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1 No.1 pp.57-70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3.11.1.57

Developmet and Effects of Tabletop Disaster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Eun-Kyung Lee, Sun-Young Jung*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이은경, 정선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부교수

이 논문은 2022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21050)


*Corresponding Author: Jung, Sun-Young College of Nurs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33, Duryugongwon-ro 17-gil, Nam-gu, Daegu, 42472, Republic of Korea Tel: +82-53-650-4977, Fax: +82-53-650-4392, E-mail: syjung@cu.ac.kr
20230419 20230505 20230609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abletop disaster simulation of nursing students’ disaster preparedness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multiple time-series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n=27) underwent a lecture an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Control group (n=27) underwent only lecture a review on disaster nurs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peated ANOVA and Bonferni test. Results: Disaster prepared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by time (F=47.25, p<.001).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by time (F=19.38, p<.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disaster nursing tabletop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increasing disaster preparedness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in nursing students.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사회는 자연재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 적·인적 재난을 경험하고 있다(Joo, Huh, Yoon, & Chae, 2016). 이에 대해 정부를 중심으로 재난 관련 정책을 토대로 재난대비, 재난복구 지침을 마 련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의료기관 중심의 재난 대응이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어 재난 상황 에서의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다할 수 있다(Ann, Keum, & Choi, 2011;Goniewicz, Goniewicz, Burkle, & Khorram-Manesh, 2021;Kim & Kim, 2021). 이에 국제간호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Nursing, ICN)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2009년부터 재난관련 정 책을 반영하여 간호사가 재난간호핵심역량을 갖출 것을 강조하고 있다(ICN, 2019). 이를 반영하여 한 국간호평가원에서 간호교육역량으로 재난 및 응급 상황에서의 간호역량을 제시하여 간호대학생이 졸 업 전 해당 학습성과에 도달하고 있는지 평가받을 수 있게 기준을 두고 있어(Ahn, 2022) 간호교육에 서 재난간호역량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재난간호에 대한 국내 간호교육을 살펴보면, 지 역사회간호학 교과목에서 ‘안전 및 재난간호’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여 이론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재난 에 대한 구체적 전략이 아닌 총괄적 내용 구성 중심 이라는 평가뿐만 아니라 운영효율성과 교육방법 적 합성과 근거가 다소 부족하다고 평가되고 있다(Han et al., 2019;Jung, Kim, Lee, Kim, & Kim, 2018). 또한 재난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체계 적 문헌고찰을 실시한 연구에서(Kim & Kim, 2021) 재난 발생 시 혼란을 경험하는 간호사에게 현 장지휘체계를 이해하고, 중증도 분류 및 병원재난발 생 간호전략 등 능동적 간호실무를 제공하는 전문 교육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이에 재난상황에서 능동 적으로 대처해야하는 예비간호사인 간호대학생에게 재난에 대한 지식과 실제적 수행능력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입증된 시뮬레이션 기 반 교육(Kim & Kim, 2021;Lee et al., 2020)을 적용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재난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서(Kim & Kim, 2021) 간호대학에서 학부단위 재난간호교육에 대한 관심과 적용은 높아졌으나 설계가 단일 군으로 제한 적이었으며,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을 다룬 생 화학재난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고 제시하 였다. 이상의 내용들을 토대로 본다면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교육은 교육내용으로 생화학재난을 포 함한 다양한 재난대응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교육방법으로는 시뮬레이션 교육방법을 접목하여 이 론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 이 루어져야 하며, 학습자 수준에 적합하게 기초단계 교육으로 현장시뮬레이션 보다는 책상에서 하는 토 의형 훈련인 도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습자와 교수 자가 효율적으로 몰입할 수 있어 재난간호준비도를 강화하게 하고, 연구설계를 보다 강화하여 연구결과 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적합한 재난간호교 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다양한 재난에 대한 정의, 국가재난지휘체계, 병원재난지휘체계, 재난간호를 내용으로 하는 다각적 교육내용을 이론교육을 기초로 받은 간호대학생에게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뮬레이션에서 는 자연재난과 인적재난의 복합재난으로 다중손상사 고에서의 중증도 분류에 대한 지역사회 내 재난관리체 제와 지역사회 내 재난상황에서의 병원구조의 효율적 관리를 다루는 병원재난관리체계와 생화학재난에서 의 병원 대응에 대한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에 대 한 평가를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적합하게 재난간 호 준비도와 재난간호핵심역량을 사전, 이론교육 후, 시뮬레이션 교육 후, 추후 총 4회 시행하여 교육방법의 타당성 및 지속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준비도를 강화하고 추후 재난 현장에서의 간호사의 재난간호역량을 강화하는데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파 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 음과 같다.

    • 1)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2)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재난간호준비도에 미치는 효 과를 파악한다.

    • 3)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에 미 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3. 연구 가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 가설 1.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에 참여한 실험군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재난간호 준비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에 참여한 실험군과 프로그램에 참여하 지 않은 대조군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 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 선정을 위해 D시에 소재 1개 대학의 3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공지하고 자발적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신청 받아서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표본 크기는 G*power 3.1 프로그램을 반복측정분산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유의수준(α). 05, 검정력(1-β). 85, 선행연구(Jung et al., 2018)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크기(d) .6, 집단 수 2그룹, 반복측정 수 4로 계산하였을 때 산출 된 대상자 수가 총 50명이었으며, 한 그룹당 25명의 대상자가 필요하였다. 탈락률 5%를 고려하여 실험군 과 대조군 각 2명을 더한 27명씩 총 54명을 목표인원 으로 하였다. 그러나 모집 기간 동안 연구 참여하겠다 고 희망하는 간호대학생 57명이었고, 간호대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신청한 간호대학생 모두를 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신청한 순 서대로 개인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난수표를 이용하여 배정하였고, 어떤 교육방법이 실험군, 대조군인지 대 상자는 모르게 하였다.

    자발적으로 희망한 연구대상자에게 동일한 연구 자가 모든 교육을 실시하고, 피드백 하였으며, 설명 문과 동의서는 연구원의 아이디로 따로 구글폼으로 받아 엑셀화 작업을 하여 연구자와 연구대상자가 철 저히 분리된 채 설문에 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가 연구자 학교의 학생으로 헬싱키 선언 기준 취약집단이므로 이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해 학습자인 참여자 모집은 3학년 대표를 통해 공지하 였고, 온라인으로 자발적으로 신청한 간호대학생으 로 선정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연구 참여유무는 정 규교과목 이수나 성적산출과 무관하고, 어느 시점이 든 연구 참여 철회가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 조군을 위해 실험 후 원하는 경우 동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하였으나 추가로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희망자가 없어 기존에 배부한 교육 자료집을 통해 내용을 학습하도록 지원하였다.

    3. 연구 도구

    1) 재난간호 준비도

    재난간호 준비도는 ICN 재난간호역량 틀에서 제시 한 내용과 Ann 등(2011)이 개발한 간호사를 위한 재난 간호준비도 설문지 59문항을 토대로 Hur (2017)가 수정·보완한 재난간호 준비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 다. 하부영역은 재난예방 6문항, 재난대비 7문항, 재 난대응 10문항, 재난복구·재활 3문항이며 총 26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Likert 5점이며, 점수가 높을 수록 재난간호 준비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Hur (2017)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92였으 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 =.93이었다.

    2)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은 Wisniewski, Dennik- Champion과 Peltier (2004)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Emergency preparedness information qwestionnaire의 44개 문항을 기반으로 Noh (2010) 가 개발하고 Ahn과 Kim (2013)이 수정 보완한 도구 를 사용하였다. 재난 대비, 대응, 간호 기술 제공 및 취약한 대상자 분류를 포함한 총 15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Likert 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재난간 호 핵심수행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Noh (2010) 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94, Ahn과 Kim (2013)의 연구에서 Cronbach’s α=.90이었으 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93이었다.

    4.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절차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ADDIE 교수설계모형 (Molenda, 2003)의 순으로 개발하였다. ADDIE 교 수설계모형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절차인 순으로 본 프로그램을 개발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Figure 1, Table 1).

    첫째, 분석단계에서 교육요구, 학습자의 현재 상 태, 환경 및 직무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요구분석 과정에서 선정과정을 했다. 먼저 재난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해 일 대학교 3학년 10명 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육의 필 요성, 교육경험, 교육내용 희망에 대해 조사한 결과, 8명이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나 교육 경험이 있 는 간호대학생은 1명에 불과하였다. 또한 10명 모두 가 현장 중증도 분류와 병원재난대응을 희망 교육내 용이라고 체크하였다. 간호사, 간호대학생, 의과대 학생 등의 재난 관련 교육요구도에 대한 선행 연구 에서도 대부분이 재난에 대한 간호교육이 필요하다 고 보고하였다(Ann et al., 2011;Kim, 2015;Noh, 2010;Su et al, 2013). 뿐만 아니라 선행연 구에서 재난발생 시 기본적인 응급처치와 재난관리 체계 중 대응 단계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 다(Kim, 2015;Hong, 2020)

    교육요구가 있는 학습자 분석 결과, 3학년 임상실 습에서 응급실과 중환자실 실습경험이 있었으며, 기 본인명소생술(Basic Life Support) 과정이나 성인 간호학에서 응급간호 부분을 모두 수강한 간호대학 생이었다. 그러나 재난에 대한 교육은 받은 적이 없 어 시뮬레이션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교육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육환경은 코로나19 상황으 로 대면 수업에 다소 제한이 있었고, 온라인 교육에 대한 장비는 모두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다수의 간 호대학생이 코로나19 예방 백신접종을 하였고 사회 적 거리두기 기준을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대면수업 도 가능한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무 및 과제 분석을 위해 문헌고찰 한 결과 재난관 리단계 중 대응단계에 대한 직무가 가장 어려웠고, 교육 경험이 적었고 그중에서도 초기대응자, 현장 중증도 분류와 응급처치 등의 현장의 대응과 병원재 난관리체계 내의 소통 채널 등에 대한 부분의 준비 도 및 역량이 낮았으므로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 을 확인하였다(Ahn et al., 2011; Hong, 2020;Kim, 2015;Noh, 2010;Su et al., 2013).

    둘째, 설계단계에서 수행목표 명세화, 평가도구 개발, 구조화, 교수전략 및 매체선정의 체계화되고 전략적인 계획을 구체화하였다. 먼저 교육의 목표는 ‘재난, 재난간호, 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재난관리체계, 병원재난지휘체계에 대해 설 명하고, 재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다.’, ‘재난 상황 에서 재난 대응 및 중증도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로 두었다. 평가도구는 ICN의 재난간호 프레임에 적합하게 개발된 재난간호 준비도와 재난간호 핵심 수행역량으로 측정하기로 하였다. 또한 수행목표가 달성되기 위해 자연 및 사회재난, 특히 감염병에 대 한 생화학재난을 함께 다루는 재난의 이해와 재난간 호, 재난관리체계, 병원재난 지휘체계, 재난 단계별 간호가 필요했으며, 특히 재난 대응단계는 시뮬레이 션을 통해 경험학습 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 다. 또한 이론교육은 온라인 Microsoft Teams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이론교육 이후에는 대면으로 도 상 시뮬레이션 교육으로 재난 대응단계에 대한 교육 이 실제 수행으로 경험될 수 있도록 교수전략 및 매 체를 선정하였다. 이에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수 학습방법은 온라인 강의, 대면 도상 시뮬레 이션 교육으로 팀기반 학습으로 토론, 발표 등을 실 시하였고, 시뮬레이션 이후 디브리핑을 통해 성찰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방법은 Description- Analysis-Application방법인 DAA (Jaye, Thomas & Reedy, 2015)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화이트보 드에 교수자가 작성하면서 진행하였다.

    셋째, 개발단계에서는 설계에서 작성된 교육계획 안에 대한 타당도와 예비실험 및 조사를 실시하였 다. 교육계획안과 프로그램 내용을 구체적으로 작성 하여 전문가 5명에게 내용타당도 조사를 하였다. 전 문가는 국가재난 응급의료 전문가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의사 2명, 간호사 1명, 간호학 교수 1명과 교육 학 전공자 1명이 내용을 검토하였고, 내용의 타당성 을 5점 척도로 실시하여 내용타당도 검정을 하였 으며,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90으로 모두 적합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와 동일한 학교의 경우 연구내용의 확 산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 선행 교육과정 이 유사한 학교 간호학과의 동일 학년인 3학년 간호 대학생 1인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이 받을 해 당 프로그램 운영 방법과 내용을 그대로 실시하고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모집 수에 제한이 있었으므로 예비조사 대상자 수를 더 늘일 수 없어 일반화에는 제한은 있었으나 해당 프로그램 적용 가 능성과 목표 도달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목표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참여의 어려 움이 없고, 흥미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중증 도 분류에 대한 대상자 정보가 보다 명확했으면 좋 겠다고 하여 사진으로 손상 부위를 확인할 수 있도 록 대상자 정보에 사진을 삽입하였다. 또한 해당 대 상자에게 설문지도 확인하였으며, 문항을 이해하고, 설문조사에 응하는 데 어려움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실행단계에서 개발한 재난간호 도상 시뮬 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실시하였다. 자 발적 참여 희망자만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는 방법으 로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한 대상자의 연구의도 파악 으로 실험 중재효과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은 이론교육은 온라인으 로 동일하게 교육받았으며, 이후 실험군은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을 대면으로 진행하였고, 대조 군은 Social Network Service로 이론교육에 대한 요약 리뷰를 하였다.

    해당 간호대학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간호대학 생이 격주로 대면 수업을 진행하였으므로 프로그램 확산의 위험이 적지만 간호대학생들이 실험 확산효 과가 되지 않도록 학기 중과 방학 기간으로 구분하 여 실시하였으며, 간호대학생들의 편의와 요구에 따 라 대면수업이 용이한 실험군을 학기 중으로 하고 일정 기간의 여유를 둔 후 대조군을 온라인으로 프 로그램을 방학 중에 실시하였다. 학습자인 참여자 모집은 3학년 대표를 통해 공지하였고, 온라인으로 자발적으로 신청한 간호대학생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실험군의 경우 2021년 11월 5일부터 일부터 11월 26일까지 온라인 강의 2주, 오 프라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2주를 실시하였고 각 프로그램은 총 2회 2시간씩 총 4시간 시행하였다. 또한 운영기간의 전후로 2주 간격을 두고 사전과 추 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실험군 3차 사후조 사인 추후조사 시점에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 군과 동일한 간격인 2주 간격으로 온라인 이론교육 후 1차 사후조사, 이후 이론 강의에 대한 개념 이해 에 대한 리뷰 교육을 온라인으로 2회, 총 4시간 피드 백을 주었다.

    온라인 교육은 재난과 재난간호에 대한 이해, 국 가재난대응단계별 대응, 병원재난관리체계 등 재난 에 대한 전반적인 재난간호에 대해 교육하였으며, 동일한 콘텐츠로 실험군과 대조군이 강의를 들었다. 또한 집중교육으로 오프라인 교육을 실험군에는 도 상 시뮬레이션 교육을 실시하였다. 병원 밖 재난간 호로 재난 상황에서 지역사회 내에서 재난에 대한 대응으로 환자분류단계 및 대응에 대해 시뮬레이션 을 하였다. 총 15명의 대상자를 예시로 환자분류를 하였고, 이후 대응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이젤패드에 적고 발표하였다. 또한 두 번째는 병원 내 감염병 재난상황에 대한 환자중증도 재분류, Hospital Incident Command System (HICS)과 대응방법 등을 시뮬레이션하였고, 발표하였다. 각 시뮬레이션 후 디브리핑을 통해 성찰을 하였다.

    마지막 평가 단계에서 프로그램 효과평가를 위한 실험이 모두 마무리된 후 2주 뒤 사후조사를 실시하 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와 추후 대학 내 프로그램 평가발표회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에 대 한 피드백을 받았다. 평가를 위한 자료조사 기간은 실험군의 경우 2021년 10월 22일-12월 10일까지였 고, 대조군의 경우 2021년 12월 10일-2022년 1월 21일까지였다.

    5. 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 전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게 연구의 목적과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자발적인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게 동의서를 받은 후 자료를 수집하 였다. 연구대상자에게 익명과 비밀 보장을 약속하였 고 대상자가 원하지 않으면 언제라도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으며 연구 참여를 철회하여도 불이익이 없음과 수집된 자료는 코드화 처리됨을 설명하였다. 실험 효과 확산을 우려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은 모두 온라인 구글폼으로 설문하였으며, 설문시점은 사전, 이론교육 후, 도상 시뮬레이션 후, 추후로 하였고, 반복측정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각 설문조사는 2 주 간격으로 시행하도록 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설문조사에 응해준 대조군 모두에 게 소정의 선물(학용품)을 증정하였다.

    6.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재난간호 준비 도 및 재난간호역량수행은 기술 통계로 분석을 통해 사전의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일반 적 특성, 제 변인이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어 재난간 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두 집 단의 재난간호 준비도과 재난간호역량수행의 차이 인 가설검정은 Repeated ANOVA로 분석하였으며, Bonferni로 사후검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의 사전 동질성 검정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 은 동질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균 연령은 실험군 이 21.81±1.64세, 대조군 21.78±0.97세였으며, 두 집단 모두 성별은 여성이, 성적은 중간이 가장 많았다. 전공만족도는 10점 만점에 실험군 7.93± 1.75점, 대조군 7.07±1.34점이었고, 임상실습만족 도는 실험군 7.41±1.34점, 대조군 7.00±1.75점이 었다. 대상자의 재난간호 관련 교육 경험은 두 집단 모두에서 각각 2명씩만 경험이 있었으며, 모든 대상 자가 재난간호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집단 모두 에서 여성이 많았다.

    종속변수인 재난간호 준비도와 재난간호 핵심수 행능력 사전 점수 역시 대상자의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두 군은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2.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시행하기 위한 가정인 정규 성 검정 Shapiro Wilks 검정 결과 p>.05이상이었 고, 구형성 검정을 위한 Mauchly 검정 결과 두 변 수 p<.05이어서 구형성 검정을 가정한 값을 사용하 였다. 또한 등분산성 검정을 위한 Levene test 역시 p>.05이었으므로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반복 측정 분산분석을 시행하기에 적합하였다.

    먼저,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재난간호 준비도를 확인한 결과, 집단 간(F=40.56, p<.001), 시점 내 (F=49.68, p<.001), 집단과 시점의 교호작용(F= 47.25,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전 재 난간호준비도와 사후 차수별 차이에 대한 두 집단의 차이를 확인 한 결과 이론 온라인강의를 실시 후 1차 사후조사와 사전조사의 재난간호준비도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0.16, p=.875), 도상 시 뮬레이션을 실시 후 2차 사후조사와 사전조사(t= 10.34, p<.001), 추후조사인 3차 사후조사와 사전 조사(t=6.32, p<.001)에서는 두 집단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번째로 프로그램 적용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을 확인한 결과, 집단 간(F= 49.84, p<.001), 시점 내(F=25.82, p<.001), 집단 과 시점의 교호작용(F=19.38,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전 재난간호 준비도와 사후 차수 별 차이에 대한 두 집단의 차이를 확인 한 결과 이론 온라인강의를 실시 후 1차 사후조사와 사전조사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은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1.11, p=.273), 도상 시뮬레이션을 실 시 후 2차 사후조사와 사전조사(t=4.95, p<.001), 추후조사인 3차 사후조사와 사전조사(t=4.07, p< .001)에서는 두 집단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Table 3).

    Ⅳ. 논 의

    재난상황에서 간호사가 재난간호핵심역량을 발 휘하기 위해 재난 관련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므로 (Kim & Kim, 2021;Yang, 2018)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간호대학생에게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다른 교육 프로그램과 비교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재난 간호 교육에 사용된 시뮬레이 션 연구에서 그 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Kim & Kim, 2021) 고충실도 시뮬레이터, 가상현실 시뮬레 이션 교육, 단순마네킨, 고충실도 시뮬레이터, 표준 화환자 등을 활용한 연구들이 있었다. 현실성과 충 실도를 강화하기 위해 경험을 강조하는 면에서 기존 의 시뮬레이션 유형이 보다 적합하다고 판단되나 (Lee et al., 2020) 본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재난간 호를 처음 접하는 간호대학생이 이해하기에는 인지 과부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으며, 시뮬레이션 운영을 위한 교수자의 노력과 비용효과성을 고려하 여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으로 대체하였다. 본 프로 그램만으로도 결과변수의 차이에서 효과의 지속성 이 입증되었으므로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시뮬레 이션 교육 접근의 효율성을 강화하였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추후 상급과정에서는 현장형 시나리오를 접 목한 고충실도 시뮬레이터와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보다 구체화 할 필요가 있 겠다.

    또한 시뮬레이션 두 번째, 재난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사용된 시나리오 요소에 대한 부분을 확인하 면 재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는 구체적 상황에서의 다중손상사고 관련된 시나리오를 다루거나 특정 상 황에 대한 구체적 정보가 충분하지는 않지만 ‘재난 훈련 형태, 독성 가스나 물질을 제거하는 제독 술기, 중증도 분류가 주를 이루었다(Kim & Kim, 2021). 본 연구의 프로그램에서 역시 사회인적재난 상황이 라는 특별한 재난 상황에 대해 제시하고 제독을 고 려한 중증도 분류를 하는 시나리오를 구성하였으며, 이후 병원 내 감염병 재난상황에 대한 병원 내 병동 및 환자배치 구성, HICS와 대응방법 등을 다루었 다. 이에 COVID-19 관련 간호 교육에서의 시뮬레 이션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됨을 고려한다면 (Kim & Kim, 2021;Shea & Rovera, 2021) 본 연구를 토대로 예비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이 감염병 과 같은 생화학재난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게 된 계 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에 대한 논의의 마지막은 교육시간이다. 교수자 주도 강의시간을 제외한 시간 으로 보았을 때 기존 재난관련 시뮬레이션 교육 시 간이 0.33-56시간으로 다양하였다고 보고하였다 (Kim & Kim, 2021). 본 연구의 경우, 이론교육을 제외한 시뮬레이션 교육 시간만 4시간을 시행하였 고, 그 효과가 유의했음을 고려할 때 재난간호 초보 자인 간호대학 3학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으로서는 적합하였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모든 재난 유형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접목하는데는 제한이 있었 고, 3학년 간호대학생의 학업수준에 적합하게 개발 하였으므로 대상자의 중증도도 다소 제한적이었으 며 병원현장과 지휘체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이론 적 부분을 많이 다루어야 했다. 따라서 4시간 모듈 2가지 시뮬레이션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다룰 수 있 는 다양한 재난에 따른 시뮬레이션, 재난 상황에서 의 병원 내 환자중증도 재분류 등의 다양한 시나리 오를 포함한 심화과정이나 상급과정의 시뮬레이션 역시 전공선택 과정이나 석박사과정에서 필요한 것 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경우 재난 간호준비도와 핵심역량의 질이 강화될 수 있고, 졸 업 후 현장의 적응을 잘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 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의 경우 개인의 역량 뿐 아니라 병원 및 지역사회 내의 재난대응체 제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효과가 있으므로 심화과정이나 상급과정의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간호대학생에게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 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 다. 간호대학생에게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재난간호 준비도와 재난간호핵심역량을 확인한 결과, 집단 간, 시점 내, 집단과 시점의 교호작용 모두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재난간호준비도 정도를 조사한 선행연구에서 재난간호준비도가 79.98±12.16점이 었고, 본 연구에서도 실험군이 84.59±13.76점으로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군은 80.85±12.74점으로 비슷한 수준이었음 을 고려한다면 실험군의 추후 114.89±11.03점으로 유지되고 있었다는 점에서 교육방법의 타당성 및 지 속성이 입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 지 역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핵심역량 조사연구에서 (Hong, 2020) 재난간호핵심역량 평균이 47.65± 11.92점이었고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이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본 프로그램 시행 결과 실험군의 재난간호핵심역량이 64.81± 7.04점이었다는 점 역시 재난간호준비도와 마찬가 지로 본 프로그램의 교육방법의 효과성이 입증되었 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재난간호 준비도와 재난간호핵심역량의 사 전과 사후 차수별 차이에 대한 두 집단의 차이를 확 인 결과, 이론 온라인강의를 실시 후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핵심역량 모두에서 두 집단의 차이는 없었 으나 도상 시뮬레이션을 실시 후 2차 사후조사, 추 후조사인 3차 사후조사가 사전조사와의 차이에서 두 집단의 차이가 있었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재난 간호준비도와 재난간호핵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는 이론교육보다는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 육을 통한 학습자 경험 학습이 방법론적으로 적합함 을 알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이라는 경험적 학습을 통해 구체적 경험에 참여하고, 이후 성찰적 경험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추상적인 개념화하고, 활동하는 경험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므 로(Kolb, 2015;Lee et al., 2020) 재난간호교육에 서는 많은 지식을 이론 강의를 통해서 그칠 것이 아 니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경험학습의 단계를 거쳐 배 울 수 있도록 하는 것 필수(Nilsson et al., 2016)임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시뮬레이 션 기반 재난 간호교육의 표준화와 질 재고가 필요 하다는 선행연구(Alim, Kawabata, & Nakazawa, 2015;Kim, 2015;Kim & Ham, 2015;Kim & Kim, 2021)를 바탕으로 간호교육에서의 교육과정 개발과 표준화를 위한 기초를 마련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그 효 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 한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 대학생의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핵심역량을 강화하 는 데 효과가 있었으며, 이론교육과 더불어 시뮬레 이션 교육이 필수로 시행하여야 교육의 지속성이 유 지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재난간호 도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을 확대하여 예비간호사의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 핵심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이 프로그 램을 토대로 간호대학생이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재 난의 분류를 추가하거나 복합 다중손상 시나리오를 추가한 시나리오를 강화한 간호대학생을 위한 심화 과정이나 병원중심의 재난대응인 HICS를 강화한 프로그램을 통해 재난간호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가 유사실험연구로 진 행되어 대상자 편중과 제 3변수 개입으로 인한 영향 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무작위 배정을 통한 비동등 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적용한 반복 연구를 제안 한다.

    Figure

    JKSSN-11-1-57_F1.gif
    Flow diagram according to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 evaluation) model

    Table

    Contents of Disaster Nursing tabletop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Homogeneity Test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N=54)
    Effect Comparison of Disaster Nursing Tabletop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between Two Groups (N=54)

    Reference

    1. Ahn, E. G. , & Kim, S. K. (2013).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6), 257-267.
    2. Ahn, O. H. (2022). A handbook of 2022 for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pp. 42-43.
    3. Alim, S. , Kawabata, M. , & Nakazawa, M. (2015). Evaluation of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and disaster drill for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5(1), 25-31.
    4. Ann, E. G. , Keum, K. L. , & Choi, S. Y. (2011). A study on the disaster preparedness of nurses in some Korean retinal emergency medical center.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9(1), 94-109.
    5. Goniewicz, K. , Goniewicz, M. , Burkle, F. M. , & Khorram-Manesh, A. (2021). Cohort research analysis of disaster experience, preparedness, and competency-based training among nurses. PLoS One, 16(1).
    6. Han, S. J. , Cho, C. M. , Lee, Y. R. , Nagasaka, K. , Izummune, M. , Lee, S. B. , et al. (2019). A content analysis of disaster nursing education i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0(3), 307-323.
    7. Hong, J. U. (2020). A study on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2), 199-205.
    8. Hur, S. S. (2017). The effect of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Case based small group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9.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ICN). (2019). Core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version 2.0.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Geneva: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10. Jaye, P. , Thomas, L. , & Reedy, G. (2015). ‘The Diamond’: A structure for simulation debrief. Clinical Teacher, 12(3), 171-175.
    11. Joo, J. Y. , Huh, S. , Yoon, Y. A. , & Chae, J. H. (2016). Current trends and future tasks of cohort study. Journal of Korea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5(3), 168-1175.
    12. Jung, H. M. , Kim, N. H. , Lee, Y. H. , Kim, M. S. , & Kim, M. J. (2018). The effect of a disaster nurs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knowledge, preparedness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377-386.
    13. Kim, H. J. (2015).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operation Society, 16(11), 7447-7455.
    14. Kim, S. H. , & Ham, Y. S.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08-319.
    15. Kim, S. H. , & Kim, H. J. (2021).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9(1), 69-87.
    16. Kolb, D. A. (2015).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2nd ed.). Pearson Education, NJ: Prentice-Hall.
    17. Lee, J. , Lee, H. , Kim, S. , Choi, M. , Ko, I. S. , Bae, J. , et al. (2020). Debriefing methods and learning outcomes i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rse Education Today, 87, 104345.
    18. Molenda, M. (2003). In search of the elusive ADDIE model. Performance Improvement, 42, 34-36.
    19. Nilsson, J. , Johansson, E. , Carlsson, M. , Florin, J. , Leksell, J. , Lepp, M. , et al. (2016). Disaster nursing: Self-reported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and registered nurses, with focus on their readiness to manage violence, serious events and disaster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7, 102-108.
    20. Noh, Y. (2010). Nurses’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Shea, K. L. , & Rovera, E. J. (2021). Preparing for the COVID-19 pandemic and its impact on a nursing simulation curriculu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60(1), 52-55.
    22. Su, T. , Han, X. , Chen, F. , Du, Y. , Zhang H. , Yin, J. , et al. (2013). Knowledge levels and training needs of disaster medicine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in Shanghim China. PLoS ONE, 8(6), e67041.
    23. Wisniewski, R. , Dennik-Champion, G. , & Peltier, J. W. (2004). Emergency preparedness competencies: Assessing nurses’ educational need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4(10), 475-480.
    24. Yang, S. A. (2018).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 (3), 39-51.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