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1 No.1 pp.85-96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3.11.1.85

The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Utilization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직소협동학습을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 중재효과

Sung Hae Kim*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Tongmyong University

김성해*
동명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 Sung Hae Kim Department of Nursing, Tongmyong University, 428 Sinseon-ro, Nam-gu, Busan 48520, Republic of Korea. Tel: +82-51-629-2673, Fax: +82-51-629-2679, E-mail: sunghae@tu.ac.kr
20230428 20230528 20230609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via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the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elf-regulation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0 to June 10, 2022. It included 27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using Statistical Product and Service Solutions for Windows, version 25.0. Result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The level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Z=-4.22, p<.001),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elf-efficacy (Z=-3.84, p<.001), self-efficacy for group work (Z=-2.83, p=.005), and self-regulation (Z=-2.70, p=.007) improv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continuou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peated studie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by appl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for nursing students.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급성심장정지는 갑작스럽게 심장 기능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상태로 국내 급성심장정지 발생 환자수의 경우 2006년 19,480명에서 2019년 30,782명 수준으 로 약 1.6배 상승하여 지속적인 증가추이를 보이고 있다(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ACPR], 2021). 또한 국내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자의 증가는 심장정지 발생 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급성심장정지 예방 및 관리 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급성심장정지 는 일상 중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갑자기 발생할 수 있고, 즉각적인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등의 응급처치가 뒤따르지 않을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되며 생존율 또한 7.3%로 보고되 어(Hwang et al., 2021) 심장정지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급성심장정지가 발생했을 때 응급의료체계를 활성화 하고 최초 목격자에 의한 빠른 심폐소생술을 시행함으 로써 환자의 소생율과 생존율을 높이고 후유증을 최소 화하여 신경학적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와 대한심폐소생협회(KACPR)는 5년 주기로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을 개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은 일반인과 의료인의 표준화 된 심폐소생술에 관한 프로토콜을 제시하며, 특히 병 원 밖 환경에서의 심장정지 발생 시 즉각적인 목격자 심폐소생술과 신속한 자동제세동기의 적용을 통해 대상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 다(Hwang et al., 2021). 또한, 병원 내 환경에서는 급성 심장정지에 대한 기본소생술의 신속한 대응을 물론 전문심장소생술을 포함한 신속대응팀(Rapid Response Team, RRT)의 환자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있다(DeVita, 2017;Jamous, Kouatly, Irani, & Badr, 2023). 신속대응팀은 일반병동에서 환자 상태 가 악화되는 것을 조기에 발견하고 중재하여 급성심 장정지 및 사망 등의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 사건의 발생을 낮추고자 운영되는 전문의료지원팀을 뜻한다 (DeVita, 2017;Jamous et al., 2023). 병원 내 환경 에서 심장정지 발생의 일차적 반응자는 대부분 간호 사인 경우가 많고, 간호사 주도 신속대응팀(Nurseled Rapid Response Team, Nurse-led RRT)이 조직화되는 등 환자 상태변화에 따른 급성심장정지 대상자 간호수행 역량 강화와 자신감이 필요한 시점 이다(Kim, Lee, Lee, & Kim, 2012;Lee, Oh, & Yoo, 2021).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간호교육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학습성과와 핵심간호술을 제시하여 학부교 육에서 졸업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 핵심간호술 목록에 기본심폐소생술 및 제세동 기 적용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22). 이에 간호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의 핵심술기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기본심폐소생술 프로토콜에 관한 지식과 수행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의 경우 이른바 ‘보고 따라 하기(Practice While Watching, PWW)’를 주로 사 용하는데 이는 AHA에서 제공하는 표준화된 교육방법 으로, 기존 강의식 이론교육에 비해 교육용 비디오를 시청한 후 심폐소생술 실습에 대한 비중을 높여 심폐소 생술 술기역량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Juanjuan et al., 2022). 기본심폐소생술 시 적절한 가슴압박의 위치, 깊이, 속도 및 인공호흡의 비율, 신속한 자동제세동기의 적용 등은 고품질의 심 폐소생술을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심폐소생술 교육을 이수했다 하더라도 심정지 상황에서 프로토콜에 따른 심폐소생술을 정확하게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며, 심폐소생술 경험이 적을수록 관련 지식이 낮고 심폐소 생술을 제공하는데 자신감 부족과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Jang & Hwang, 2020;Kim et al., 2012). 간호대학생의 경우 기존 ‘PWW’ 방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통해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자신감, 자기효능감, 수행역량이 증진되 나 교육 후 1∼6개월 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Oh, Lee, & Kim, 2015;Yoon, 2018). ‘PWW’ 표준화된 교육방법 외 면대면 교육과 온라인 교육을 혼합한 블랜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성이 보고되고 있어(Moon & Hyun, 2019) 다양한 교육방법론을 적용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교수-학습 패러다임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능동적 자기주도 학습요소를 접목한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을 활용한 교수법이 등장하고 있다(Kim & Kim, 2019;Suh & Han, 2022). 협동학습은 소집단을 형성하여 공 동의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할당된 과제의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형태로 구성원 간 상호존중과 협력 적 태도를 배운다(Kim & Park, 2019;Mohamed Abobaker, Sulaiman Alamri, Alshaery, & Hamdan-Mansour, 2023). 특히 직소협동학습(jigsaw cooperative learning)은 4∼6명으로 소집단을 구 성하여 각 집단의 학생들이 전문가 집단으로 협동학 습을 한 후 자신이 속한 원 집단으로 돌아가 동료 구성원에게 가르쳐주는 학습방식으로, 학습자의 인지 적·비인지적 학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Mohamed Abobaker et al., 2023;Shakerian, Khoshgoftar, Rezayof, & Amadi, 2020). 직소협동학습은 간호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협동 심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이다(Kim & Kim, 2019;Kim & Park, 2019). 또한 전통적 강의방법에 비해 직소협동학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경우 지식, 학 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자신감 및 학습만족도가 유의 하게 높았으며,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영역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였다(Choi, 2022;Yoon & Kim, 2001). 이는 직소협동학습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동료학습자를 경쟁자가 아닌 문제를 해결해가는 동 료로 인식하여 또래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한다. 따라서 협동학습 속 내재되어 있는 또래 학습요인은 튜터(tutor)로서의 교사역할과 튜티 (tutee)로서의 학생역할을 상호관계에서 경험하면 서 협력,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자기효 능감을 강화하게 된다(Choi, 2022).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소협동 학습을 활용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중재가 간호대 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태도 및 자기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협동학습으로 인한 협 렵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변화 정도 를 파악하여 학부단위 간호교육에서의 기본심폐소 생술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소협 동학습을 활용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직소협동학습을 활용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심폐소생술 태 도,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협력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교육중 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소협동학습을 활용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one-group pretest posttest) 비교설계 유사 실험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는 B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근접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및 연구진행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대학은 KACPR 기본소생술 교육 지정 기관이었다. 본 대학의 경우 2학년 재학생부터 심폐소생술 교육에 관한 정규 교육 이 시작되는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 다. 연구대상자 모집 및 선정은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에 관심 있는 간호학과 1학년 재학생으로 본 연구목적 을 이해하고 자발적 참여에 동의한 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 수는 교육 중재효과 평가를 위한 단일집단 전·후 비교설계를 적용하여 G power 3.1.9를 사용 하여 산출하였다. 직소협동모형을 활용한 심폐소생술 에 관한 선행 연구가 없어, 단일집단 사전-사후 연구 설계로 심폐소생술 관련 교육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 에서 제시된 효과크기인 0.5-0.8을 고려하여(Kim, Choi, & Cho, 2022;Jung & Choi, 2018) 유의수준 0.05, 효과크기 0.6, 검정력 0.80일 때 최소 표본 수는 24명으로 선정하고, 탈락률 10%를 고려한 총 2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3. 연구도구

    1) 심폐소생술 지식

    심폐소생술 지식은 심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기본 소생술에 관한 지식을 의미한다(Park, 2006). 본 연 구에서는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 수 록된 내용을 근거로(KACPR, 2021)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개발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AHA와 KACPR의 기본 및 전문소생술 강사 자격(ACLS instructor, BLS instructor, KALS instructor, KBLS instructor)을 소지하고 있으며, 관련 교육 경험이 10년 이상으로 풍부하다. 심폐소생 술 지식 측정 도구 구성 문항은 영아, 소아 및 성인의 기본심폐소생술 수행과 관련된 맥박 확인, 가슴압박 및 인공호흡에 관한 8문항, 1인 구조 및 2인 구조에 관한 2문항, 자동제세동기 적용에 관한 3문항, 고품질 심폐소생술에 관한 2문항으로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이후 BLS instructor 자격을 갖춘 교수 1인에 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도구를 수정·보완하 여 측정도구를 완성하였다. 각 문항은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으로 환산하여 측정값이 높을수록 심폐소 생술 지식이 높음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Kuder-Richardson 20 (KR-20) α 계수를 산출하 였고 사전측정 α=.64, 사후측정 α=.66이었다.

    2) 심폐소생술 태도

    심폐소생술 태도는 심폐소생술을 교육받고 시행 하고자 하는 태도를 의미한다(Park, Choi, Kang, Im, & Yeom, 2006). 본 연구에서는 Park 등(2006) 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본 도구는 총 11개 문항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어 측정값이 높을 수록 심폐소생술에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원 도구의 신뢰도는 보고되지 않았으며, Oh 등(201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98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사전측정 Cronbach’s α=.92, 사후측정 Cronbach’s α=.91이었다.

    3)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기본소생술을 수 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판단정도로 기본소생술 수행에 대한 자신감의 지각 정도를 의미한다(Roh, Issenberg, Chung, & Kim, 2012). 본 연구에서는 Roh 등(2012)의 간호사 대상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도구와 Park (2006)의 간호대학생 대상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도구를 Jung과 Hur (2013)가 수정·보 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총 17개 문항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어 측정값이 높을수록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뜻한다. Jung과 Hur (2013)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8 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사전측정 Cronbach’s α=.95, 사후측정 Cronbach’s α=.92였다.

    4)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협력적 학습 상황에서 자신이 다른 구성원들과 협력하여 팀의 목표나 과제를 성공적 으로 수행할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믿음 정도를 의미한다(Alavi & McCormick, 2008). 본 연구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Alavi와 McCormick (2008)의 Self-Efficacy for Group Work Measure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21개 문항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어 측정값이 높을수록 협력적 자기효능감 이 높음을 뜻한다. 원 도구의 신뢰도는 보고되지 않았으 며, Park과 Park (2022)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95였고, 본 연구에서는 사전측정 Cronbach’s α =.98, 사후측정 Cronbach’s α=.97이었다.

    5)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조절은 협력적 학습 상황에서 자신이 다른 구성원들과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조 절학습을 수행하면서 경험하는 전환과정을 의미한다 (Hadwin & Oshige, 2011). 본 연구에서 협력적 자기 조절은 Lim, Kim과 Kim (2015)의 도구를 사용하였 다. 본 도구는 총 6개 문항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 어, 측정값이 높을수록 협력적 자기조절이 높음을 뜻 한다. 원 도구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7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사전측정 Cronbach’s α=.97, 사후측 정 Cronbach’s α=.95였다.

    4. 연구진행절차

    1) 사전평가

    직소협동학습을 활용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은 KACPR에서 제시한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 라인(KACPR, 2021)’과 질병관리청에서 제작한 심폐 소생술 심화과정 동영상 교육자료, AHA에서 제시한 ‘Basic Life Support course for Healthcare Provider’에 사용되는 교육용 동영상을 교재로 사용 하였다. 중재 전 온라인 설문 플랫폼을 사용하여 사전 평가항목을 측정하였다. 사전 평가항목은 연구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 심폐소생술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이다.

    2) 직소협동학습

    직소협동학습은 일반적으로 교수자 중심 도입단 계, 학습자중심 집단활동, 교수자중심 마무리 단계 의 3단계로 시행한다(Choi, 2022). 본 연구에서는 성인 심폐소생술과 소아 및 영아 심폐소생술의 2가 지 주제에 대해 직소협동학습을 시행하였다. 조별로 4∼5명으로 구성된 6개의 모집단을 편성하여 1회차 ∼7회차로 운영하였다(Table 1). 1회차는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오리엔테이션을 포함한 교수자 중심 도 입단계를 시행하였다. 이후 2회차는 심혈관계 해부 구조 및 의학용어, 생존사슬을 3회차는 성인 기본소 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적용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익 히는 학습자중심 모집단 전체 학습을 진행하였다. 이후 4회차는 저 충실도(low fidelity) 시뮬레이션 심폐소생술 실습교육을 주로 한 협동학습으로 진행 하였다. 4회차의 경우 우선 모집단 별로 구성원 간 현장평가, 반응 확인, 응급의료체계 활성화, 맥박 및 호흡 확인, 가슴압박, 인공호흡, 즉각적인 제세동기 의 사용에 관한 술기과제를 자율적으로 배분한 후 각 구성원은 모집단을 떠나 같은 술기과제를 선택한 구성원끼리 모여 ‘전문가 집단’을 형성하여 해당 술 기를 학습하였다. 전문가 집단 종료 후 구성원은 모 집단으로 복귀하여 모집단 내 다른 구성원에게 학습 내용을 설명하고 또래그룹 토론을 실시하였다. 이후 교수자는 조별 심폐소생술 술기평가를 실시하고, 학 습과제 요약과 퀴즈를 시행하여 협동학습을 종료하 였다. 이후 동일한 방법으로 5회차는 소아 및 영아 기본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적용에 관한 이론적 지 식을 익히고, 6회차는 저 충실도 시뮬레이션 심폐소 생술 실습교육을 주로 한 협동학습으로 진행하였다. 마지막 7회차는 교수자중심의 과정 마무리와 사후 평가를 진행하였다.

    3) 자료수집

    연구진행 기간은 2022년 4월 20일부터 6월 10일 까지이다. 1주차 사전평가와 7주차 사후평가의 총 2 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도구개발자의 승인 을 받아 사용하였다.

    5.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자는 연구개시 전 연구 참여자 모집 공고 문과 설명문을 작성하여 해당 대학 간호학과 대표에 게 전달하여 학생 간 소통하는 SNS에 정보를 제공 하였다. 본 연구에 관심이 있고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대상자를 편의 모집한 후 온라인 설문 플랫폼 URL을 제공하였다. 설문 첫 페이지에 연구 참여 설 명문을 공개하고 자발적 연구 참여 동의 항목에 ‘예’ 로 응답한 자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의 참여 여부는 정규교과목 이수나 성적산출과 무관 하며 어느 시점이든 연구 참여 철회가 가능하고 연 구대상자 정보보호를 위한 안내사항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수행에 있어 헬싱키 선언 및 연구 윤리를 고려하여 본 연구목적 및 절차에 관한 충분 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자발적 참여 에 관한 서면 동의서를 작성하였고, 연구 참여 대상 자에게 다과와 문구류를 제공하였다.

    6. 자료 분석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심폐소생술 지식 측정값을 제외 한 변수의 측정값은 5점 만점으로 표준화하여 평균 측정값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과 결과 변수는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실시 하였다. 비모수 검정방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결과 변수의 사전평가와 사후평가 측정값을 대조하여 교육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는 모두 간호학과 1학년 학생으로 평균 연령은 20.58±1.23세이며, 여학생이 23명(85.2%), 남학생이 4명(14.8%)이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 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23명(85.2%), 교육 경험이 없는 대상자가 4명(14.8%)이었고 직소모형의 협동학 습을 경험한 대상자는 없었다(Table 2).

    2. 직소협동학습 중재효과

    직소협동학습 중재 전·후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 을 결과변수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중재효과를 검증하 였다. 대상자의 심폐소생술 지식(Z=-4.22, p<.001),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Z=-3.84, p<.001), 협력적 자기효능감(Z=-2.83, p=005), 협력적 자기조절 (Z=-2.70, p=007) 측정값은 직소협동학습 중재 사 전에 비해 사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대상자의 심폐소생술 태도의 경우 사전측정 평 균값 3.62±0.65점에서 사후측정 평균값 3.80± 0.34점으로 다소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Z=-0.69, p=.491) (Table 3).

    Ⅳ. 논 의

    서구화된 생활방식과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 환 대상자가 증가하면서 심혈관질환 유병률 및 급성 심정지 발생률은 계속 증가추이를 보이고 있다. 이 에 급성심장정지 발생에 대한 조기인지와 정확하고 숙련된 심폐소생술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소협동학습을 활용한 심 폐소생술 교육의 중재 효과를 검증하였고, 연구 결 과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중재가 심폐소생술 지식, 심 폐소생술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협력적 자기조절 역량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 였다.

    간호대학생의 경우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 지식, 태도 및 자기효능감이 강화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Oh et al., 2015;Yoon, 2018), 본 연구결과 교육중재를 통해 심폐소생술 지 식과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이 증진됨을 확인하여 선행연구를 뒷받침한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경우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심폐소생술 지식 이 충분할수록, 심폐소생술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심 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이 높은 반면(Song, 2020), 심 폐소생술 교육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폐소생술 지식은 물론 심폐소생술 태도와 자신감 또는 자기효 능감, 술기 수행능력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Jung & Hur, 2013;Oh et al., 2015;Yoon, 2018). 기존 AHA와 KACPR에서 시행하고 있는 BLS provider 교육과정도 최소 2년을 주기로 재교 육하여 BLS provider 자격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는 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같은 맥락이지만,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심폐소생술 교육의 단기효과를 고려하여 2∼3개월 내 재교육을 시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주기 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에 관한 역 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결과 교육중재 전·후 간호대학생 의 심폐소생술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Oh et al., 2015;Yoon, 2018). 선행연구인 Yoon (2018)Oh 등(2015)의 연구는 AHA ‘의료인 기본 소생술 provider’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교육 효과를 검증하였다. ‘의료인 기본소생술 provider’ 교육과정은 1일 4∼6시간 심폐소생술 관련 집중교 육을 실시하고 지필고사와 술기평가에 통과한 교육 생에 한하여 BLS provider 이수증을 발급하는 교육 과정이다. 때문에 심폐소생술 관련 특정 자격이나 이수증을 부여하지 않는 교육과정에 비해 상대적으 로 참여자의 교육 의도와 몰입이 높고, 교육 직후 심폐소생술 태도가 향상되기 마련이다. 교육 전·후 심폐소생술 태도는 Yoon (2018)의 연구에서 2.75 점에서 3.45점으로, Oh 등(2015)의 연구에서 3.79 점에서 4.0점 수준으로 향상되었는데 이는 본 연구 참여자의 심폐소생술 태도 측정값은 비슷한 수준이 다. 본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 태도가 교육 전 3.62 점에서 교육 후 3.80점으로 다소 상승하였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본 연구는 공식적인 자격이나 이수증이 발급되지 않고 정규교과나 학점이수와 무관하게 시행된 프로그램 으로 심폐소생술 관련 흥미와 관심도가 높은 대상자 를 편의 모집했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자가 심폐소생 술에 관해 이미 일정 수준 이상 긍정적 태도를 지니 고 있어 통계적 유의성을 관찰할 수 없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기존 교수자 중심의 PWW 교육방법을 기반으로 학습자 중심의 직소협동학습방법을 도입 하여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시행하였다. 심폐소생 술 자기효능감의 경우 기존 교수자중심의 심폐소생 술 교육을 시행 받은 대상자에 비해 본 연구를 통해 직소협동학습 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상승 정도가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Jung & Hur, 2013). 이는 본 연구에서 시도한 학습자중심의 직소협동학습 방법 론이 기존 심폐소생술 교육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교수자 주도의 ‘PWW’ 교육방법과 마찬가지로 심폐 소생술 지식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 임을 시사하며, 학부 간호교육에서의 직소협동학습 을 활용한 교육방안 모색에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심폐소생술 관련 정확한 지식과 긍정적 태도 를 갖추고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술기역 량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체계화된 교육 제공이 요구된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임상실무역량 강화를 위해 환자-간호사 간, 보건의료인력 간 원활한 의사 소통능력과 다학제 간 협력문화에 따른 협력과 조정 능력을 간호핵심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다(KABONE, 2022). 이에 학부교육에서도 간호대학생의 협력과 조정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론을 모 색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을 교육함에 있어 교수자주도의 도제식 교육을 벗어 나 학습자중심의 직소협동학습 방법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협력적 자기조절 역량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검정하였다 는 데 의의가 있다. 협동학습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협력적 자기효능감이나 협력적 자기조절은 상호작 용을 통한 팀워크 향상에 있어 긍정적 요인임은 물 론, 향후 임상실무현장에서 전문직 간호사로서 성장 할 간호대학생에게 반드시 교육되고 함양되어야 할 요인이다(Yoon & Kim, 2001;Suh & Han, 2022). 비록 심폐소생술 교육과 관련하여 협렵적 자 기효능감 및 협렵적 자기조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학습결과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 역량 을 강화할 수 있고(Park & Park, 2022), 직소모형 을 통한 협동학습이나 블랜디드 러닝의 학습 환경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이나 협동심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 났다(Lim et al., 2015;Mohamed Abobaker et al., 2023;Park & Park, 2022). 본 연구를 통해 간호교육에서도 학습자인 간호대학생중심의 교육방 안 모색과 학습환경을 고려한 협력학습의 활용가능 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심폐소생술 교육은 강 의식 또는 동영상 위주의 도제식 교육과 시뮬레이션 교육이 주를 이루었는데, 교수자의 경험과 차별화된 교육전략에 따라 학습성과 또한 달라질 수 있기 때 문에(Kim et al., 2022)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에 있 어서도 교육방법의 다양화전략을 탐색하였다는 점 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관련 지 식, 태도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으로 협동학습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미래간호인 재에게 요구되는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협력적 자기 조절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함의하고 있다. 급성 심정지의 조기인지 및 예방과 신속대응 팀의 환자감시체계가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학부 간호교육에서의 심폐소생술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더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직소협동학습 기 반 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심정지 대상자 간호역량을 함양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기존 ‘PWW’ 교육방법과 병행하여 심폐소생술 교육 활성 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근 거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간호연구 측면에서 비록 본 연구가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지속성에 대한 검증 을 수행하지 못하였지만, 향후 ‘PWW’ 교육방법과 비교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성과 지속성을 향 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수법의 적용과 재교육 시기 에 대한 연구 확장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일개 지 역 간호대학생을 근접 모집단으로 연구대상자를 편 의표집 하였고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증으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연구대상자의 학년, 성별, 연령, 지역을 확대하여 근접 모집단을 다양화하고 무작위 실험군-대조군 반복 연구가 요구된다. 둘 째, 본 연구는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기 반복 측정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종단 연 구 설계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태도 및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여 심폐 소생술 반복 교육의 적절한 시점을 과학적 근거로 제시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비록 본 연구에서 저 충실도 시뮬레이션 심폐소생술 실습 교육을 제공하였으나 직소협동학습의 중재효과로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태도, 협력적 자기효능감 침 자기조절 역량에 초점을 둔 인지적 학업역량 만을 주요 변수로 다루었다. 추후 직소협동학습 기반 심 폐소생술 교육을 제공함에 있어 저 충실도와 고 충 실도 시뮬레이션 교육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기대하 며, 비인지적 학업역량으로 심폐소생술 술기능력에 대한 효과검증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폐소생술 지식측정 도구는 내용 타당도가 검증되었지만 다소 낮은 신뢰도가 보고되 었기 때문에, 추후 반복측정과 문항검토를 통해 측 정도구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겠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직소협동학 습이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태도 및 자기효능감, 협 력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 역량에 미치는 교육효 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심폐 소생술 지식,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 효능감 및 협력적 자기조절 변인에 대한 교육효과 기여도를 확인하였고, 심폐소생술 교육에서의 직소 협동학습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 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의 다양화와 교육운영의 효율성 및 교육효과의 지속성 에 대한 반복구를 통해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 개 발의 방향성이 모색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기존 BLS provider 교육과정을 위해 필요한 인적·재정 적 자원을 절감할 수 있는 학습자중심의 직소협동학 습을 활용한 심폐소생술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적용함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이다. 이를 통해 급성심장정지 발생 시 조기인지와 신속하고 정확한 목격자 심폐소생술 제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사회 인식과 교육이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Figure

    Table

    Jigsaw Cooperation Learning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27)
    Comparisons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Pre-Post Jigsaw Cooperation Learning (N=27)

    Reference

    1. Alavi, S. B. , & McCormick, J. (2008). The roles of perceived task interdependence and group members' interdependence in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 group contex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3), 375-393.
    2. Choi, M. J. (2022). Evalu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using jigsaw model combined with nursing lecture class: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process evalu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6), 563-582.
    3. DeVita, M. A. , Hillman, K. , Bellomo, R. , Odell, M. , Jones, D. A. , Winters, B. D. , et al. (2017). Textbook of rapid response systems: Concept and implementation (2nd ed.). Cham, Switzerland: Springer.
    4. Hadwin, A. , & Oshige, M. (2011). Self-regulation, coregulation, and socially shared regulation: Exploring perspectives of social in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Teachers College Record, 113(2), 240-264.
    5. Hwang, S. O. , Cha, K. C. , Jung, W. J. , Roh, Y. I ,, Kim, T. Y. , Chung, S. P. , et al. (2021). 2020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art 1. update process and highlights. Clinical and Experimental Emergency Medicine, 8(S), S1-S7.
    6. Jamous, S. , Kouatly, I. , Irani, J. , & Badr, L. K. (2023). Implementing a rapid response team: A quality improvement project in a low-to middle-income country.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42(3), 171-178.
    7. Jang, K. M. , & Hwang, H. M. (2020).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KALS(Korean Advanced Life Support)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and self-efficacy about KAL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1), 121-128.
    8. Juanjuan, Z. , Xi, C. , Yang, B. , Xiaowei, F. , Yanmei, H. , & Kun, L. (2022). Application effect of “practice while watching” teaching method in experimental teaching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nursing undergraduates. Medical Education Management, 8(6), 702.
    9. Jung, H. Y. , & Choi, E. S. (2018). The effects of hands-on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2(3), 163-176.
    10. Jung, J. S. , & Hur, H. K. (2013). Effectiveness and retention of repeated simulation-based basic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6(2), 24-36.
    11. Kim, E. A. , Choi, J. K. , & Cho, K. J. (2022). Effect of us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CPR education in prehospital setting.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6(3), 137-148.
    12. Kim, E. J. , Lee, K. R. , Lee, M. H. , & Kim, J. (2012). Nurs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erformance during the first 5 minutes in in-situ simulated cardiac arr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3), 361-368.
    13. Kim, H. J. , & Park, D. (2019). Eff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by jigsaw model and flipp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3), 36-43.
    14. Kim, M. G. , & Kim, H. W. (2019). The effects of jigsaw cooperation lear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opera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5(4), 508-516.
    1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2, June 28). Presentation of the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for the latter half of the year 2022. Retrieved May 25, 2023, from http://www.kabone.or.kr/reference/refRoom.do
    16. Korean Association of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2021). 2020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Seoul: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17. Lee, J. R. , Oh, E. G. , & Yoo, E. Y. (2021). Job analysis for nurse-led rapid response team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7(1), 43-53.
    18. Lim, K. Y. , Kim, S. W. , & Kim, Y. J. (2015). The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egul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0), 685-707.
    19. Mohamed Abobaker, R. , Sulaiman Alamri, M. , Alshaery, B. , & Hamdan-Mansour, M. (2023). Impact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opin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Holistic Nursing and Midwifery, 33(1), 43-51.
    20. Moon, H. , & Hyun, H. S. (2019).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in blended learning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Medical Education, 19(1), 1-8.
    21. Oh, J. H. , Lee, I. S. , & Kim, O. S. (2015). A study on the continuity of the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about basic life support (BLS) training.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0(2), 201-209.
    22. Park, J. M. (2006).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 and retention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3. Park, M. J. , & Park, S. H. (2022).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llaborative self-efficacy, team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1), 57-75.
    24. Park, S. H. , Choi, H. J. , Kang, B. S. , Im, T. H. , & Yeom, S. R. (2006). A study assess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first responders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7(6), 545-558.
    25. Roh, Y. S. , Issenberg, S. B. , Chung, H. S. , & Kim, S. S. (2012).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uscitation self-efficacy scale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7), 1079- 1086.
    26. Shakerian, S. , Khoshgoftar, Z. , Rezayof, E. , & Amadi, M. (2020). The use of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echnique for the health science students in Iran: A meta-analysis. Educational Research in Medical Sciences, 9(1), e102043.
    27. Song, M. (2020). The effect of knowledge and attitude on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10(2), 11-18.
    28. Suh, Y. , & Han, E. K. (2022).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transfer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i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2), 61-70.
    29. Yoon, H. S. , & Kim, S. K. (2001).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jigsaw II on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chievement, self-esteem & coopera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13(2), 194-211.
    30. Yoon, M. O. (2018). The effect and continuity of AHA basic life support (BLS)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 737-747.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