soon Hee Lee1, Jiyoung Kim2*, Jung-Hee Kim3, Ahrin Kim4
1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2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Sangmyung University
3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4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eongju

이 순희1, 김 지영2*, 김 정희3, 김 아린4
1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2상명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3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4청주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이 논문은 2021년도 대한간호협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Corresponding Author: Kim, Jiyoung Sangmyeongdae-gil, Dongnam-gu, Cheonan-si, Chungcheongnam-do, Republic of Korea
Tel: +82-41-550-5077, E-mail: jy1223kim@smu.ac.kr
20221108 20221124 20221212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nursing simulation training need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instructor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ductive method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 onlin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ix instructors with experience operating a nursing simulation. Data were collected in July 2021. Results: First, “nursing simulation practice operations” required simulation design elements, practical operations, and curriculum integration. Seco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wed a lack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and there was a need for standard education reflecting the domestic nursing education environment. Third, for “instructor competencies”, the facilitator role, step-by-step education for strengthening instructor competencies, and cooperation with clinical experts were derived. Fourth, it was found that “learner competencies” should meet the nursing professionals’ need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unique human competency should also be strengthened.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to understand the instructor’s needs for nursing simulation training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Moreover, it identifies considerations for instructor and learner competencies in the nursing simulation operator training programs.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교육인증평가는 간호교육이 국내외 보건의 료 현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배출하 기 위해 학습성과 기반 교육체제 구축, 간호교육 프 로그램의 지속적 개선을 통해 교육의 질을 관리하도 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론 및 실습 교육의 운영체제, 실습 교육의 목표, 교육내용, 실습 교육 평가 등에 대한 평가‧인증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22). 한국간호교육평가 원의 신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술기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실습 교육을 제시하고 있으나(KABONE, 2022), 코로나19 이후에 실습 장소와 간호 수행의 제한으로 실습 교육의 어려움이 있다(Heo & Kim, 2022).

    급변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실습 교육의 제약 을 보완하고, 간호교육의 흐름에 대한 통찰력을 발 휘하기 위하여 간호모의실습(Nursing Simulation) 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Heo & Kim, 2022). 사 회가 요구하는 간호 실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충 분한 지식과 기술, 가치관 등 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배출하는 데 간호모의실습을 성공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고충실도 시뮬레이터와 같은 장비보다는 교수자의 역량과 전문성이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Forstrønen, Johnsgaard, Brattebø, & Reime, 2020;Roh, Kim, & Issenberg, 2019). 교수자는 학습자의 요구 파악, 측정 가능한 학습 목 표 설정, 적절한 간호모의실습 선택, 디브리핑과 평 가를 수행해야 하며, 교수자 개발은 간호모의실습의 일관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l et al., 2021). 교수자는 효과적인 간호모의실 습을 위한 준비가 필요함을 인지하였으며, 적극적인 지원과 더불어 교수자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시 키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Kim, Heo, & Min, 2014;Min, Kim, & Heo, 2015).

    간호모의실습 교수자 대상 연구를 살펴보면, 간호 모의실습 과정의 일부인 디브리핑의 경험(Min et al., 2015)과 현황(Kim & Kim, 2017)을 조사하였 고, 교수자가 인지한 역량과 교육 우선순위 분석 (Roh et al., 2019)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교육 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교수자의 교육 요구도, 국내의 교육환경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의 간호역량과 교육 요구도 분석에 관한 연구(Lee & Lee, 2014)에서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대상자의 특성과 요구도를 반영하여 만족도와 효과를 높이는 교육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국내 간호모의실습의 현황 또는 요구도를 파악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서술적 조사인 양적연구가 수행 되었다. 간호대학생과 교수자의 간호모의실습의 현 황과 요구도 연구(Park, Kim, Hye Son, & Cho, 2018)에서는 교수자의 시뮬레이션 교육 이수 여부, 이수 교과목, 교육 희망 정도, 교육받고 싶은 분야 등에 대해 파악하였고, 간호모의실습 활용현황과 실 태 연구(Jang et al., 2016)에서는 간호모의실습 교 육과정과 실습 내용 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에서 간호모의실습의 현황과 문제점, 교수자의 요구 를 일부 파악할 수 있으나, 양적 연구결과를 통해 교수자의 간호모의실습 교육 요구도, 교육환경을 깊 이 있게 탐색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간호모의실습 운영자 양성과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습주 제와 내용을 도출하기에는 부족하다.

    교육 요구도는 기대상태와 현재 상태의 차이를 의 미하는 것이며, 요구분석은 교육대상자의 기대되는 성과 수준과 현재의 수준의 격차를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자원배분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Witkin & Altschuld, 1995). 교육 요구도 분석은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핵심적 인 단계로,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의 간호모의실습 교육 요구도, 교육환경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 하고자 질적연구를 선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 적내용분석을 적용하여 간호모의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분석, 간호모의실습을 위한 국내 간호교육 환경 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반영한 간호모의실습 운 영자 양성과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기여하 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모의실습 운영 경험이 있는 6 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간호모의실습 교육 요구도, 교육환경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 간호사의 임상실 무역량 향상을 위한 간호모의실습 운영자 양성과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교수자의 간호모의실습 교육 요구도, 교육환경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질적내용분석 (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을 적용한 질적연 구이다.

    2. 연구 대상

    연구 참여자의 균형성을 위해 연구 참여자의 전공 분야(성인간호학, 간호관리학, 지역사회간호학, 노 인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아동간호학)가 다양하 게 분포할 수 있도록 의도 추출하였다. 모집 대상은 간호모의실습 운영 경험이 있는 교수자 6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6명으로 모두 여자이었으며, 연 령대는 50대 1명, 40대가 5명이었다. 간호모의실습 운영 경력은 최소 4년, 최대 13년으로 평균 9.1년이 었다.

    3. 연구자의 준비 및 연구의 엄격성

    본 연구자들은 개념분석, 질적 내용분석 및 현상 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 으며,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간호학을 전공한 질적 연구 전문가의 지도와 질적연구 세미나 참여를 통해 본 연구 참여자의 간호모의실습 교육 요구도, 교육 환경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을 하기 위한 준비를 갖 추었다.

    질적연구의 타당도 확립을 위해 Lincoln과 Guba (1985)의 기준을 따랐다. 첫 번째, 현상을 기술하고 해석하는 신뢰성(credibility) 확보를 위해 연구자는 간호모의실습 교육 요구도, 교육환경을 적극적으로 진술할 수 있도록 간호모의실습 운영 경험이 있는 다양한 전공 분야의 교수자를 참여자로 선정하여 목 적에 맞게 표집하였다. 연구자는 녹음된 면담 내용 과 관찰된 사항을 즉시 필사하였고, 분석된 결과를 연구 참여자로부터 피드백(member checking) 받 았다. 두 번째, 감사 가능성(auditability) 확보를 위해 연구자는 Elo와 Kyngäs (2008) 방법을 바탕 으로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으며, 자료 수집과 분석 을 담당한 인터뷰에 참여한 2명의 연구자는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고, 질적 연구자의 조언을 받으며 연 구를 진행하였다. 세 번째, 적용성(applicability) 확보를 위해 분석을 통해 같은 현상을 통합하고, 결 과가 유사한 맥락에서 적용되도록 하였다. 네 번째, 확인가능성(confirmability)을 위해 연구자들은 연 구 전 과정에서 판단중지와 괄호 치기(bracketing) 를 하며 연구자들의 선입견을 배제하고자 노력하며 연구자들의 개인적 의견을 기록하고 검토하였다.

    4. 자료수집방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동일한 경험을 한 사람을 대상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취합할 수 있는 질적연구 방법이다(Thomas et al., 1995). 본 연구 에서는 간호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온라인 포커스 그 룹 인터뷰를 통해서 간호모의실습 운영자 양성과정 프로그램 교육 요구, 간호모의실습 교육환경을 조사 하였다.

    질문은 참여자의 경험을 끌어낼 수 있는 개방형 질문으로 준비하였다. 연구 질문은 Krueger와 Casey (2000)가 제시한 방식에 따라 시작 질문(opening question), 도입 질문(introductory question), 전환 질문(transition question), 주요 질문(key question), 마무리 질문(ending question) 순으로 진행하 였으며, 총 7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시작 질문은 “간단하게 자신을 소개해 주시기 바랍니다”이었으며, 연령대, 지역, 전공, 교육 및 간호모의실습 경력 등 자신을 소개하는 단계로, 구체적인 개인정보를 포함 하지는 않으나 동일한 직종의 참여자임을 밝혀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도입 질문은 “간호모의실습, 간호모의실습 운영자 양성과정 경험과 기억에 남는 교육과정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이었으며, 본 연구 의 주제에 대한 경험을 나누는 단계로, 간호모의실습, 간호모의실습 운영자 양성 경험에 대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주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자신과의 관련성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전환 질문은 “간호모의 실습 시 교육환경은 어떠했는지 이야기해 주세요”로, 간호모의실습 시 교육환경에 대해 질문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제와 밀접한 질문을 통해 본격적인 토의 과정으로 연결되는 질문을 하였다. 주요 질문은 “간호 모의실습 운영자 양성과정 교육에 필요한 교육내용이 나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 “간호모의실습 운 영자 양성과정 교육이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간호역량 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간호모의실습 운영 자 양성과정 교육이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실무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의 총 3개의 질문으로 구 성되었다. 면담 종료 시점에 마무리 질문은 “지금까지 간호모의실습 운영자 양성과정 교육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는데 좀 더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말씀해 주세요”로 인터뷰 시 누락된 점이나 추가할 사항을 질문하여 확인하고, 참여자에게 최종 답변 기회를 제 공하였다.

    2021년 7월 14일 zoom을 활용하여 비대면 방식 으로 연구자 2인과 참여자 6인이 함께하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인터뷰 시간을 약 2시간 내 외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인 터뷰 진행 초기에 참여자가 준수해야 할 규칙, 연구 주제와 목적, 용어에 관해 명확하게 설명하고, 참여 자의 활발한 토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녹음 내용은 보조연구원이 전사하고, 전사가 완료된 자료 는 인터뷰에 참여한 2명의 연구자가 감수하여 전사 의 정확성을 높였다. 또한, 간호모의실습 교육, 교육 환경과 관련하여 중요한 것, 요구되는 것 등을 자유 롭게 개별 성찰일지에 작성하고 제출하도록 하였다.

    5.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Elo와 Kyngäs (2008)이 제시한 단계에 따라 질적 내용분석을 하였다. 준비단계에서 는 서술형 자료를 반복하여 읽으면서 분석 단위를 확인하고 코드화하였다. 조직화 단계에서는 개방 코 딩, 범주화 생성과 추상화를 수행하였다. 개방 코딩 에서는 의미 있는 단어(분석 단위)를 반복적으로 읽 으며 적절한 개념이나 문구를 작성하였다. 범주화 생성에서는 주제 모음에 따라 그룹화하고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추상화에서는 일반적 주제를 공식화하였다. 마지막 보고단계에서는 도출된 결과 를 보고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 참여 과정에서 원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참여를 철회할 수 있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 이 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무기명 으로 처리됨을 기술한 설명문을 온라인으로 제공하 였다. 자발적 의사에 의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 참여 에 동의하였을 때 서면 동의를 받고 인터뷰를 진행 하였다. 참여자는 이름 임의 변경, 비디오 중지를 하 게 하여 신원에 대해 비밀보장을 하였다. 인터뷰 내 용은 모든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다.

    Ⅲ.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교수자 의 간호모의실습 교육 요구도, 교육환경을 다각도로 탐색하기 위해 ‘간호모의실습 운영’, ‘교육환경’, ‘교 수자 역량’, ‘학습자 역량’의 영역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25개의 주제, 12개의 주제 모음을 확인하 였다(Table 1).

    1. 간호모의실습 운영

    ‘간호모의실습 운영’에 대해서는 ‘간호모의실습 설계 요소’, ‘실제적인 운영’, ‘교육과정 통합’의 3개 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1) 간호모의실습 설계 요소

    ‘간호모의실습 설계 요소’의 주제로 ‘구체적인 목 표 개발’에서는 간호모의실습에서 기대하는 결과의 달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참여자 수행평가와 연계된 구체적인 목표 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다.

    학습 목표에 이 학생이 도달하지 못했을 때, 디브리핑을 통해서 그런 걸 보완하고, 결국에 마지막 평가에서도 이게 다 연결되게끔 이 학 습 목표를 설정하는 게 중요하고 이 학습 목표 에 맞춰서 이제 시나리오를 거기에 맞춰서 개 발하는 게 중요한데요(참여자 2)

    지식도 가져가야 하고, 술기도 가져가야 하고, 태도도 가져가야 하고 의사소통, 공감 뭐.. 정 말 간호사가 돼도 사실은 간호사처럼 하기 힘 들 텐데, 신규 때는 너무 간호사 중에서도 최 고의 보통 5, 6년차 되는 간호사들의 역량을 원하게 되니까 복잡해져서 그러면 이 시나리오 에서는 내가 볼게. 이거다! 이렇게 잡고 갔던 거죠. (중략) 교육과정에서 다루는데, 그 중심에 는 시나리오 중심이 아니라 학습 목표의 기준 인 거죠(참여자 6)

    ‘시뮬레이터 유형별 교육’의 주제에서는 간호모의 실습의 효과는 시뮬레이터 충실도 수준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며, 간호모의실습 교육의 목적, 방법에 적 합한 시뮬레이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 하였다. 인체모형 시뮬레이터, 표준화환자, 하이브 리드 간호모의실습 등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유형별 운영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다.

    표준화 시뮬레이션이라는 것을 학회를 한 적이 있었어요. 일부러 가서 표준화를 어떻게 하는 지를 알고 싶어서 가서 들었는데, 이제 정답은 없더라고요(참여자 3)

    어떤 모형을 가지고 한다던가, 에스피를 이제.. 가지고 어떻게 운영을 한다던가.. 하는 것들은 꼭 들어갔으면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참여자 5)

    ‘교육의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시나리오 운영’의 주제에서는 임상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표준화된 시나리 오를 공유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간호수행과 반응에 따라 흐름에 맞게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이 중 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어떤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 차라리 개요를 받 는 게 낫지.. 사례에 대한 개요를 받는 게 낫 지.. 시나리오의 스테이지 원 스테이지 투의 해 당하는 그런 단계별로 할 때는 제 머릿속에 스 토리가 없으면 그거를 사실 그래도 운영하기 굉장히 어렵더라고요(참여자 2)

    ‘실재적 경험을 위한 충실도 사용’의 주제에서는 환경, 장비, 관련 소품 등의 요소를 포함하는 신체적 /환경적 충실도뿐 아니라, 시나리오의 모든 요소가 현실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전문가 검토를 포함하 는 개념적 충실도, 가족들과 의료진 등을 포함하여 임상 환경에서의 상황에 맞는 요소를 모방하는 심리 적 충실도를 학습자의 실재적 경험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인식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다.

    처음에 저희가 시뮬레이션을 공부하고 처음 시 작할 때는 그냥 환경적인 리얼리티를 최고로 했었던 것 같은데 실재적으로 환경적인 리얼리 티가 아닌 다른 부분이 더 중요한 부분도.. 있 거든요. 그래서 이제 이 교육식.. 시뮬레이션 교육환경이라고 하는 것이 이런 하드웨어적인 것뿐만 아니라 이제 교수자의 어떤 준비.. 자체 로 어떤 리얼리티도 포함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참여자 1)

    제가 에스피를 가지고 개발했던 시뮬레이션은 산업 간호하고 방문간호였어요. 그래서 제가 이 방문간호 같은 경우는 따로 이제.. 방을 만 들어서 굉장히 리얼리티를 높이기 위해서 이 가상적인 그런 부분들을 굉장히 공을 많이 들 였던 부분이에요(참여자 2)

    ‘성찰과 피드백을 제공하는 디브리핑’의 주제에서 는 참여자의 실행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인지적 재 구성을 위한 구조화된 디브리핑 활용의 중요성과 어 려움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다.

    디브리핑이 시뮬레이션 교육의 꽃이라는 생각 이 들고요. 예를 들면 그 뭐죠.. 시뮬레이션 러 닝을 통해서 학생들이 직접 경험을 통해 관련 되어서 학생들이 어떻게 느끼며 그와 관련돼서 앞으로 같은 상항에서 좀 더 나은 간호를 어떻 게 제공할지 이기 때문에요. 특히 그 부분에 조금 더 중점적으로 어떻게 테크닉적으로 학생 들을.. 이렇게 예를 들면.. 할 수 있는지를 좀 더 생각을 해봐야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참여자 3)

    디브리핑에 대한 것들이었는데요. 둘 다 이제 좋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그때 실제 하는 것을 .. 교수님이 학생들과 실제로 하는 것을 관찰자 입장에서 설명을 그대로 했었거든요? 가장 기억에 오래 남고, 그리고 할 수 있다! 라는 자신감도 동시에 생겼던 그런 워크숍이었 던 것 같아요(참여자 5)

    ‘기대하는 결과 측정을 위한 도구 선택과 평가’의 주제에서는 학습자의 역량 평가를 위해 타당도, 신 뢰도를 확보한 평가도구를 선택 또는 개발하고 평가 하는 것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서 학생이 어떤 컨피턴 시를 올릴 수 있고 그거를 평가하는 거는 정확 하게 어떤 도구를 가지고 컨피턴시가 올라갔다 고 볼 수가 있지? 에 대한 것이 물론 저희 학 교에서도 그런 부분을 고려해서 도구를 만들도 록 하고 시나리오를 만들고 했지만 이게 정말 로 객관적으로 다른 학교에 교수님들이나 다른 산업체 병원에서 이 학생들은 이 컨피턴시를 가지고 있다. 라고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가? 라는 의문이 들었어요(참여자 1)

    시나리오에도 신경을 많이 썼지만, 나중에 이 평가를 했을 때 과연 제가 원하는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까? 에 가장 또 중요한 그런 내용을... 평가도구를 개발했는데 요(참여자 2)

    ‘간호모의실습의 참여자를 위한 준비 활동’의 주 제에서는 학습자가 간호모의실습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간호모의실습과 연관된 개념과 내용의 이 해 증진을 위한 활동/자원이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다.

    학생들에게 워크북처럼 나눠주면서 뭔가를 사 전학습처럼... 토론하는 과정에서 뭔가를 작성 하도록 만들었어요. 그리고 사전학습은 이제 집에서 영상을 보고 미리 학습을 해오게 했었 는데 이제 그 영상 자료가 한국에서는 사실.. (중략). 찾기가 너무 힘들어요.. 교육적으로 쓸 만한 영상이 없어요(참여자 5)

    2) 실제적인 운영

    ‘실제적 운영’의 주제 모음에서는 간호모의실습 설계 요소별 교육 또는 중요 요소만을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간호모의실습의 전체 과 정을 실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에 대한 요구 도가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수업을 전체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서 필요한 오퍼레이팅 인력관리.. 또 예산, 교 육과정에서 운영해야 하니까 교육과정 하는 방 법 등등 좀 확장된.. 단순하게 시나리오만 시나 리오 개발하고 디브리핑하고 하는 그런 것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이 시뮬레이션 수업을 운영할 수 있는 그런 내용으로 하는 게 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중략) 여러 교육과정도 열려 있지만, 디브리핑 따로, 시뮬레이션 개발 따로, 이렇게 각각 따로 되어있어서, 각각을 보고서 전반적으로 운영할 때 내가 과연 맞는지, 그런 것에 대한 의구심이 사실, 굉장히, 교수자의 입 장에서 들 수도 있을 것 같아요(참여자 2)

    3) 교육과정 통합

    ‘교육과정 통합’의 주제로 ‘대학평가 기준을 고려 한 운영’에서는 대학평가가 지속적으로 실시되고 있 는 현 상황에서 기준 요소에 맞추어 적용하여 시행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우리 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맞춘 그리고 우리 학교에 어떤 어.. 예산 집행에 맞는 그런 게 너무나 중요하다(참여자 4)

    ‘간호학과 교과과정 내에서의 운영’의 주제에서는 국내 간호교육 실정, 간호교육인증평가 기준에 맞추 어 간호모의실습을 교육과정에 통합하는 데 어려움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해진 시수 내에서 다양 한 시나리오를 구동하고, 사전브리핑, 디브리핑, 시 나리오와 관련된 술기 연습 등을 수행하는데 시간의 제약이 있어 중요한 과정을 간략히 하거나 소홀히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였다. 교과과정 내에 간 호모의실습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신중한 계획, 준비 및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이 실질적인 저희 교육과정과 관련되어서 필요한 부분들이 있어서 그런 거를 그다음 학 기에 교과목에 적용할 때 정말로 도움이 많이 됐고요(참여자 3)

    사실 사전, 사후에 그런 환경 준비라던가.. 그 다음에 정리라던가 하는 것들도 다른 인프라가 갖춰있지 않으면 교수가 준비를 해야 하는 상 황이고.. 정리를 해야하는 상황이고, 그 외에 틈틈이 계속 그.. 환경 정리라던가 이런 것들이 시간이 굉장히 몇 배 이상 들더라고요. 그래서 그런 인정시수에 대한 것도 이제 제도적 마련 이 필요하다(참여자 5)

    ‘학습자 수준에 맞는 운영’의 주제에서는 간호모 의실습을 교육과정에 통합하기 위해서는 시설, 장비 가 최신인 것뿐만 아니라, 학습자 수준에 맞추어 실 습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환경이나 장비나 이런 것도 굉장히 그렇게 중 요하지만, 학생들 수준에 맞추는 게 너무나 중 요하다(참여자 4)

    2. 교육환경

    ‘교육환경’에 대해서는 ‘인적 자원 부재’, ‘물리적 자원 부족’, ‘국내 간호교육 환경을 반영한 실무 표준 교육 요구’의 3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1) 인적 자원 부재

    ‘인적 자원 부재’의 주제 모음에서는 학교마다 동원 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다르며, 운영자(operator), 코디네이터 등 간호모의실습 운영을 보조하기 위해 상주하는 직원이나 전담 인력이 없는 경우가 다수이 고, 지역별로도 격차가 있음을 호소하였다. 간호모의 실습을 위한 효율적인 인력 운영에 대한 분석과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다.

    다른 훈련할 수 있는 방들을 이제 만들어놔야 하는데 그런 것을 해줄 만한 코디네이터가 없어 요. 한 명이 있었는데 그 사람이 중간에 그만두 고, 그래서 공백 기간이 있었기 때문에 그런 역 할들을 이제 제가 다 하느라고요(참여자 5)

    제일 중요한 게 인적 자원인 것 같아요. 사실 오 퍼레이터와 교수자를 분리하려 해도 사실 인력 이 있어야 하는 거잖아요. 그래서 교육자를 키 워내는 과정까지 가기 전에 우선 사람이 있냐는 거죠, 사람이. 심지어 저는 지방 대학이기 때문 에 강사를 섭외하기도 어렵거든요(참여자 6)

    2) 물리적 자원 부족

    ‘물리적 자원 부족’의 주제로 ‘물리적 공간 확보’에 서는 간호모의실습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부족한 경 우가 있으며, 확보된 공간 내에서도 모든 학습자를 수용하기에 제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이 이런 것들이 구축이 안 돼서.. 방도 없 고 그래서 힘들게 했었는데요... 공간도 부족했 고, 또 시간 운영상 6개의 모듈을 다 운영을 하는 게 상당히 힘들구나.. 라는 것을 그.. 시간 에 운영하는 것이 힘들구나.. 라는 것을 또 느 꼈었고요.. (참여자 5)

    ‘인체모형 시뮬레이터 확보, 유지와 관리’의 주제 에서는 인체모형 시뮬레이터 구매와 사용 환경 구 축, 유지와 관리에 따른 비용 부담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다.

    노엘을 고장을 냈어요. 그래서 그 보드가.. 메 인 보드가 문제가 생겨서 미국까지 수리 갔다 왔는데 결국 못 고쳤어요(참여자 5)

    ‘표준화 환자 확보와 훈련’의 주제에서는 표준화 환자 확보, 훈련에 비용 등에 대한 부담감을 호소하 였으며,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다.

    현실적으로 에스피 같은 경우에는 하기에 인력 이 부족해서 적합한 인력이 부족해서 그런 차원 에서 에스피보다는 그냥 인형을 시뮬레이터를 이용해서 시뮬레이션하고 있습니다(참여자 4)

    3) 국내 간호교육 환경을 반영한 실무 표준교육 요구

    ‘국내 간호교육 환경을 반영한 실무 표준교육 요 구’의 주제 모음에서는 국외의 경우 간호모의실습 운영자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표준지침과 교육이 개 발되고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운영하고 있다고 진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지침과 교육 이 국내 간호교육 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제한점 을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형 간호모의실습 실무 표준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 타났다.

    NLN이 아니라, NLN에 있는 자료는 수정해서 K-NLN, 한국식으로 바꾸고, 그다음에 피츠버그 에 있는 것보다도 한국에 사실 의료가 대단히 앞서가고 간호도 정말 잘하잖아요. 음. 그런 것 처럼 서울에 그런 시뮬레이션 교육을 할 수 있 는 센터가 마지막으로 지어지기를 기원하면서 이런 교육과정이 들어갔으면 좋겠다(참여자 6)

    3. 교수자 역량

    ‘교수자 역량’에 대해서는 ‘촉진자 역할’, ‘교수자 역량 강화를 위한 단계별 교육 요구’, ‘간호 실무 전 문성 유지를 위한 협력과 교육 요구’의 3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1) 촉진자 역할

    ‘촉진자 역할’의 주제 모음에서는 간호모의실습을 위한 물품 준비, 녹화 등 기술적 작동에 중점을 두는 운영자 역할 뿐 아니라,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촉 진하는 촉진자로서의 역할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 타났다.

    교수자가 퍼실리테이팅할 수 있는 어떤 그 역 할, 학생들을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끔, 우리가 이 시뮬레이션의 목적이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스스로 미리 사전공부를 해가지고 와 서 스스로 그 과정을 통해서 다른 사람과 또 다른 팀들이 하는 것도 서로 또 보면서 좋은 사례를 보면서 어쨌든 학습 목표에 도달하는 거잖아요? 이 전반적인 과정에서 이거를 촉진 시킬 수 있는 이 교수자의 역량, 이런 것들이 굉장히 중요할 거라고 보고요(참여자 2)

    촉진자로서의 역할은 강조를 해도 뭐 부족함이 없죠. 계속 긍정적으로 피드백해 주고 그런 긍 정적 태도를 갖추는 (웃음) 교수자의 부단한 노 력이 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촉진자로서의 어 떤 그런 역할들을 놓치지 않고 해야 하는 그런 교수자의 역량도 필요할 것 같고요(참여자 5)

    2) 교수자 역량 강화를 위한 단계별 교육 요구

    ‘교수자 역량 강화를 위한 단계별 교육 요구’의 주 제로 ‘학습이론 이해에 대한 기초 교육’에서는 학습 자 중심의 간호모의실습을 위해서는 간호모의실습 교육의 특징과 학습이론의 이해가 기초가 되어야 한 다고 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다.

    교육학적인 교육이 좀 필요할 것 같고,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그 안에 이제 시뮬레이션 교육 법으로 녹아 들일 수 있는 그런 과정이 꼭 있 어야 됩니다. 내가 보니, 그 모든 학회에서 보 면 너무 다 이제, 먼저 본론부터 들어가 버리 니, 사실 개념이 안 잡혀있는 상태에서 (중략) 이론적으로 과연 틀이 잡혀있는가, 이걸 하고, 그다음에 이제 그 나머지는 기술적인 거죠. 근 데 기술적인 것도 들어가야겠죠(참여자 6)

    ‘최신 동향과 정책적 방향에 대한 심화 교육’의 주 제에서는 변화에 맞추어 최신 간호교육 동향을 반영 한 간호모의실습이 시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간호모의실습 발전을 위해서는 정책적 방향성에 대 한 논의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운영자 양성과정에 대해서 만약에 단계별로 나 눈다고 하면 기초과정에서는 모듈을 어떻게 개 발하고 운영을 어떻게 하고 뭐.. 이런 것들이 들어가겠죠. 그리고 중급과정이라는 것들이 또 있을 거고요. 그다음에 이제 고급 과정이라고 할 때는 좀 더 정책적으로 정책연구도 같이하 면서 시뮬레이션 발전을 위한 어떤 것들을 같 이 하면 좋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 서 단계별로 나눠서 운영하면 좋겠다. 라는 생 각이 들었고요(참여자 3)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것들이 어떤 자료를 기반 으로 이런 운영자 양성과정 교육이 좀 최신에 맞게끔 배웠으면 좋겠다! 이런 거 있고요(참여 자 4)

    3) 간호 실무 전문성 유지를 위한 협력과 교육 요구

    ‘간호 실무 전문성 유지를 위한 협력과 교육 요구’ 의 주제 모음에서는 교수자는 간호 실무에 대한 전 문성을 가지고 간호모의실습을 진행하는 것이 요구 된다고 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임상 전문가와의 협력과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가 전체적인 임상 능력이 좀 있고 또 그것 을 따라가려고 하는, 이 최신, 간호술기에 대 한, 또 간호 현장에 대한, 그런 감각과 지식과 이런 능력이 있어야지만 좀 이런 것들이 우리 가 정말 우리가 원하는 그런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합니다(참여자 2)

    제일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피어리뷰를 통 해서 제가 설계한 게 이게 현실에 임상과 관련 되어서 적합한지와 관련돼서 했을지, 이 준비단 계에서 피어리뷰를 반드시 해야 한다(참여자 3)

    우리가 지금 계속 책에 있는 것만 얘기를 해봤 자 얘네들이 병원을 나가면 이런 게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사실 학교와 현장과의 협력이 가 장 중요하고 이걸 사실 저희같이 자대 병원이 없는 학교 같은 경우에는 그 근처의 지역사회 병원 완전 연결을 해서 이런 식으로 하는 게 좋은 케이슨지.. 여러 가지 사례들을 공유할 수 있게 병원에서 좀 도와주면 좋지 않을까 아니 면 자문이라도 아예 법적으로 정해놓았으면 좋 겠어요. 아니면 교수자가 관찰할 수 있는 연수 를 할 기회를 준다거나..(참여자 6)

    4. 학습자 역량

    ‘학습자 역량’에 대해서는 ‘간호 전문직 요구 수준 에 부합되는 학습자 역량’,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함 양’, ‘인간의 고유한 역량 강화’의 3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1) 간호 전문직 요구 수준에 부합되는 학습자 역량

    ‘간호 전문직 요구 수준에 부합되는 학습자 역량’ 의 주제 모음에서는 학습자가 졸업 후 임상의 불확 실한 상황에서 제한된 정보로 임상 판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을 경험하게 되며,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임상 판단 능력 등의 역량이 요구되었 다. 이러한 간호 전문직 요구 수준에 부합되는 학습 자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간호모의실습이 필요한 것 으로 나타났다.

    최종 졸업 직전에는 저는 만약에 신규 간호사의 레벨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신규 간호사로서의 레벨이라는 것은 그냥 일상 간호업무를 무리 없 이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참여자 3)

    2)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함양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함양’의 주제 모음에서는 학습자는 주체가 되어 간호모의실습에서 학습 과정 을 스스로 이끌어 나가는 학습활동이 요구되며, 이 를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고 하였다.

    학생들에게 필요한 이 시뮬레이션 임상 간호 실무 역량이라고 하면 우선은 어 학생들이 임 상실습을 하면서 학습된 무력감을 많이 갖는 경우가 있어서 실습 현장에서도 마찬가지로 그 런 모습을 자꾸 보이기 때문에 그런 학습... 자 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일단 필요할 것 같고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좀 필요할 것 같고 그런 장치들이 필요할 것 같고 요. 또 그렇게 능력이 올라가야만 뭐든지 할 수 있으니까요(참여자 5)

    3) 인간의 고유한 역량 강화

    ‘인간의 고유한 역량 강화’의 주제 모음에서는 로 봇과 인공지능에 기반을 둔 4차 산업혁명에서 대체 할 수 없는 인간의 고유한 역량인 공감 능력, 감성인 지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하 였으며, 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 반복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간호사의 역량이라고 하면 공감 능력, 감성 인 지 능력, 그다음에 의사소통이에요. 근데 이제 의사소통을 이제 비교과 과목으로 제가 공감 능력을 올리기 위해서 시뮬레이션을 해본 적이 있는데 상당히 어렵더라고요(참여자 5)

    판단 능력, 그다음에 물어보는 뭐 방법, 방식 이런 것들을 사실 한 번에 고쳐줄 수가 없기 때문에 반복해야 하는 거죠(참여자 6)

    Ⅳ.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모의실습 운영 경험이 있는 6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간호모의실습에 대한 교육 및 임 상 실무 현장의 요구분석, 간호모의실습을 위한 국 내 간호교육 환경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반영한 간호모의실습 운영자 양성과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간호모의실습 운영’, ‘교육환경’, ‘교수자 역 량’, ‘학습자 역량’의 영역에서 질적내용분석을 한 결 과, 최종적으로 25개의 주제, 12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인 ‘간호모의실습 운영’에 대해서는 ‘간호모의실습 설계 요소’, ‘실제적인 운영’, ‘교육과 정 통합’의 3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간호모의실습 설계 요소(측정 가능한 학 습목표 수립, 간호모의실습 유형, 시나리오, 충실 도, 촉진자, 디브리핑, 평가, 준비 활동 등)에 대한 내용이 학습 내용에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Park 등(2018)의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인 교수자 의 46.6%가 효과적인 간호모의실습 운영을 위한 기 획 능력과 실습 능력 향상을 기대하며 교과목 운영 설계를 교육 희망 영역으로 보고하였다. 간호모의실 습을 촉진하기 위해 요구되는 교수자 역량을 파악한 국외 고찰 연구(Topping et al., 2015)에서 교수자 는 간호모의실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설계, 실 행 및 보고와 관련된 것보다 훨씬 광범위한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술과 행동의 측면에서 는 간호모의실습 제공 기술(현실적인 시나리오 생 성, 장비 운용, 전문가 간 협력), 학습자 지원 기술 (준비, 팀 촉진/그룹 역할, 학습자 학습 촉진/안내), 디브리핑 및 평가 지원 기술(비판적 피드백 제공, 비 판적 성찰, 면대면 피드백, 디브리핑을 통한 학습 안 내, 학습 결과 평가 능력)이 교수자 역량으로 나타났 다. 특히 선행연구에서는 설계 요소 중 디브리핑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나타났는데, 교육자로서의 태도 를 겸비하고 임상 현장이 반영된 디브리핑 교육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교수자들은 지속적으로 교육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Min et al., 2015). 국내의 간호모의실습을 담당하는 96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Kim & Kim, 2017)에서는 84.4% 가 디브리핑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조 화된 디브리핑 이론 및 평가 모델을 충분히 적용하 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교수자가 운영하는 간 호모의실습 특성에 맞게 교육받은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론과 모델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고 하였다. 국내에서는 간호모의실습 과정의 일부인 디브리핑 현황을 조사하고(Kim & Kim, 2017), 4 시간의 디브리핑 워크숍을 운영한 후 지식, 역량 및 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으나 (Roh, 2021), 교수자는 디브리핑뿐 아니라 전 과정 에서 지도, 지원, 체계를 제공하는 사람임을 고려할 때, 전체를 포괄하는 운영자 양성과정 개발이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실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발, 설계뿐 아니라 운영에 관한 내용을 강조하였으며, 교육과정 에 통합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교육과 정에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국내 소재 4년제 대학 118개 중 42개 대학을 대상으로 한 연구 (Jang et al., 2016)에서는 간호모의실습 인력들은 평균 4.40회의 교육을 받았으며, 한국간호시뮬레이 션학회(22.8%), 의료시뮬레이션학회(21.5%), 의료 기 회사(30.4%), 기타(24.1%) 등에서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의료기 회사 교육은 프로그래밍, 시뮬 레이터 구동에 대한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수 있 으므로 학습자 중심의 간호모의실습 운영을 위한 구 체적인 기술과 지식 등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었다. 간호교육 실정에 맞추어 간호모의실습의 교육과정 통합을 위한 준비, 실습실 실습에서의 통합, 임상실 습에서의 통합을 학습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영역인 ‘교육환경’에 대해서는 ‘인적 자원 부재’, ‘물리적 자원 부족’, ‘국내 간호교육 환경을 반 영한 실무 표준교육 요구’의 3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 되었다. 우선 국내 간호교육 환경(인적, 물리적 자 원)을 반영하여 인력, 자원에 대해 분석하고 교육환 경에 맞게 간호모의실습이 운영되어야 함을 확인하 였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모의실습, 임상 실습을 모두 진행하는 교수자의 경험을 조사한 결 과, 간호모의실습을 위해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요 구된다고 하였으며(Kim et al., 2014), 디브리핑 운 영 시 인력, 시간 부족 문제에 직면하여 디브리핑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Min et al., 2015). 국내 간호모의실습 활용현황 및 실태 조사 결과, 실습을 전담하는 인력은 대부분 실습 조교나 학과 조교가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관되고 재현 가능 한 간호모의실습을 보장하기 위해 훈련된 전담 인력 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나 간호모의실습 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전문 인력이 부족한 상황을 보여주고 있었다(Jang et al., 2016). 선행연구에서 는 간호모의실습이 더 효율적으로 되기 위하여 각 대학은 전담 인력 등 교수 인력 확충(37.5%), 교육 시설 개선(18.1%) 등 간호교육 환경을 반영한 요구 가 나타났다(Jang et al., 2016). 국외 결과에서도 간호모의실습에서의 장애 요인은 교수진 부족/시간, 공간, 장비, 지원 부족이 나타났으며(Beroz, 2017), 이러한 요인들이 간호모의실습 운영에 장애로 작용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간호교육 환경을 반영한 실무 표준교육 요구가 도출되었다. National League for Nursing [NLN] (2021)에서는 간호모의실습을 교육과정에 통 합하는 과정,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표준교육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 인력, 시간 등의 지원 여부는 간호모의실습 운영에 영향을 미치므 로, 간호모의실습을 위한 운영자 양성과정에서 자원 가용성과 교육환경을 고려한 전략적 계획 수립을 학습 내용으로 구성해야 하겠다.

    세 번째 영역인 ‘교수자 역량’에 대해서는 ‘촉진자 역할’, ‘교수자 역량 강화를 위한 단계별 교육 요구’, ‘간호 실무 전문성 유지를 위한 협력과 교육 요구’의 3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우선 교수자로서의 역량에서 촉진자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간호모의 실습에서는 학습자를 안내, 지원하고 전체적인 교육 의 관리책임과 감독을 담당하는 촉진자가 필요하다 (Persico, Belle, DiGregorio, Wilson-Keates, & Shelton, 2021). 또한, 시간, 인력, 지원 등을 포함 하여 교육과정에 간호모의실습을 통합할 수 있는 촉 진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다(NLN, 2021). 특히 학 습자 중심의 접근이 강조되었는데, 간호모의실습을 촉진하기 위해 요구되는 교수자 역량을 파악한 고찰 연구(Topping et al., 2015)에서는 긍정적이고 편 안하며 신뢰할 수 있는 학습환경 조성, 이론과 실습 병행, 현실 세계의 롤 모델, 가르치고 배우려는 열 정, 교육내용 제공에 대한 유연성과 적응성, 학습자 중심의 접근이 요구되며, 학습자 중심의 간호모의실 습은 지식 전달 방식보다 효율적이며 임상 현장과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모 의실습은 간호, 의학 교육에서 확대되고 있지만, 전 통적인 교육방식에 익숙한 교수자가 학습자 중심의 간호모의실습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Kim, 2018). 운영자가 인지한 역량 및 교육 우선순 위 분석 연구(Roh et al., 2019)에서 전문 기반, 사 정과 평가, 간호모의실습 구현, 반영과 촉진, 간호모 의실습의 원칙이 교수자의 역량 속성으로 나타났으 며, 중요성과 성과 분석에서는 성찰과 촉진이 가장 큰 격차로 확인되었다. 간호모의실습에서 교수자는 촉진자 역할을 수행하며 학습자의 정서적 요구에 맞 추어 교육을 조정하고(Madsgaard, Røykenes, Smith-Strøm, & Kvernenes, 2022), 디브리핑 시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Roh et al., 2019). 교수자는 교육적 배경과 능력을 갖추 고 기대되는 결과를 달성하는 데 학습자를 도울 방법 을 안내, 지원하도록 훈련받아야 한다(Kim, 2018;Moulton, Lucas, Monaghan, & Swoboda, 2017).

    또한, 교수자 역량 강화를 위해 기초, 심화 과정 의 단계별 교육 운영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수자는 복잡한 기계와 장비에 익숙해져야 하며, 시나리오 개발, 평가도구 개발 등 간호모의실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과 관련하여 시간 과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 간호모의실습을 위한 운 영자 양성과정 개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교수 자가 실습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 지식 등의 역 량 수준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으로 향후 간호모의실습 운영자를 위해 간호 실무 전문성 유지를 위한 협력과 교육 요구를 반영 해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교수자 역량을 지식, 기 술과 행동, 태도/자질로 역량을 분류하여 결과를 확 인한 결과, 지식 측면에서는 간호모의실습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 으로 임상 관련 전문성, 실제 사례 연출 등이 제시되 었다(Topping et al., 201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간호모의실습을 위한 운영자 양성과정 개발을 위해서는 교수자 역량 수준 평가를 기반으로 부족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역량 수준에 따른 교수자의 역할과 책임을 설정해야 하겠 다. 또한, 전문성 유지를 위한 협력과 교육을 제공하 여 간호모의실습의 질을 개선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자의 노력을 지속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영역인 ‘학습자 역량’에 대해서는 ‘간호 전 문직 요구 수준에 부합되는 학습자 역량’, ‘자기주도 적 학습역량 함양’, ‘인간의 고유한 역량 강화’의 3개 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교수자는 간호 전문직 요구 수준에 부합되는 학습자 역량,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 인간의 고유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간호 모의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함을 확인하였 다. 간호모의실습은 인지, 정의, 심동 영역에 긍정적 인 효과를 제공하고 간호역량 강화에 활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교수자는 자신의 효능감 및 역량 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교육받는 간호대학생의 역량 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간호모의실습에서는 능동적인 학습, 반복적인 실습, 성찰을 지원하고 장려하는 학습환경 조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Moulton et al., 2017). 따라서 교 수자는 심리적 안전환경을 제공하여 자신도 이러한 새로운 교육 방법에 대한 부담에 벗어나 편안하게 느끼고, 학습자도 간호모의실습에 대해 흥미를 지속 적으로 가지며 역량을 강화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간 호모의실습은 임상 상황을 모의 경험할 기회를 제공 하여 실수하여도 위해가 없다는 점에서 안전한 학습 환경으로 간주되지만, 학습자에게는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 학습자 관점에서 심리적 안전환경은 촉진자 의 존재, 두려움 없이 배우는 것, 협력, 기대치 설정, 긍정적인 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Stephen, Kostovich, & O'Rourke, 2020), 이를 고려하여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환경을 조성 하고 유지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간호모의실습 운영 경험이 있 는 교수자의 전공 분야가 다양하게 분포되도록 모집 하였으나, 6명 교수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 뷰의 질적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신중히 해석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호모의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 간호모의 실습을 위한 국내 간호 교육환경을 분석하여, 이를 반영한 간호모의실습 운영자 양성과정 프로그램 개 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의 간호모의실습에 대한 교 육 요구도, 교육환경을 확인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간호모의실습 운영’, ‘교육환경’, ‘교수자 역량’, ‘학습자 역량’의 영역에서 포커스 그 룹 인터뷰의 질적 내용분석을 한 결과, 결과 25개의 주제, 12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첫째, ‘간호 모의실습 운영’에서는 설계 요소, 실제적인 운영, 교 육과정 통합에 대한 요구도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 환경’에서는 인적, 물리적 자원 부족이 나타났으며, 국내 간호교육 환경을 반영한 실무 표준교육 요구도 가 있었다. 셋째, ‘교수자 역량’에서는 촉진자 역할, 교수자 역량 강화를 위한 단계별 교육과 간호 실무 전문성 유지를 위한 협력에 대한 요구도가 나타났 다. 넷째, ‘학습자 역량’에서는 간호 전문직 요구 수 준에 부합되며,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인간의 고유 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간호모의실습 운영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간호모의실습 경험 부족은 새로운 기술 을 도입한 교육 방법에 대하여 부담감을 느끼게 되 어 간호모의실습을 기피하게 되거나 실습 시 교수자 에게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므로, 간호모 의실습 운영을 위해 시뮬레이터를 다루는 기술, 시 나리오 개발, 다양한 최신 경향 등을 지속적으로 교 육받고 교수자 역량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교수자의 간호모의실습이라는 새로운 교육 방법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잠재 적으로 향후 이들의 교육을 받는 학습자의 역량 향 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 째, 본 연구에서의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를 반영하 여 교수자의 역량 향상을 위한 간호모의실습 운영자 양성과정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 는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의 교육환경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협회와 학회 차원에서 표준화 된 간호모의실습 운영자 양성과정 운영과 자격인증 을 제공하고, 인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을 제언한다. 셋째, 지속적인 근거 기반 마련을 위한 연 구 지원을 통해 최신 동향을 반영한 최상의 실무 표 준 제공, 정책적 방향 논의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Figure

    Table

    Categories, Theme clusters, and Themes of the Study

    Reference

    1. Aul, K. , Bagnall, L. , Bumbach, M. D. , Gannon, J. , Shipman, S. , McDaniel, A. , et al. (2021). A key to transforming a nursing curriculum: Integrating a continuous improvement simulation expansion strategy. SAGE Open Nursing, 7, 2377960821998524.
    2. Beroz, S. (2017). A statewide survey of simulation practices using NCSBN simulation guideline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3(6), 270-277.
    3. Elo, S. , & Kyngäs, H. (2008).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4. Forstrønen, A. , Johnsgaard, T. , Brattebø, G. , & Reime, M. H. (2020). Developing facilitator competence in scenario-based medical simulation: Presentation and evaluation of a train the trainer course in Bergen, Norway. Nurse Education in Practice, 47, 102840.
    5. Heo, N. , & Kim, J. (2022). Scoping studies analysi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10(1), 1-16.
    6. Jang, H. J. , Kim, J. H. , Ji, E. J. , Jung, D. Y. , Lee, S. H. , & Kim, S. H. (2016). The study on current status of simulation based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1), 1-12.
    7. Kim, J. (2018). A concept analysis of ‘facilitator’ i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4(1), 39-49.
    8. Kim, J. , Heo, N. , & Min, H. Y. (2014). Instructor's experience o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2), 9-20.
    9. Kim, M. , & Kim, S. (2017). Debriefing practices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in South Korea.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3(5), 201-209.
    10.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KABONE). (2022).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a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Retrieved November 21, 2022, from http://www.kabone.or.kr/mainbusin/nurse01outline.do
    11. Krueger, R. A. , & Casey, M. A. (2009).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4th ed.). SAGE Publications.
    12. Lee, Y. M. , & Lee, A. K. (2014). A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the nursing practic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1(5), 731-740.
    13. Lincoln, Y. S. ,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14. Madsgaard, A. , Røykenes, K. , Smith-Strøm, H. , & Kvernenes, M. (2022). The affective component of learning in simulation-based education-facilitators’ strategies to establish psychological safety and accommodate nursing students’ emotions. BMC Nursing, 21(1), 1-10.
    15. Min, H. Y. , Kim, J. , & Heo, N. (2015). Instructor’s debriefing experience o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3(1), 11-21.
    16. Moulton, M. C. , Lucas, L. , Monaghan, G. , & Swoboda, S. M. (2017). A CLEAR approach for the novice simulation facilitator.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12(2), 136-141.
    17. National League for Nursing(NLN). (2021). NLN simulation innovation resource center courses. Retrieved June 12, 2021, from http://www.nln.org/sirc/sirc-courses
    18. Park, J. S. , Kim, K. M. , Son, H. G. , & Cho, H. H. (2018).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for simulation-based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and instructors. Journal of Wholistic Nursing Science, 11, 10-19.
    19. Persico, L. , Belle, A. , DiGregorio, H. , Wilson-Keates, B. , & Shelton, C. (2021). Healthcare simulation standards of best practiceTM facilit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8, 22-26.
    20. Roh, Y. S. (2021). Effects of a debriefing workshop for simulation educators in nursing.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39(11), 780- 785.
    21. Roh, Y. S. , Kim, M. , & Issenberg, S. B. (2019). Perceived competence and training priorities of korean nursing simulation instructor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6, 54-63.
    22. Stephen, L. A. , Kostovich, C. , & O'Rourke, J. (2020). Psychological safety in simulation: Prelicensur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47, 25-31.
    23. Thomas L. , MacMillan, J. , McColl, E. , Hale, C. , & Bond, S. (1995). Comparison of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 methodology in examining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Social Sciences in Health, 1(4), 206-219.
    24. Topping, A. , Bøje, R. B. , Rekola, L. , Hartvigsen, T. , Prescott, S. , Bland, A. , et al. (2015). Towards identifying nurse educator competencies required for simulation-based learning: A systemised rapid review and synthesis. Nurse Education Today, 35(11), 1108-1113.
    25. Witkin, B. R.. & Altschuld, J. W. (1995).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s: A practical guid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