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1 No.1 pp.71-83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3.11.1.71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Confidence after Virtual and Laboratory Simulation
가상현실 시뮬레이션과 실습실 시뮬레이션 운영순서에 따른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및 학습자신감

Hye-Young Kim1, Eun-Hee Choi2*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Yeungnam University College
2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Yeungnam University College

김혜영1, 최은희2*
1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2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Choi, Eun-Hee Department of Nursing, Yeungnam University College, 170 Hyeonchung-ro, Nam-gu, Daegu 42415, Korea Tel: +82-53-650-9388, Fax: +82-53-625-9380, E-mail: eh5472@ync.ac.kr
20230425 20230516 202305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ory, and learning confidence differences after virtual and then laboratory simulations. Methods: A two-group cross-over design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included 148 senior nursing students (74 teams). The treatments had virtual and then laboratory simul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COVA and Chronbach’s α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laboratory simulation after virtual simulation were different totally or partially with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virtual simulation first i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confidence. Conclusion: Effects based on order of simulation were different. To increase learning immersion, laboratory simulation was done before virtual simul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confidence, it were not affected by order of simulation type but by number. Repeated studies require clearly investigating the effects based on order of simulation type.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대학생들이 환자 침대 옆에서 직접 간호와 교 육을 받기가 어려운 것에 대한 보완 방법이나, 동일 한 학습기회 제공 및 반복 학습의 용이성 등으로 인 해 간호학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 가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이 성인, 여성과 아동 등 을 대상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모듈들과 평가 도구 들이 개발되어 임상실습과 같이 임상수행능력, 비판 적 사고 및 지식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 다(Jang, Yoo, & Roh, 2019;Kim, Kim, & Lee, 2019;Park & Kim, 2020). 실제로 간호학에서의 초기 시뮬레이션 교육은 병원이나 특정 임상환경을 대학 내 시뮬레이션 실습실에 구현하여 간호 임상상 황에 필요한 간호술을 습득하거나 비판적 사고나 문 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 다(Jang et al., 2019;Park & Kim, 2020). 특히,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이 3주기 간호교육인증평가 기준에서 시뮬레이션 실습을 4학점 또는 전체 임상실습 시수의 12%까지를 인정함으로써(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1) 간호교육에서의 시뮬레이션 실습 효과는 어 느 정도 검증되고 일반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간호대학에서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실습은 최소 한의 활동공간에서 가상현실을 적용한 Virtual reality (VR), 공간적 제한 없이 스스로 자가학습할 수 있는 Virtual Simulation (VSIM)과 병원과 유사한 환경을 구현해두고 고충실도 시뮬레이터(high fidelity simulator, HFS), 하이브리드 시뮬레이터 등 다양한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습 등을 포함하고 있다(Kim, 2020;Park, 2020;Yun & Choi, 2019). 즉, 다양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실제로 적용 하고는 있지만, VR, VSIM과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등에 따른 효과 차이와 간호대학생 의 교육과정 중 언제,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효과적 인지에 대한 근거를 확인한 연구는 현재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2020년 1월, 코로나19(coronavirus disease, COVID-19) 환자가 한국에서 최초로 발생하고 전 염병의 전파력으로 인해 간호대학생이 환자를 직접 대면해서 진행해야 하는 임상실습을 진행하기가 어 렵게 됨으로써 다양한 비대면 임상실습 방법에 대한 요구가 갑자기 증폭되었다. 특히, 대학에서 실습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 VR보다는 자가학습으로 실 습을 진행할 수 있는 VSIM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 다. 그러나 VSIM에 대한 효과 검증이나 임상실습을 대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겨를도 없이 전염병 발 병에 따른 응급상황에서 임상실습을 대체하기 위해 많은 대학에서 VSIM을 적용하였다. 그러므로 VSIM 이 어떤 부분에서 임상 현장을 재현해 놓은 시뮬레 이션기반 실습(laboratory simulation, Lab SIM) 을 대체할 수 있는지와 효과적인 부분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VSIM과 Lab SIM을 비교한 연구로는 Lee와 Ryu (2021)가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혼합을 통해 VSIM 교육은 고충실도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에 비해 지식의 습득과 개인이 반복 학습을 하기가 용이하다고 하였으며, 과정보다는 결 과에 초점을 둔 수동적 학습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만족도와 임상판단능력이 VSIM보다는 고충실도 기 반 시뮬레이션 교육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고 하였 다. 그러나 이 연구는 대상자 수가 20명으로 작을 뿐만 아니라 만족도와 임상 판단능력의 사전 동질성 을 파악하지 못한 채 진행한 연구이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에는 제한이 있다.

    임상 현장의 상황이나 간호대학생의 안전을 위해서 간호학에서 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효율적으로 시뮬레이션 실습을 운영하기 위한 방법적 기틀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실에서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VSIM과 Lab SIM의 운영순서에 따른 변화를 구체적으로 확인 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 실습 교육 방법의 하나인 VSIM과 Lab SIM의 운영순서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학습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3. 연구가설

    • 1) 제 1가설: VSIM을 먼저 진행하고 Lab SIM을 이후에 진행하는 간호대학생들과 Lab SIM을 먼저 진행하고 VSIM을 이후에 진행하는 간호 대학생들은 그룹과 시점간의 학습몰입에서 차 이가 있을 것이다.

    • 2) 제 2가설: VSIM을 먼저 진행하고 Lab SIM을 이후에 진행하는 간호대학생들과 Lab SIM을 먼저 진행하고 VSIM을 이후에 진행하는 간호 대학생들은 그룹과 시점간의 학습만족도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제 3가설: VSIM을 먼저 진행하고 Lab SIM을 이후에 진행하는 간호대학생들과 Lab SIM을 먼저 진행하고 VSIM을 이후에 진행하는 간호 대학생들은 그룹과 시점간의 학습자신감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VSIM을 진행 하고 Lab SIM을 적용하는 방법(그룹 1)과 Lab SIM 을 먼저 진행하고 VSIM을 진행(그룹 2)한 후에 간 호대학생들의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와 학습자신감 변화를 비교하는 교차설계연구이다(Figure 1).

    2. 연구대상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은 2020년 COVID- 19로 인해 비대면으로 3학년 1학기 임상실습을 진행 하였고, 2학기에는 병원에서 대면으로 임상실습을 진행한 간호대학생 중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학 생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수는 표본 수 산정 프로그램 G-Power 3.1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유 의수준(α=.05), 효과크기(d=.80), 검정력(1-β=.80) 으로 했을 때 연구에 필요한 최소표본은 52명이었다 (Faul, Erdfelder, Lang, & Buchner, 2007). 효과 크기는 Yun과 Choi의 연구(2019)에서 효과크기가 높은 수준(.80)을 적용하여 효과가 있음으로 나타난 것을 근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룹 1에 34명, 그룹 2에 40명이 참여하여 최소표본을 만족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몰입

    학습몰입에 대한 도구는 Engeser와 Rheinberg (2008)에 의해 개발하여 Yoo (2016)가 수정·보완한 도구 중 학습몰입 경험에 대한 요소인 총 10문항으로 ‘전혀 아니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의 5점 Likert척 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원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2, Yoo (2016)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84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4이 었다.

    2) 학습만족도

    학습만족도는 National League for Nursing (NLN) 에 의해 개발된 도구(2005)Yoo (2016)가 번역·역번역을 통해 수정한 도구를 Lee (2020)가 다시 내용타당도를 검사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 다. 학습만족도는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혀아 니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의 5점 Likert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원도구(2005)의 학습만족도 신뢰도 는 Cronbach’s α=.94 이었으며, Yoo (2016)Lee (2020)의 연구에서 학습만족도는 Cronbach’s α=.83 으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5 으로 나타났다.

    3) 학습자신감

    학습자신감은 NLN (2005)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Yoo (2016)가 번역·역번역을 통해 수정한 도구를 Lee (2020)가 다시 내용타당도를 검사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학습자신감은 7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전혀아니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의 5점 Likert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 자신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원도구(2005)의 학습 자신감 신뢰도는 Cronbach’s α=.87 이었으며, Yoo (2016)Lee (2020)의 연구에서 학습자신감은 Cronbach’s α=.73 으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90 으로 나타났다.

    4. 연구 진행 절차

    본 연구는 2021년 4월 13일에서 2021년 11월 12일 까지 진행되었고 연구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Lab SIM과 VSIM의 교차적용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 을 대상으로 S-PBL프로그램을 개발한 Yun과 Choi (2019)가 진행한 분석, 설계, 개발순서로 진행하였다.

    1) 분석단계

    (1) 학습목표 및 VSIM 시나리오 분석

    VSIM과 Lab SIM의 학습목표는 호흡기계 환자 를 적절하게 간호할 수 있다, 당뇨환자를 적절히 간 호할 수 있다. 수술 후 간호를 할 수 있다로 동일하 게 3가지로 설정하였다. VSIM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Laerdal사의 프로그램에는 총 10개의 시나리 오가 탑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10개의 시나리오 에 포함되는 시나리오의 주제는 폐렴: 중증 항생제 반응, 급성 중증 천식, COPD: 자발기흉, 수술 전 장폐색: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수술 후 고관절 치 환술: 수혈반응, 심근경색, 당뇨: 저혈당, 배자궁절 제술: 마약성 진통제, 수술 후 잘록창자반절제술: 폐색전증, 하지 골절 : 구획증후군으로 분석되었다.

    (2) 학습자 수준 및 학습환경 분석

    2021년 4학년 간호대학생들은 2020년 3학년 1학 기는 모든 실습을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 로 하였기에 병원 임상실습과 실습실에서 진행하는 Lab SIM을 경험하지 못했으나 3학년 2학기에 핵심 기본간호술 실습을 실습실 실습으로 진행하였으며 병원 임상실습과 VSIM 시나리오 중 5개(폐렴: 중증 항생제 반응, 급성 중증 천식, COPD: 자발기흉, 수 술 전 장폐색: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수술 후 고관 절 치환술: 수혈반응)는 개별적으로 경험해보고 보 고서로 제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한 이론적으로는 심장 장애 대상자 간호, 간·담 도·췌장 장애 대상자 간호, 내분비계 환자 간호, 호 흡기 장애 대상자 간호에 관한 내용을 3학년 과정에 서 이수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학습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Y 대학의 2021년 시뮬레이션센터의 운영계획 서와 VSIM과 Lab SIM을 운영하기 위한 공간, 시뮬 레이터 장비, 기타 시뮬레이션 실습에 필요한 기자 재들이 구비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2) 설계단계

    (1) 시나리오 선정

    VSIM의 시나리오는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이론으로 학습한 심근경색, 당뇨: 저혈당, 배자 궁절제술: 마약성 진통제, 수술 후 잘록창자반절제 술: 폐색전증의 4개의 시나리오를 결정하였다. Lab SIM을 위한 시나리오는 VSIM의 내용과 유사한 내 용으로 3년 이상의 임상경력과 4년 이상의 교수 경 력이 있는 2명의 연구자가 개발하여 그 내용에 대한 타당도를 10년 이상의 임상경력이 있는 전문가가 확 인하여 최종 완성하였다. 이후 시나리오 적용에 대 한 간호대학생들의 내용 이해 및 난이도 검증은 2018년과 2019년 Y대학 간호대학생들에게 시뮬레 이션 실습을 적용하여 적절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시나리오 1은 천식이 있으면서 palpitation을 느끼 는 환자이며, 시나리오 2는 하복부 통증과 복부 팽 만감이 있는 당뇨환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나리 오는 기본단계와 심화단계로 구분된다.

    (2) VSIM과 Lab SIM의 교차적용 프로그램 운 영설계

    VSIM의 운영은 간호대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진 행하는 시간과 디브리핑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대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평균 시간은 시나리오별로 시나리오 설명을 포함한 프리브리핑 에 25분, 시나리오 운영 25분이었다. 이후 시뮬레이 션 운영자와 함께 7∼8명의 간호대학생들이 시나리 오별로 50분의 디브리핑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 여 4개의 시나리오에 Lab SIM과 동일한 400분이 소요되었다. Lab SIM의 운영은 조별로 7∼8명이었 으며, 시나리오를 구현할 때에는 한 조를 두 팀으로 나누어 시나리오 당 3∼4명으로 운영하였으며, 시 나리오별 시간적 구성은 프리브리핑 120분, 시나리 오 운영 10분, 디브리핑 70분으로 두 개 시나리오 운영에 총 400분이 소요되도록 설계하였다. VSIM 과 Lab SIM 모두 시나리오를 운영한 후에 진행하는 디브리핑은 GAS (gathering, analysis, synthesis) 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시행하였다. VSIM 과 Lab SIM 운영자는 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 일한 비율로 VSIM과 Lab SIM을 운영함으로써 운 영자의 특성에 따른 외생변수 개입을 최소화하였다 (Figure 2).

    3) 개발단계

    (1) 모듈개발

    VSIM의 시나리오는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이미 이론으로 학습한 심근경색, 당뇨(저혈당), 수술후 배자궁절제술, 수술 후 잘록창자반절제술:폐 색전의 4개의 모듈을 사용하였다. VSIM의 시나리 오에 대한 모듈은 Laerdal에서 개발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Lab SIM의 시나리오 모듈은 환자개 요, 학습목표, 관련 핵심기본간호술과 지식, 환경준 비로 구성되어 있다. Lab SIM의 시나리오는 VSIM 의 시나리오를 포함한 천식이 있으면서 가슴 두근거 림을 느끼는 환자와 하복부 통증과 복부 팽만감이 있는 당뇨환자로 구성되어 있다.

    (2) Lab SIM 시나리오 알고리듬의 내용타당도 와 난이도 평가

    Lab SIM 시나리오의 내용타당도와 난이도는 이 미 개발되어 상품화된 프로그램인 VSIM에 맞출 수 있도록 임상경력 10년 이상의 간호사와 간호학과 교수 3인의 전문가에게 평가받아 내용타당도지수 (content validity index, CVI)가 .80 이상이 되도 록 하였다.

    (3) 프로그램 운영

    VSIM과 Lab SIM교차적용 프로그램 운영은 이 월효과(carry-over effect)를 배제하기 위해 2주 이상의 유실기를 둔 Choi와 Seo의 연구(2010)와 같 이 방학이라는 유실기(wash out period)를 두었다.

    • ① 오리엔테이션과 사전 조사 – 수업 첫 시간에 간호대학생들에게 교과목 소개와 함께 4학년의 성 인간호학 실습 교육과정은 임상실습과 함께 시뮬레 이션 교육도 이루어짐을 설명하였다. 시뮬레이션 교 육은 1학기에 VSIM을 경험한 경우 2학기에는 Lab SIM이 진행되고, 1학기에 Lab SIM을 경험한 경우 2학기에 VSIM을 진행하게 됨을 설명하였고, 지침 서에 제시된 내용에 대해 부연 설명을 하였다. 간호 대학생에게 시나리오별 필요한 간호술기를 연습할 수 있는 실습실을 부여하였으며 사전 학습할 내용에 대해서도 충분히 설명하였다. 오리엔테이션이 끝난 후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간호대학생에 한해서 만 연구참여 설명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설명하고 연구참여 동의서에 서명하도록 하고 사전 조사를 진 행하였다.

    • ② 보고서 제출 – VSIM의 보고서 양식은 디브리 핑의 한 방법인 GAS에 근거한 질문 3가지에 대한 답변, 프로그램을 끝까지 진행한 것에 대한 근거인 VSIM 피드백 화면 캡쳐와 시뮬레이션 완료 후 퀴즈 결과를 화면캡쳐, 시나리오 상황에서의 적절한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를 작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개별로 시뮬레이션을 운영하고 난 뒤에 디브리 핑 시간에 제출하도록 하였다. Lab SIM에서 보고서 는 시나리오 운영 전에 제출하도록 하였으며 시나리 오 상황에 대한 질문 3문항(어떤 상황입니까? 이 시 나리오에서 필요한 이론적 내용은 무엇입니까? 이 시나리오에 필요한 핵심기본간호술기와 그 내용은 무엇입니까?)과 학습 목표를 기술하도록 구성하 였다.

    • ③ 간호술기연습 –시뮬레이션 실습 전 핵심기본 간호술 연습은 자율실습실에서 자유롭게 할 수 있도 록 하였다. Lab SIM의 경우에는 팀별로 시나리오를 운영하여야 하므로 프리브리핑의 120분 중 60분을 팀별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④ VSIM과 Lab SIM 운영 – 간호대학생들은 VSIM을 한 다음 Lab SIM을 진행하는 군과 Lab SIM을 한 다음 VSIM을 하는 두 군으로 임의 배정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의 시뮬레이션 역량을 평가하지 않았으므로 시나리오 노출은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학생용 실습지침서 에 모든 시나리오가 동일하게 제시되어 있어 간호대 학생들이 언제든지 학습할 동등한 기회를 부여하 였다.

    • ⑤ 사후조사 – 매회 프로그램 종료 후 실습지침서 에 학생 자가평가 영역을 자기기입식으로 평가하도 록 한 후 연구보조자가 일괄 수거하였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Y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승인 (IRB No. **)을 받은 후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 동 의 및 설문조사를 교과목의 평가와 관련 없는 연구 보조자가 시행하도록 하여 연구참여의 자발성을 보 장하고 동의서에는 대상자의 자료에 대한 익명성과 비밀보장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설문지를 포함 한 실습지침서는 대학의 규정에 따라 5년 동안 보관 되었다가 폐기됨을 설명하였으며 대상자의 실험적 박탈을 배제하기 위해 VSIM과 Lab SIM을 모두 경 험하도록 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과정 운영에 따른 학생들의 자가평가표에 근거하여 정보 수집이 이루어지며, 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하게 되더 라도 특별한 보상은 없음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연 구에 참여한다는 것 자체에 대해 대상자가 부담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동의를 받고 원하는 학 생들의 자료만 사용하였다. 첫 수업 시간에 연구 주 제, 목적과 참여방법 등을 설명하여 자발적 참여에 대한 서면동의를 받고, 연구참여에 동의하지 않아도 교과목을 이수할 수 있고 어떠한 불이익도 없음을 설명하였다. 즉, 연구에 참여할 의무가 없고 실습지 침서에 학생 자가평가영역은 학생의 학점과는 무관 하며 연구자와 학점을 부여하는 교수가 달라 학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6.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집 단 내에서의 추가분석은 independent t-test로 분 석하였다. 집단과 시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차이는 repeated measured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측 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 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사전 동질성 검증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와 학습자신 감은 VSIM을 먼저 진행한 후 Lab SIM을 진행한 집단(그룹 1)과 Lab SIM을 먼저 진행한 후 VSIM을 진행한 집단(그룹 2)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군 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2. VSIM과 Lab SIM 운영순서에 따른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및 학습자신감

    • 1) VSIM을 먼저 진행한 후 Lab SIM을 진행한 집단(그룹 1)과 Lab SIM을 먼저 진행한 후 VSIM을 진행한 집단(그룹 2) 간에 학습몰입은집단과 시점 간 의 교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F=8.19, p=.001) 것으로 나타나(Table 2), 그룹1과 그룹2는 시점에 따라 변화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시점 간 상호작용을 보정한 상태에서 대응별 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한 결과, VSIM을 먼저 진행하고 Lab SIM을 진행하는 그룹 1에서의 학습몰입은 각 시점에 서 차이가 없었으나 Lab SIM을 먼저 진행하고 VSIM 을 진행하는 그룹 2에서는 Lab SIM을 적용한 후와 VSIM을 적용한 후의 차이가 있었고(t=5.15, p< .001), 사전 학습몰입과 VSIM을 적용한 후의 학습몰 입도 유의한 차이(t=6.85, p<.001)가 있어 가설1은 지지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 2) VSIM을 먼저 진행한 후 Lab SIM을 진행한 집단(그룹 1)과 Lab SIM을 먼저 진행한 후 VSIM을 진행한 집단(그룹 2)간에 학습만족도는 유의한 차이 가 없었으며 시점에 따른 차이(F=5.41, p=.007)는 있었으나 이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하지 않은 사 전 값과 사후값을 분석한 결과이므로 최종적으로 집 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시점 간 상호작용을 보정한 상태에서 대응별 비교(pairwise comparison) 를 한 결과, VSIM을 먼저 진행하고 Lab SIM 을 진행하는 그룹 1에서는 사전 학습만족도와 Lab SIM 후의 학습만족도는 차이가 있었으나(t=1.38, p=.025), Lab SIM을 먼저 진행하고 VSIM을 진행 하는 그룹 2에서는 각 시점에서 차이가 없어 가설2 는 부분 지지되었다(Table 3).

    • 3) VSIM을 먼저 진행한 후 Lab SIM을 진행한 집단(그룹 1)과 Lab SIM을 먼저 진행한 후 VSIM을 진행한 집단(그룹 2) 간에 학습자신감은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 시점에 따른 차이(F=9.06, p<.001) 는 있었으나 이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하지 않은 사전 값과 사후값을 분석한 결과이므로 최종적으로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시점 간 상호작용 을 보정한 상태에서 대응별 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한 결과, VSIM을 먼저 진행하고 Lab SIM을 진행한 그룹 1에서는 사전 학습자신감과 Lab SIM 후의 학습자신감은 차이가 있었고(t= 1.38, p=.035), Lab SIM을 먼저 진행하고 VSIM을 진행한 그룹 2에서는 Lab SIM 후와 VSIM 후의 학습 자신감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1.53, p=.007) 사전 학습자신감과 VSIM 후의 학습자신감도 유의 한 차이가 있어(t=2.43, p<.001) 가설3은 부분 지 지되었다(Table 3).

    Ⅳ. 논 의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실습 방법 중 VSIM과 Lab SIM의 운영순서에 따른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 습자신감을 비교함으로써 간호대학생들에게 효율적 인 시뮬레이션 학습방법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Jeffries (2005)의 시뮬레이션 모델에서는 학습자 요인, 교수자 요인, 교육 실무요인, 시뮬레이션 설계 요인, 기대되는 결과인 5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 며, Yoo (2016)의 연구에서 시뮬레이션 교육 시 몰 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시뮬레이션 설 계요인의 하부요소인 재현성으로 나타났다. 재현성 은 시뮬레이션 경험이 현실에 가까운 정도를 말하며 시뮬레이션 환경을 실제 상황과 같게 만드는 물리적 재현성, 참가자가 시뮬레이션 활동을 실제 간호업무 로 인식하는 심리적 재현성, 시뮬레이터가 질병의 증상이나 징후와 같은 해석 가능한 정보를 얼마나 잘 표현하는지에 대한 개념적 재현성의 측면으로 이 루어진다(Paige & Morin, 2013). 본 연구에서 Lab SIM을 적용한 후의 학습몰입은 유의하지는 않았지 만 두 그룹에서 모두 상승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선 행연구에서 제시하는 단일 시뮬레이션 교육 전과 후 의 몰입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연구(Bak & Kim, 2018;Kim, Lee, & Nam, 2017)와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연구(Byeon, 2019;Ha, 2019) 결과 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즉, Lab SIM을 통해서 실제로 체험해 본 경험은 추후 VSIM 에서의 재현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한다. 지 역사회간호학 교과목에서 웹기반 원격 방문교육을 한 후 학습몰입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Ha & Sohn, 2020) 또한, 본 연구에서의 Lab SIM 후 에 VSIM을 적용한 그룹에서 VSIM 후의 학습몰입 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정신간호학 실습에서는 가상 시뮬레이션 (VSIM)을 포함한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을 적용한 후 목표몰입을 측정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 았다(Park & Chung, 2021). 이는 VSIM이 직접 수 행한다는 현실감이 떨어지고 클릭한 것을 눈으로만 지켜보는 정도이기 때문일 수 있다(Lee & Ryu, 2021).

    본 연구에서 Lab SIM을 선행하는 방법(그룹 2) 은 VSIM을 선행하는 방법(그룹 1)에 비해 학습몰입 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고려했을 때, Lab SIM을 먼저 진행하는 것이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몰입을 더 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임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몰입은 어떤 활동에 완전히 몰두하여 즐거움을 느끼 는 상태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망각하는 상태를 뜻하나(Csikszentmihalyi, 2008) Lab SIM에 참여 하는 간호대학생들은 누군가에게 관찰당하고 있는 느낌이나 평가받고 있다는 느낌 등의 부정적 심리상 태로 인해(Kim & Suh, 2012;Lee & Ryu, 2021) 실습에 깊이 몰두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Lab SIM을 경험한 후 VSIM을 경험하는 것은 Lab SIM의 단발성 평가로 인한 심리적 긴장감이 없 는 상태에서(Lee & Ryu, 2021) 재현성과 관련된 과 거 경험으로 인해 학습몰입이 높아진 것으로 생각 된다.

    본 연구에서 전체 시뮬레이션 교육 후 VSIM을 선 행하는 방법(그룹 1)과 Lab SIM을 선행하는 방법 (그룹 2)의 학습만족도 점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VSIM과 Lab SIM의 운 영순서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파악한 연구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PBL과 고충실도 시뮬레 이션 실습 운영순서에 따른 만족도 점수를 확인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 다(Tschannen, Aebersold, Sauter, & Funnell, 2013;Yun & Choi, 2019).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 전과 후의 학습만족도는 VSIM을 선행하는 방법(그 룹 1)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t=1.38, p=.025), 이는 VSIM이 잘못된 사항에 대해 피드백을 받고 반 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향상 시켜나갈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라 생각되며(Lee & Ryu, 2021) 이러한 경험이 Lab SIM 수행에도 영향을 미쳐 학습만족도가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VSIM에 대한 문헌고찰에서 VSIM 후 만족 도를 측정한 12개의 실험연구 중 10개의 연구에서 높은 수준의 만족도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으나 (Tschannen et al., 2013) 본 연구에서는 VSIM이 나 Lab SIM을 적용하는 것과 관계없이 어떤 시뮬레 이션 방법이라도 적용하면, 학습만족도가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통한 실 습교육이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후 VSIM을 선 행하는 방법(그룹 1)과 Lab SIM을 선행하는 방법 (그룹 2)의 학습자신감 점수 차는 유의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PBL과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운영순서 차이에 따라 자신감 점수는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과(Tschannen et al., 2013;Yun & Choi, 2019) 동일한 결과이다. 하지 만 선행연구에서 단일 VSIM 전과 후의 자신감에 대 한 연구결과가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향상하였으나, 변화가 없거나 낮은 점수를 보이는 등 일관되지 않 게 나타났으므로(Foronda, Fernandez-Burgos, Nadeau, Kelley, & Henry, 2020) 반복연구를 통 한 명확한 검증이 필요하다. 집단 내에서 시뮬레이 션 교육 전과 후의 학습자신감은 VSIM을 선행하는 방법인 그룹 1과 Lab SIM을 선행하는 방법인 그룹 2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즉, Lab SIM 이 후 자신감이 증가되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들에 반 해(Alfes, 2011;Chae, et al., 2015;Kim & Ham, 2015;Min, 2019) 본 연구에서 VSIM이나 Lab SIM을 단독으로 진행한 후 학습자신감의 차는 유의 하지 않았으므로, 학습자신감은 시뮬레이션 실습 방 법보다는 반복적인 시뮬레이션 경험이 더 영향을 미 쳤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고충실도 시 뮬레이션 시행 전에 VSIM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자 신감을 상승시키고 긴장감을 완화시키는 과정으로 도 사용한 선행연구도 있었다(Kim et al., 2019). 이는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하는 Lab SIM을 진행한 후에 VSIM을 적용하는 것이 학습몰입이 더 잘 되 며, 학습만족도와 학습자신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인 것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다만 본 연구결 과는 두 가지 유형의 시뮬레이션 운영 방법의 혼합 된 효과일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하며, 단일 시뮬레 이션 교육의 효과와 직접적인 비교를 할 수는 없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일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 화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결과해석에 주의 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육 유형 중 하나인 VSIM과 Lab SIM의 운영순서에 따른 효과를 비교 하였다. 연구 결과, 운영순서에 따라 몰입은 차이가 있었으나 만족도와 자신감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의 몰입을 높이기 위해 서는 Lab SIM을 선행한 후 VSIM을 수행하는 방법 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은 시뮬레이 션의 운영순서와 상관없이 교육 전과 후에 모두 향 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운영 시의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 를 명확히 하기 위해 추후 시뮬레이션 운영순서에 따라 교육적 효과를 비교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고 생각한다.

    Figure

    JKSSN-11-1-71_F1.gif
    Research design
    JKSSN-11-1-71_F2.gif
    Participants’ flow

    Table

    Homogeneity of Variables (N=74)
    Variables’ Differences between Groups (N=74)
    Variables’ Differences in Group (N=74)

    Reference

    1. Alfes, C. M. (2011). Evaluating the use of simulation with beginni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2), 89-93.
    2. Bak, Y. , & Kim, T. K. (2018).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using a standardized patients for schizophrenia nursing care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6), 437-447.
    3. Byeon, D. H. (2019).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on the flow, learning presence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3(4), 85-95.
    4. Chae, S. M. , Bang, K. S. , Yu, J. , Lee, J. H. , Kang, H. J. , et al. (2015). Effects of simulation- based learning in the nursing care of children with asthm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298-307.
    5. Choi, E. H. , & Seo, J. Y. (2010). Comparing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dysmenorrhea by research desig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1), 31-40.
    6. Csikszentmihalyi, M. (2008).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Perennial.
    7. Engeser, S. , & Rheinberg, F. (2008). Flow, performance and moderators of challenge-skill balance. Motivation and Emotion, 32(3), 158-172.
    8. Faul, F. , Erdfelder, E. , Lang, A. G. ,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9. Foronda, C. L. , Fernandez-Burgos, M. , Nadeau, C. , Kelley, C. N. , & Henry, M. N. (2020).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spanning 1996 to 2018. Simulation in Healthcare: Journal of the Society for Medical Simulation in Health, 15(1), 46-54.
    10. Ha, Y. K. (2019). Systematic review of assessment of learner’s flow in simulation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2), 1413-1430.
    11. Ha, Y. S. , & Sohn, M. J. (2020). The effect of using web-based distance program in home health education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OVID-19 special disaster a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11), 461-473.
    12. Jang, K. I. , Yoo, Y. S. , & Roh, Y. S. (2019).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oncology nursing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1(6), 595-604.
    13. Jeffries, P. R. (2005). A frame 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6(2), 96- 102.
    14. Kim, H. W. , & Suh, E. Y. (2012). Nursing students’ immersion experiences in a comprehensive simulation scenario using high-fidelity human patient simulator among nursing students: A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0(1), 89-99.
    15. Kim, J. (2020). What was the vSim for nursing practice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2(3), 25-31.
    16. Kim, M. , Kim, S. , & Lee, W. S. (2019).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nd a blended simulation of care for pediatric patient with asthm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5(4), 496-506.
    17. Kim, M. , Lee, A. Y. , & Nam, H. A. (2017). Effects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flow, critical judge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simulation training: Focused on obstetrical nursing case.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4), 521-534.
    18. Kim, S. H. , & Ham, Y.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08-319.
    1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KABONE). (2021).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a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Retrieved January 27, 2021, from http://www.kabone.or.kr/HyAdmin/upload/filelinkFile/★간호교육인증평가%20기준집_홈페이지%20게시(2017.3).pdf
    20. Lee, E. H. , & Ryu, S. Y. (2021). Analysis of the virtual simulation practice and high fidelity simulation practice train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A mixed-methods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nursing Education, 27(3), 227-239.
    21. Lee, J. Y. (2020). A structural model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among nursing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ju National University, Kangwondo.
    22. Min, H. Y. (2019).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learning in the nursing care of children with fever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nursing performance confid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7(1), 57-68.
    23.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5). Student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learning. Retrieved February 1, 2021, from https://www.nln.org/docs/default-source/uploadedfiles/default-document-library/instrument-2-satisfaction-and-self-confidence-in-learning.pdf?sfvrsn=6ef5d60d_0
    24. Paige, J. B. , & Morin, K. H. (2013). Simulation fidelity and cueing: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9, e481-e489.
    25. Park, J. H. (2020). Adaptation of VR 360-degree intravenous infusion educational content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4), 165-170.
    26. Park, K. , & Chung, S. K. (2021). The influence of online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including virtual simulation on goal commitment,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10), 60-67.
    27. Park, S. A. , & Kim, H. Y. (2020).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labor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a high-fidelity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6(3), 240-249.
    28. Tschannen, D. , Aebersold, M. , Sauter, C. , & Funnell, M. M. (2013). Improving nurses’ perceptions of competency in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simulat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44(6), 257-263.
    29. Yoo, J. H. (2016).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clinical competency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Based on Jeffries’s simulatio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30. Yun, S. Y. , & Choi, J. Y. (2019). A comparative study on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sequences of S-PBL in nursing students: Randomized crossover desig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1), 92-103.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