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1 No.1 pp.97-108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3.11.1.97

Nursing Simulation Program for Patient Safety and Infection Prevention Based on a Brain-based Learning Framework: Pilot Study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예비조사 연구

Sun-Young Jung1, Eun-Kyung Lee1*, Bo Gyeong Lee2, Ji-Hyun Park2
1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2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정선영1, 이은경1*, 이보경2, 박지현2
1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부교수
2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조교수

이 논문은 2021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연구비 지원(20211066)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Corresponding Author: Lee, Eun-Kyung 33, Duryugongwon-ro 17-gil, Nam-gu, Daegu 42472, Republic of Korea Tel: +82-53-650-4976, Fax: +82-53-650-4392, E-mail: leeek@cu.ac.kr
20230428 20230530 20230609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ment and test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infection control simulation program based on a brain-based learning framework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pilot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tudy was conducted in one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nts were recruit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Fifteen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The levels of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Z=3.41, p=.001),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Z=3.30, p=.001), attitude towar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Z=3.10, p=.002), and efficacy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Z=3.35,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brain-based learning framework in nursing simulation could be an effective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환자 안전(patient safety)은 환자가 의료서비스 를 받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위험, 오류 및 피해를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9). 환자 안전사고는 입 원환자의 10% 내외에서 발생하며, 이로 인한 추가 적 의료비용은 전체 의료비의 3%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이러한 환자 안전은 의료기술이 발달하고 복 잡해짐에 따라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의료계 의 중요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WHO, 2019). 환 자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에서의 다양한 제도적 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환자 안전 교육 등을 통해 의료인들의 인식개선을 도모함으로써 환자 안전 관리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 다(Choi & Lee, 2015).

    간호대학생은 예비 전문의료인으로, 간호사로서 의 역량을 준비해야 하는 집단이라는 점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환자 안전 및 감염 간호교육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간호대학생은 학교를 통해 체계적으 로 환자 안전을 습득함으로써 향후 실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환자 안전의 중요성, 환자 안전에 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Cho, Kim, Lee & Park, 2012). 또한, 간호대학생은 임 상 실습 중 감염에 노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염 소 역할을 하게 되어 환자와 지역사회로 감염원을 전파할 가능성이 있다(Kim et al., 2022). 따라서 간호대학에서는 이론과 실습 교육을 통해 간호대학 생이 환자 안전 및 감염 간호와 관련한 지식과 간호 수행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환자 권리가 강화되면서 간호대 학생의 실습이 관찰 위주로 변화되었으며 신종 감염 병의 출현은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했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임상 실습이 제 한적인 상황에서 간호 지식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수 행 역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으로 제시되 어 왔다(Lee, Shin & Cho, 2018). 시뮬레이션 교육 은 환자 안전 및 감염 간호에도 접목할 수 있는데, 실제로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 안전 중 낙상과 관련하여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낙상 관련 지식, 낙상 관련 의사보고 자신감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Yu et al., 2017). 또한, 시뮬레이션 기반 감염관리 교육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임상 수행도와 자기효 능감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Cho et al., 2012), 간 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에도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Kim et al., 2022). 기존의 환자 안전과 감염관리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 뮬레이션을 적용하여 환자 안전에 미치는 효과를 분 석한 연구는 충분히 수행되지 못하였고, 특히 국내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었다(Guinea et al., 2019; Yu et al., 2017). 또한, 감염 간호에의 효과를 분석 한 연구들은 신생아 감염(Yu et al., 2021)과 같이 특정한 감염 상황의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수행되었 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 안전 및 감 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자세히 검토하 고, 특히 개인보호구 착용과 관련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편, Clapper (2014)는 의료인을 위한 시뮬레이 션 교육에 뇌 기반 학습(brain-based learning) 프 레임워크 활용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인 간의 뇌가 정보를 장기 기억하는 적용하는 방식을 반영하여 질문, 수집, 과정, 적용의 4단계로 구성되 기 때문에(Clapper, 2014)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 크를 적용한 시뮬레이션은 의료진의 지식과 기술 향 상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Clapper & Kong, 2012). Clapper, Li, Trueger와 Okuda (2012)의 연구에서 응급실 전공의를 대상으로 뇌 기 반 학습을 적용한 기도 관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도 관리 지식과 술기가 향상 됨을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 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을 개발하기에 앞서 일차적으로 개발된 환자 안전· 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2. 연구 가설

    • 제1가설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 그램 시행 전보다 시행 후 대상자의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 점수는 상승할 것 이다.

    • 제2가설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 그램 시행 전보다 시행 후 대상자의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 점수는 상승할 것 이다.

    • 제3가설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 램 시행 전보다 시행 후 대상자의 개인보 호구에 대한 태도 점수는 상승할 것이다.

    • 제4가설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 그램 시행 전보다 시행 후 대상자의 개인 보호구에 대한 자기효능감 점수는 상승 할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졸업을 앞둔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 로 감염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 군 사전 사후 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를 이용한 원시실험설계 연 구이다.

    2. 연구 대상

    대상자는 D시에 있는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 학 중인 4학년 학생으로 연구의 목적, 내용,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해하며,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 의한 자이다. 대상자 수는 선행연구(Kim & Ham, 2015)의 간호대학생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전체 효과 크기 평균이 0.83점이었다는 점을 토대로 Wilcoxon signed rank test, 효과크기 0.8, 유의 수준 0.05, 검정력 0.85로 설정하여 G-power 3.1.9.4 프로그램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14명이 산출되었으며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16명을 목표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나 15명의 학생이 참여를 동의 하여 1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과 정에서 답변이 빠지거나 일관된 답변을 한 대상자는 없었다.

    3. 연구 도구

    1)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은 의료종사자의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 도구(Park, Kim & Ham, 2013)를 간호대학생에 맞게 수정ㆍ보완한 환자 안 전 관리 중요성 인식 도구(Choi & Lee, 2015)로 측 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한다. 합산한 점수의 합이 클수록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음 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Choi 와 Lee (2015)의 연구에서 .86이었고, 본 연구에서 는 사전 .89, 사후 .70이었다.

    2)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은 Park과 Park (2014)가 간호대학생의 환자 안전에 대한 수행 자신 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환자 안전 문제 발생 시 대처하는 방법과 6가 지 국제 환자 안전 목표 중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항목을 중심으로 정확한 환자 확인, 보건의료 관련 감염 감소, 낙상 위험 감소를 위한 간호 수행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 10문항의 도구이다. 각 문항은 ‘매 우 자신 없다’ 1점에서 ‘매우 자신 있다’ 5점의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며 합산한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Park과 Park (2014)의 연 구에서 .86이었고, 본 연구에서 사전 .97, 사후 .91 이었다.

    3)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는 간호사의 개인보호구 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Kim과 Lee (2016)이 사용한 도구를 Kim, M. J. (2017)이 간호 학생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 측정을 위해 수정·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10개 문항으로 구 성되며 ‘매우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 점의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도 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Kim과 Lee (2016)의 연구에서 .77, Kim, M. J. (2017)의 연구에서 .79 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사전 .83, 사후 .73이었다.

    4)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Kim, D. H. (2017)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매우 자신 없다’ 0점에서 ‘매우 자신 있다’ 10점의 Likert 11점 척도로 측정하 여, 점수가 높을수록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한 자기효 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 α는 Kim, D. H. (2017)의 연구에서 .92였고, 본 연 구에서 사전 .99, 사후 .96이었다.

    4. 연구 진행 절차

    1)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 적용 환자 안전·감 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개발 및 Pilot 운영 절차

    예비간호사인 간호학과 4학년 졸업예정자를 대상으 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Clapper (2014)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 크를 토대로 개발하였다. 성인 학습자가 완전한 이 해 상태에 이르게 하기 위해서는 전략과 활동을 포 함한 교육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하고 이를 위해 교수 자는 촉진자 역할을 해야 한다(Clapper, 2014).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의 4단계인 질문단계(Inquire phase), 수집단계(Gather phase), 과정단계(Process phase), 적용단계(Apply phase)를 토대로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였 다(Clapper, 2014;Clapper et al., 2012). 모든 단 계의 교육은 감염 및 환자 안전 강의의 경험이 있는 교수 4인과 D 대학병원의 간호교육팀장 또는 수간 호사 4명이 각각 한 팀을 이루어 진행하였고 학생은 3-4명을 한 팀으로 구성하였다. 교육자 간 프로그 램 운영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사전에 교수, 임상간 호사의 온오프라인 회의를 통해 시나리오 및 운영에 대해 토의하고, 사전에 실습을 하였다.

    먼저 질문단계는 기존의 지식을 확인하고 상황에 관한 관심을 가지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프로그 램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고, 사전 조사를 하였다. 또한 환자 안전과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확인하기 위한 OX 게임을 실시하였다. OX 게임은 ‘병원 안전사고의 1순위는 낙상이다.’, ‘혈액 이 묻은 손은 손소독제로 손 씻기를 한다.’ 등의 질 문에 OX로 답을 하게 하였다.

    두 번째 수집단계는 각종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로 서 교육내용에 대한 지식, 기술과 관련한 풍부한 정 보를 제공하였다. 특히 이 단계에서 여러 가지 지각 및 학습양식을 제공하여 내용과 연결하는 것이 중요 하다는 점(Dunn et al., 2009)을 고려하여 청각, 시 각, 언어, 촉각 행동을 강화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적 용하였다. 먼저 청각 행동 강화를 위해 환자 안전과 감염관리에 대한 정의와 기준을 강의하였다. 이 과 정에서 시각 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환자 안전과 감염 관리 워크북과 주제 시트를 제공하였고, 환자 안전 사고에 대한 뉴스 보기와 개인보호장구 적용 지침 비디오를 보여주었다. 세 번째 시각과 촉각 행동 강 화를 위해서 환자 안전 교육에서는 환자 안전 위험 요인이 될 만한 실무환경이 있는 실습실을 보여주고 직접 만져 확인하게 하였다. 예를 들어 침상 난간을 내려놓아 침상에서 환자(모형)가 떨어질 듯 누워있 는 모습을 눈으로 확인하게 하였고, 침대 높이를 최 대로 올려놓아 직접 침대 높이를 확인하게 하였으며, 손소독제를 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 씻기를 하게 하였다. 또한 침상 이름과 도표, 환자 팔찌의 이름 오류 등의 환경을 주고 대상자 확인을 하게 하는 등 의 실무환경을 보여주고 만져서 확인하게 하였다. 간호교육에서는 개인보호구 4종과 레벨 D와 전동식 호흡보호구를 입은 학습자가 손과 개인보호구에 형 광물질을 바른 뒤 개인보호구를 벗게 하여 세균과 바이러스의 노출 가능성을 눈으로 확인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언어 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환자 안전과 감염관리 사례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한 팀 토론을 하게 하였다. 각 학습 방법에는 새로운 기술과 사실 검토 및 근거 기반 실무의 시범을 토대로 직접 실습 및 토론에 참여하게 하였다(Clapper, 2014).

    세 번째 과정단계는 시뮬레이션 단계로서 학습자 가 환자 안전과 감염 간호를 시행할 수 있다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도록 임상 시나리오 기반 시뮬레이션 을 직접 시행하였다. 환자 안전 시뮬레이션에서는 ‘응급실 신규간호사의 환자 안전 오류 30개 찾기’를 하고 오류의 근거를 적게 하였다. 또한 감염 간호 시뮬레이션에서는 ‘COVID-19 대상자 간호’를 실시 하였다. 각 시뮬레이션은 교수 1인이 주 강사로 역할 을 하였으며, 간호사 1인이 의사 또는 촉진자 임무를 수행하였다. 시나리오는 INACSL (International Nursing Association for Clinical Simulation and Learning) (INACSL Standards Committee, 2021)에 준하여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단계에서는 학습자가 디브리핑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자신의 환경에 적용하도록 돕는 단계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GAS (Gather, Analyze, Summarize) (Cheng, Rodgers, van der Jagt, Eppich & O'Donnell, 2012)와 puls delta 디브리핑 도구(Fanning & Gaba, 2007)를 이용하여 환자 안전 오류와 위험 요인을 점검하고, 환자 안전 문화 형성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토의하였다. 감염 간호 시뮬레이션에서는 DML (Debriefing for Meaningful Learning) (Dreifuerst, 2012)과 DAA (Description, Analysis, Application) 도구(Jaye, Thomas & Reedy, 2015)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시뮬 레이션 상황뿐 아니라 졸업 후 임상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토의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경우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이 있는 졸업예정자였고, 사전에 다양한 디브리핑 도구를 사용한 경험이 있었으 므로 교수자가 가장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브리핑 도구를 선택하여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Table 1).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사후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참여자 모두에게 답례품(생필품, 학용품)을 제공하 였다.

    5. 자료 수집 방법

    프로그램 시행 전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자발적인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게 동의서를 받은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에게 익명과 비밀 보장을 약속하였고 대 상자가 원하지 않으면 언제라도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으며, 연구 참여를 철회하여도 불이익이 없음 과 수집된 자료는 코드화 처리됨을 설명하였다.

    6.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WIN Statistic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로 산출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 안전 관리 수행자신감, 개인 보호구에 대한 태도, 개인보호구에 대한 자기효능감 의 차이는 Shapiro-Wilk 정규성 검정 결과에 따라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5명이 연구대상자 중 여성이 13명(86.7%)으로 대부분이 여성이었다. 6명(40.0%)의 대상자가 임상 실습 중 환자 안전사고를 목격한 경험이 있으며 이 중 투약 오류가 3건으로 가장 많았고 낙상, 낙상 예 방 활동 미수행, 손 씻기 미수행이 각각 1건으로 나 타났다. 3명(20.0%)의 대상자만 환자 안전 교육을 받았다고 하였고 임상 실습 중 코로나19 감염 환자 를 경험한 대상자는 1명(6.7%)이었다. 전공 만족도 는 10점 만점에 7.13±0.92점이었고 임상 실습 만 족도는 10점 만점에 6.47±1.30이었다(Table 2).

    2. 가설 검증

    가설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제1가설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보다 시행 후 대상자의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 점수는 상승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환자 안전 관리 중요 성 인식은 사전 26.80±8.56점에서 사후 40.07± 5.08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여(Z=3.41, p=.001) 가설 1은 지지되었다.

    제2가설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보다 시행 후 대상자의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 점수는 상승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환자 안전 관 리 수행 자신감은 사전 29.13±10.93점에서 사후 45.07±4.27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여(Z=3.30, p=.001)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제3가설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보다 시행 후 대상자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 점 수는 상승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가 사전 28.67±7.81점에서 사후 37.93± 3.88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여(Z=3.10, p=.002) 가설 3은 지지되었다.

    제4가설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보다 시행 후 대상자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자기효능 감 점수는 상승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개인보호 구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사전 60.07±36.91점, 사후 130.93±16.20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여(Z= 3.35, p=.001) 가설 4는 지지되었다.

    Ⅳ.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 안전 관리와 감염 간호역량 함양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 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그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 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적 용하기 전 연구대상자의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 식,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 및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평균 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결과(Choi & Lee, 2015;Kim & Lee, 2016;Park & Kim, 2022)보다 낮았 다.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 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대상 자의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의 평균은 50점 만 점에 26.80점이었고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의 평균은 50점 만점에 29.13점이었다. 이는 같은 도구 로 3,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을 측정한 결과 평균 평점이 3.59였던 것(Choi & Lee, 2015)에 비해 낮았다. 또한, 뇌 기 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전 대상자의 개인보호구 에 대한 태도 평균은 50점 만점에 28.67점이었고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165 점 만점에 60.07점이었다. 이는 간호학과 2학년 학 생을 대상으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을 시행하기 전 측정한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의 평균 평점이 5점 만점에 3.73점이었던 결과(Park & Kim, 2022)와 간호사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의 평균 평점이 5점 만점에 3.68점이었던 연구 결과(Kim & Lee, 2016)보다 낮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코로나 19 발생 초기에 2학년이었고, 팬데믹 상황에서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교내실습을 경험하였다. 2 학년의 교육과정에 주로 편성되는 전공필수 교과목 인 기본 간호학실습은 간호의 메타 패러다임을 중심 으로 인간의 신체ㆍ사회심리ㆍ정신ㆍ영적 요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교과목으로, 임상 실습 전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교과목이다(Chaung et al., 2019). 대면으로 이루어지는 교내실습은 다 양한 교수법을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생 및 학생과 학생 간의 즉각적 피드백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지 식과 경험을 발전시켜 나아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데(Kim, Kim & Lee, 2021),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은 무력감, 부담 및 소진을 경험했고, 환 자 안전 역량을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이 있는 것(Suliman, Abu-Moghli, Khalaf, Zumot & Nabolsi, 2021)으로 나타나, 교내실습을 온라인 으로 경험한 본 연구 대상자의 환자 안전 관리 중요 성 인식,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 및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점수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 한 후 대상자의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 하였다. 교육프로그램 후 대상자의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 평균은 각 40.07점과 45.07점으로, 교육프로그램 전과 비 교하여 10점 이상씩 높아졌고 같은 도구로 측정한 선행연구(Choi & Lee, 2015; Park, 2021)보다도 높았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지식뿐만 아니라 실제 수행 역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으로 실습 교육의 한계점 보완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제 시되고 있다(Lee, Shin & Cho, 2018). 120명의 신 입 인턴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시뮬레이션 에서 확인한 오류가 자신의 진료와 관련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93명이었고, 환자 안전 보고 시스 템을 이용하여 사건을 보고하는 시스템에 대한 지 식과 기술이 향상되었으며 환자 안전에 대한 위해 요인을 발견하는데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평가하 였다(Diemer, Jaffe, Papanagnou, Zhang, & Zavodinick, 2019).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로 미 루어 본 연구의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환자 안전과 관련된 상황을 임상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간호교육팀장 및 수간호사와 함께 구성 하여 현실감을 높이고,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4단계 방식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학습 이해도와 몰입도 를 높일 수 있어 나타난 결과로(Clapper, 2014;Clapper et al., 2012)보인다. 또한 팀을 이뤄 의료 오류를 찾는 과정에서 환자 안전에 대해 이중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팀원 개개인의 역할과 책임을 서 로 존중하게 되어 환자 안전이라는 목표 달성이 더 욱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Clay et al., 2017) 본 연 구에서 환자 안전 시뮬레이션을 팀으로 적용하여 환 자 안전 관리를 학습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었을 것 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 결과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와 개인보호구 착 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인보호구 착탈 의 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교육을 받은 간호사의 개 인보호구에 대한 태도가 교육받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것(Kim & Lee, 2016), 간호사의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한 자기효능 감이 개인보호구 착탈의 훈련 전보다 후에 높아진 것과(Kim, D. H., 2017)과 일치한다. 개인보호구 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높은 간호대학생의 개인보호 구에 대한 태도가 높은 것(Kim & Kang, 2019)으로 미루어 볼 때 본 연구에서 환자 안전과 감염관리에 대해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대상자의 청각, 시각, 언어 및 촉각 행동을 강화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자료를 제공하고 시뮬레이션을 시행 하여 대상자의 지식과 인식을 효과적으로 높여 연구 대상자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방향 으로 변화하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성인 학 습자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완전한 이해 상태에 이르게 하기 위한 전략과 활동을 포함(Clapper, 2014)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주어진 상황에 대한 비 판적 분석과 환자 안전사고에 대한 뉴스 보기 등을 통해 대상자의 좌뇌와 우뇌 기능을 활성화하고, 안 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대상자의 긍정적 정서를 촉진하는 시뮬레이션 교육(Oh et al., 2014) 으로 진행하여 학습자의 뇌를 활성화해 학습효과가 향상되었고, 결국 대상자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 와 개인보호구 착용 수행 자신감을 높일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예비 연구로서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 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효과가 있음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나아가 간호대학생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내 보건의료인의 환자 안전과 감염관리 교육에도 적극 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이라 생각된다. 그 러나, 본 연구가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 로 편의 추출 및 대조군 없이 단일 군 사전 사후 설 계로 진행한 예비 연구이므로 본 연구 결과를 전체 간호대학생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이 있다. 이 에 추후 연구대상자를 무작위로 선정하고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 안전 관리와 감염 간호역량 함양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 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 뇌 기반 학습 프레 임워크를 적용한 환자 안전‧감염 간호 시뮬레이션 교 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연구대상자의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 안전 관리 수행 자신감, 개 인보호구에 대한 태도와 개인보호구 착용에 대한 자 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예비 연구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간 호대학생의 환자 안전 관리와 감염 간호역량에 미치 는 효과에 관한 반복 연구를 제언하며 본 프로그램 이 향후 의료기관 내 다양한 보건의료인을 대상으로 환자 안전 관리와 감염관리 교육과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gure

    Table

    Nursing simulation program for patient safety and infection prevention based on a brainbased learning framework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5)
    Effects of program (n=15)

    Reference

    1. Chaung, S. K. , Shin, Y. H. , Park, S. H. , Choi, D. W. , Jeong, H. S. , Kim, H. J. , et al. (2019). A survey on safety of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26(2), 96-106.
    2. Cheng, A. , Rodgers, D. L. , Van der Jagt, E. , Eppich, W. , & O'Donnell, J. (2012). Evolution of the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course: enhanced learning with a new debriefing tool and web-based module for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instructors.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13(5), 589- 595.
    3. Cho, S. S. , Kim, K. M. , Lee, B. , & Park, S. A. (2012).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infection control training on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s’ perception, clinical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of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3), 381-390.
    4. Choi, S. H. , & Lee, H. Y. (2015).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1(2), 184-192.
    5. Clapper, T. C. (2014). Situational interest and instructional design: A guide for simulation facilitators. Simulation & Gaming, 45(2), 167-182.
    6. Clapper, T. C. , & Kong, M. (2012). TeamSTEPPS®: The patient safety tool that needs to be implemented.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8(8), e367-e373.
    7. Clapper, T. C. , Li, T. C. , Trueger, N. S. , & Okuda, Y. (2012). Gauging the effectiveness of brain-based learning and simulation in an airway management course for emergency medicine interns. Journal of Emergency & Disaster Medicine, 1(1), 1-4.
    8. Clay, A. S. , Chudgar, S. M. , Turner, K. M. , Vaughn, J. , Knudsen, N. W. , Farnan, J. M. , et al. (2017). How prepared are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o identify common hazard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nal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14(4), 543-549.
    9. Diemer, G. , Jaffe, R. C. , Papanagnou, D. , Zhang, X. C. , & Zavodnick, J. (2019). Patient safety escape room: A graduate medical education simulation for event reporting. MedEdPORTAL: The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15.
    10. Dreifuerst, K. T. (2012). Using debriefing for meaningful learning to foster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in simul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1(6), 326–333.
    11. Dunn, R. , Honingsfel, A. , Doolan, L. S. , Bostrom, L. , Russo, K. , Schering, M. , et al. (2009). Impact of learning-style instructional strategies on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s: Perceptions of educators in diverse institutions. The Clearing House, 82(3), 135-140.
    12. Fanning, R. M. , & Gaba, D. M. (2007). The role of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Simulation in healthcare: Journal of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2(2), 115– 125.
    13. Guinea, S. , Andersen, P. , Reid-Searl, K. , Levett-Jones, T. , Dwyer, T. , Heaton, L. , et al. (2019). Simulation-based learning for patient safety: The development of the tag team patient safety simulation methodology for nursing education. Collegian, 26(3), 392-398.
    14. International Nursing Association of Clinical and Simulation Learning(INACSL) Standards Committee. (2021). Onward and upward: Instruction the healthcare simulation standard of best practiceTM.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8, 1-4.
    15. Jaye, P. , Thomas, L. , & Reedy, G. (2015). 'The Diamond': A structure for simulation debrief. The Clinical Teacher, 12(3), 171–175.
    16. Kim, B. H. , & Kang, H. Y. (2019). Knowledge, perception, and attitude related to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f student nurses: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 139-147.
    17. Kim, D. H. (2017). Effects of visual stimuli using fluorescent marker on nurses' performance of donning and doffing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8. Kim, H. S. , Kim, E. M. , & Lee, D. S. (2021).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education in school practice: Focused o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2(2), 169-178.
    19. Kim, K. N. , & Lee, O. C. (2016).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nurses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Response to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4), 402-410.
    20. Kim, M. J. (2017). The convergence study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against ME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149-157.
    21. Kim, O. S. , Kim, K. M. , Kim, T. H. , Lee, J. , Jeong, S. Y. , Cha, K. S. , et al. (2022).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wareness,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mong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27(2), 168- 176.
    22. Kim, S. H. , & Ham, Y. S.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21(3), 308-319.
    23. Lee S. J. , Shin K. S. , & Cho M. K. (2018).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behavior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8), 343- 352.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July 11). 1st comprehensive patient safety plan. Retrieved March 6, 2023, from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9&CONT_SEQ=344873&page=1
    25. Oh, J. , Kim, S. K. , Kang, K. A. , Kim, S. H. , Roh, H. , & De Gagne, J. C. (2014). Brain-based teaching strategies for nurse educators: An integrative review.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617-627.
    26. Park, J. , & Park, M. (2014).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5-14.
    27. Park, M. J. , Kim, I. S. , & Ham, Y. L. (2013). Development of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 for hospital employe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3(5), 332-341.
    28. Park, M. M. , & Kim, B. H. (2022). Training effectiveness of the COVID-19 related to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20), 103-114.
    29. Suliman, W. A. , Abu-Moghli, F. A. , Khalaf, I. A. , Zumot, A. , & Nabolsi, M. M. (2021).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under the unprecedented abrupt online learning format forced by the national curfew due to COVID-19: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Nurse Education Today, 100, 104829-104829.
    30.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19, September 13). Patient safety. Retrieved March 6, 2023,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patient-safety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