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1 No.2 pp.1-15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3.11.2.1

Effects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Patient Care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Web-based Simulation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Wonjeong Kim1, Sook Jung Kang2*
1Affiliate faculty,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2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김원정1, 강숙정2*
1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특임교수
2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부교수

이 논문은 제1저자 김원정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하여 작성한 것임


*Corresponding Author: Sook Jung Kang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Republic of Korea, 03760 Tel: +82-2-3277-2882, E-mail: sookjungkang@ewha.ac.kr
20230519 20230611 2023071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Web-based simulation for the care of patients with intracranial pressure. An additional aim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knowledge, problem-solving competency,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e expectation of learning transfer. Methods: This was an experimental study using repeated measures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senior nursing students,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n=30) and control (n=30)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nursing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d Web-based lectures, pre-briefing, Web-based simulation, and debriefing, whereas the control group’s program included only Web-based lectures.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problem-solving competency (F=5.84, p=.005),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4.25, p=.021), and the expectation of learning transfer (t=2.30, p<.025).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was found in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using Web-based simulation positively affected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e expectation of learning transfer.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considered a valuable aid in educating nursing students.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학은 실무학문이므로, 간호대학생은 교과과 정을 통하여 지식과 실무의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임상실습지와 임상실습지도자의 부족으로 인 하여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임상실습은 실제적인 간호행위가 아닌 관찰위주로 운영되고(National League for Nursing [NLN], 2020;Oermann, Shellenbarger, & Gaberson, 2017), 이로 인하여 간호대학생은 이론학습과 임상실습이 분리되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Benner, Sutphen, Leonard, & Day, 2009). 지식과 실무의 통합이 이루어지지 못한 간호대학생은 이론으로 이미 배운 내용임에도 간호수행을 할 때는 실수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경험하여(Cura et al., 2020), 간호사가 된 이후에 도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같은 문 제를 해결하고자 간호학에서는 지식과 실무의 통합 을 위하여 간호대학생이 알고있는 지식을 실제 임상 현장과 비슷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 션을 활용해 실습교육을 진행하고 있다(NLN, 2020;Oermann et al., 2017). 그 중 두개내압상승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이 발생 한 환자간호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교육 요구가 높은 주제이다(Kim, 2017). 그러나 모형을 이용하는 시 뮬레이션은 신경계 환자 사정 내용인 Glasgow Coma Scale (GCS), 운동 능력 등의 상태를 구현하 는 것에 한계가 있어(Kim & Lee, 2022) 실제 환자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두개 내압상승환자 간호를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웹기반 시뮬레이션은 학습자와 교수자가 인터넷 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시뮬레이션 방식이다(Cant, Cooper, Sussex, & Bogossian, 2019). 인터넷을 활용한 학습방식은 개별 학습환경을 제공하여 학습 자가 본인의 속도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고, 인터넷 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며, 필요시 반 복학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McKeon, Norris, Cardell, & Britt, 2009). 이러한 장점은 팬데믹 기 간동안 높아진 온라인 교육의 요구를 충족시켰고, 웹기반 시뮬레이션 활용의 증가를 이끌었다. 학습자 는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해 컴퓨터 내 가상 환경 에서 실제 인간 또는 컴퓨터로 만든 아바타 형태의 대상자와 의사소통하고, 상황에 맞는 간호를 선택하 며 학습할 수 있다(Cant et al., 2019;Singleton et al., 2022). 이 외에도 웹기반 시뮬레이션은 시청 각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 습자의 행동에 피드백을 제공하여 동기를 유발하며, 목표 지향성을 높인다는 특징을 지닌다(McKeon et al. 2009;Kearsley, 2000).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간호교육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웹기반 시뮬 레이션의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반성적 사고, 자신감 등이 향상되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Park, Hur, & Chung, 2022). 그러나, 기존의 연 구는 대부분 국외에서 개발된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국외의 임상현장은 국내의 임상현장과 비교할 때 의료인의 구성 및 역할분담에서 차이가 있어(Kim, 2021), 간 호사에게 요구하는 업무가 다르기 때문에 교육 내용 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특히 한국과 미국의 간호교 육은 간호 실무에서의 통합성, 자율적 ‧ 치료적 간호 중재 등 교육목표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Park, Jun, & Lee, 2020), 국외에서 개발된 웹기 반 시뮬레이션을 국내에서 그대로 사용한다면, 국내 의 임상상황을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학습자 의 몰입을 방해하거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 서 웹기반 시뮬레이션의 특징인 학습자의 몰입과 학 습동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국내 임상상황에 맞는 웹 기반 시뮬레이션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전의 임상실습은 실습방법, 장소, 시간 등을 중 요시 하였으나, 최근에는 임상실습을 통해 성과가 나타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Oermann et al. 2017).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을 통하여 지식과 지 적능력을 포함한 인지적 영역, 전문직 태도와 가치 관을 의미하는 정의적 영역, 술기와 기술력을 나 타내는 심동적 영역에서 성과를 나타낼 수 있다 (Oermann et al., 2017). 인지적 영역의 요소로는 지식과 문제해결능력이 있다. 그 중 문제해결능력은 주어진 상황을 탐색하고 이해하여 체계적으로 문제 를 처리하는 능력으로, 점점 복잡해지는 임상환경에 서 간호를 제공할 때 필요한 능력이다(Oermann et al., 2017). 임상실습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정의적 영역의 요소로는 비판적 사고성향을 예로 들 수 있 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임상문제를 해결하는 의사 결정을 스스로 하려는 개인적 성향으로서(Facione, Facione, & Sanchez, 1994), 현대의 복잡한 임상 환경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은 간호대학생에게 필수 적인 성과로 볼 수 있다. 임상실습에서는 의사결정 사례를 통하여 어떠한 간호를 제공해야할지 판단 하게 함으로서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다 (Oermann et al., 2017). 마지막으로 학습전이 기 대는 학습한 내용을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는 학습자의 믿음으로서(Jung & Shin, 2015), 이를 측정하여 심동적 능력의 향상을 유추할 수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 용하여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 발하고, 이를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성과의 인지 적 요소인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 문제해결능 력, 정의적 요소인 비판적 사고성향, 심동적 요소인 학습전이 기대에 대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두개내압상승환자 간 호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 정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두개내압상승 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두개 내압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정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반복측정(repeated measures design with randomized control group) 설계를 사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선행 연구(Tan et al., 2017)의 설계를 참고하여 중재 전, 중재 후, 중재 2주 후 총 3회 반복 측정하였다. 대상 자는 소속에 따라 그룹을 나눈 뒤 그룹 내에서 무작위 로 중재군과 대조군으로 배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 여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두개내압상승환 자 간호지식,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 전이 기대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대상

    연구 대상자는 I시 소재 간호대학 2곳의 재학생 중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의사를 밝힌 4학년 학생이 다. 대상자 수는 G*Pow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 정하였다. 첫 번째로 정규분포를 따르는 두 개의 독 립적인 표본의 평균을 비교하고자 양측점정, 효과크 기 .80, 유의수준 .05, 검정력 .80으로 산출하였을 때, 적절한 표본 수는 52명이었다. 두 번째로 반복 측정 분산분석을 위한 표본의 크기를 산정하고자 효 과크기 0.25, 유의수준 .05, 검정력 0.9, 집단의 개 수 2, 반복측정 수 2로 입력하였을 때 적절한 표본의 크기는 4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수 52명을 기준으로 탈락률 25%를 고려하여 총 65명을 모집하 였다. 연구자는 모집과정에서 대상자가 익명으로 참 여하여 질문할 수 있는 오픈채팅방을 학교별로 운영 하였고, 오픈채팅방의 사다리타기를 이용하여 무작 위로 중재군에 33명, 대조군에 32명이 배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제출한 자료의 내용이 충실하지 않은 대 상자 및 중재에 참여하지 않은 대상자 5명을 제외하 여 중재군 30명, 대조군 30명, 총 60명의 자료를 분 석하였다.

    3. 연구도구

    본 연구는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두개내압 상승환자 간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 해 일반적 특성 5문항,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 14문항, 문제해결능력 30문항, 비판적 사고성향 35 문항, 학습전이 기대 7문항의 총 91문항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원작자로부터 도구사용 승인을 받았다.

    1)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은 교육프로그램과 연 계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자는 성인간호학 교재와 간호학 국가고시 문제집을 토대로 예비문항을 개발하 였고, 성인간호학 교수자 3인과 임상경력 10년 이상 의 간호전문가 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이 문항의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확인 하였다. 문항 별 내용 타당도 지수가 0.8 미만인 문항 은 삭제하고, 0.8 이상인 문항 중 일부는 전문가 집단 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하였다. 최종 개발된 도구는 총 14문항의 진위형 도구로서 연구 대상자에게 적용 하여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구성타당 도는 고전검사이론에 근거하여 문항의 난이도(item difficulty indexes)와 변별도(discrimination indexes) 로 파악하였고, 진위형도구의 신뢰도는 Kuder- Richardson Formula 20 (KR-20)을 이용하여 파 악하였다. 문항난이도 지수가 .80 이상은 쉬운 문항, .30~.80 미만은 중간 문항, .30 미만은 어려운 문항 으로 해석하였을 때(Cangelosi, 1990), 본 연구의 도구는 쉬운 문항 11문항, 중간 문항 2문항, 어려운 문항 1문항이며 평균 문항난이도 지수는 0.84로 나타 났다. 변별도 지수는 +0.20이상은 변별력이 높은 문 항, +.20 미만은 변별력이 낮은 문항으로 해석하였을 때(Ebel, 1965), 본 연구의 도구는 변별력이 높은문 항 4문항, 변별력이 낮은 문항 10문항이었고, 평균 문항변별도 지수는 평균은 0.15였다. 본 연구에서 두 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의 신뢰도는 .34, 사후조사 .26, 추적조사 .29로 나타나 문항별로 정답과 오답이 번갈아가며 나타났으며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Lee, Park과 Choi (2008)가 성인의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고자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였다. 본 도구는 문제의 명료 화, 해결방안 모색, 의사결정, 해결책 수행, 평가 및 반영 등의 5개 영역 30문항으로 구성되어있는 5점 Likert 척도 도구이다. 점수 범위는 30점에서 150 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음을 의 미한다. 개발당시 Cronbach’s α 값은 .93으로 나 타났고(Lee et al., 2008), 본 연구에서는 중재 전 .91, 중재 후 .96, 중재 2주 후 .94였다.

    3) 비판적 사고성향

    비판적 사고성향은 Kwon 등(2006)이 간호대학 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지적통합 6문항, 창의성 4문항, 도전성 6문항, 개방성 3문항, 신중성 4문항, 객관성 4문항, 진실추구 3문항, 탐구성 5문항 등 총 35문항으로 구 성되어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은 .89였다. 본 연구의 Cronbach’s α 값은 중재 전 .86, 중재 후 .91, 중재 2주 후 .92로 나타났다.

    4) 학습전이 기대

    학습전이 기대는 Lee (1996)가 개발하고 Lee (2018)가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학습전이 기대 측정도구는 7문항이며, 5점 Likert 척도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전이 기대가 높음을 의미하며, Lee (1996)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값은 .75, Lee (2018)의 연구에서는 .95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값은 중재 후 .89, 중재 2주 후 .87로 나타났다.

    4. 중재 개발

    본 연구의 중재는 연구자가 개발한 두개내압 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개발은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 모형은 교수체제설계(instructional system development, ISD)를 구체화한 모형으로, 여러 연구 자의 경험을 통하여 오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졌다 (Molenda, 2003). 본 연구에서 활용한 두개내압 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은 ADDIE모형에 따라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단계를 통하여 개발되었고, 이후 실행(implementation) 및 평가(evaluation)를 진행하였다(Figure 1). 분석 단계에서 연구자는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교육프로 그램 설계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문헌분석과 요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헌분석은 Web of Science,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PubMED, 학술연구정보서 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등 네 개의 검색엔진과 국내 시뮬레이션 표준 안, 국내 성인간호학과 중환자 간호 교재를 이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고, 수집한 문헌을 기반으로 웹기반 시뮬레이션 방법을 활용해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를 주제로 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연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하였다. 요구분석은 간호사, 간호대학 졸업 생과 성인간호학 교수자를 면담하였다. 면담질문은 “웹기반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포함해야 하는 내용은 무엇인가?”였다. 면담 내용 을 분석한 자료는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이용하 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단계의 결과를 기반으로 교 육프로그램의 운영방법, 연구도구 및 연구과정을 결 정하였다. 웹기반 시뮬레이션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사전학습 목적의 웹기반 강의, 환자 정 보 및 상황을 제공하는 사전 브리핑, 현실감 있는 웹기반 시뮬레이션, 온라인을 통한 자가보고형 서면 디브리핑으로 설계하였다. 모든 단계는 이전 단계가 종료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계획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 문 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와 학습전이 기대를 측정하 여 파악하도록 하였고, 측정시기는 교육프로그램의 중재 전, 중재 후, 중재 2주 후로 설정하였다. 모든 변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파악하도록 설계하 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 였고, 이를 토대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시 나리오 개발은 요구 분석 자료를 기초로 시나리오 초안을 작성하였고, 요구분석에 참여한 간호사 3인 의 서면 검토를 거쳐 1차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이 후 신경외과 전문의 2인, 간호관리자 3인과 간호학 교수 3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고, 전체 시나 리오의 내용 타당도 지수는 0.95로 나타났다. 최종 시나리오는 지주막하 출혈로 수술받은 환자에게 수 술 후 간호를 제공하고 환자에게 두개내압상승의 증 상과 징후를 발견하는 내용이었다. 시나리오 안에서 간호사는 환자 사정, 교육, 의사소통, 기구사용, 검 사준비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완성된 시나 리오를 토대로 웹기반 강의, 사전 브리핑, 웹기반 시 뮬레이션과 디브리핑 내용 개발 및 온라인 구현을 진행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첫 단계인 웹기반 강의 는 대상자가 시나리오에서 제시하는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숙지해야 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도록 두개내압상승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 및 간호를 포함하여 강의안을 작성하였고, 간호학 교수 자 2인에게 검토를 받았다. 이후 신경계 간호 강의 경력이 있는 교육경력 5년 이상의 간호학 교수자에 게 강의 녹화를 의뢰하여 웹기반 강의를 제작하였 다. 웹기반 강의는 PPT 화면에 교수자의 설명과 필 기를 포함한 형태의 영상이며, 촬영한 영상은 온라 인에 업로드하여 대상자에게 제공하였다. 두 번째 단계인 사전 브리핑에서는 환자의 정보 및 상황, 학 습목표를 제공하였다. 사전 브리핑 내용은 텍스트로 제공하여, 대상자가 본인의 학습 속도에 맞게 조절 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 번째 단계인 웹기 반 시뮬레이션은 대상자가 실제 임상환경에서 환자 를 대면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일개 대학교 간호학 실습실을 대여하여 실제 임상현장과 비슷한 환경을 재현하였고, 환자 역할로 배우 1인, 간호사 역할로 실제 신경계 집중치료실에서 근무하 는 간호사 1인을 섭외하여 촬영하였다. 영상 촬영은 영상 제작자 1인과 음성녹음 전문가 1인에게 의뢰하 였다. 촬영된 영상은 16분이었고, 간호교육 프로그 램을 제공하는 웹문서는 홈페이지 개발 기술전문가 를 통해 웹기반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다(Figure 2). 영상 중간에 15개의 문제를 삽입하여 대상자가 적극적으로 시뮬레이션에 참여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영상을 통해 환자의 상황 을 제공하고, 문제 풀이를 통해 다음에 수행되어야 할 간호 혹은 수행하는 간호의 근거를 선택하도록 설계되었다. 학습자가 문제의 정답을 선택하면 정답 에 맞게 간호를 수행하는 영상이 나타난 뒤 다음 상 황으로 넘어가는 버튼이 활성화되고, 오답을 선택하 는 경우 다시 문제를 풀도록 하였다. 이러한 문제 풀이를 통해 학습자는 간호사의 역할을 경험하며 올 바른 간호 제공 및 근거를 판단할 수 있다. 시뮬레이 션 단계가 종료되면, 각 문제에 대한 해설과 정답을 제공하고, 마지막 단계로서 자가보고형 서면 디브리 핑을 진행하도록 개발하였다. 이 후 실행 및 평가단 계를 수행하였다.

    5. 자료 수집 방법

    연구자는 연구대상자가 소속된 기관을 신경계 간 호학을 3학년 2학기에 교육하는 학교로 제한하여 사 전교육에 대한 동질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연 구대상자 수집은 연구대상자가 소속된 기관의 홈페 이지, 게시판을 통하여 연구를 홍보하였다. 이 후 1:1 메신저를 이용하여 연구참여 의사를 밝힌 대상 자에게 연구 진행과정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였고, 연구 참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 시 연구자에게 바 로 연락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는 편안한 공간에서 개인 컴퓨터를 활용해 온라인으로 조사를 진행하였 다(Figure 3).

    1) 중재 전 조사

    사전조사는 대상자에게 사전조사 링크를 제공하 여 진행하였다. 중재 전 조사에서는 일반적 특성과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 비판적사고성향, 문제 해결능력을 파악하였다.

    2) 중재 적용

    중재군은 웹기반 강의, 사전브리핑, 웹기반 시뮬 레이션 및 자가보고형 서면 디브리핑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았고, 대조군은 웹기반 강의를 제 공받았다. 중재군 프로그램은 약 80분, 대조군 프로 그램은 약 25분 소요되었다.

    3) 중재 후 조사, 중재 2주 후 조사

    대상자는 프로그램 종료 시 중재 후 조사 링크를 제공받아 조사를 진행하였다. 중재 2주 후 조사는 메신저를 통하여 연구자가 대상자에게 조사 링크를 제공하여 참여하도록 하였다. 중재 후 조사 및 중재 2주 후 조사에서는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 비 판적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학습전이 기대를 파 악하였다.

    6.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8.0.1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분석되었다. 자료의 정규성 분포는 Shapiro- Wilk normality test를 사용해 파악하였다. 중재군 과 대조군의 중재 전 동질성은 χ2-test, independet t-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해 검토하 였다. 중재 후 변수 사이의 차이 혹은 시간에 따른 차이는 정규성을 따르는 경우 independent t-test 를 사용하였고,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 경우 Mann- Whitney U test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두 군의 두개 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의 중재 전, 중재 후, 중재 2주 후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는 정규성을 따르는지 여부에 따라 repeated measure ANOVA 혹은 Friedman test로 검정하였다.

    7. 윤리적 고려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하여 대상자가 소 속된 기관의 기관생명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 다(WKIRB-202102-HR-007, ABN01-202101- HR-002). 연구자는 연구대상자가 소속된 학교의 승인을 받아 모집 문건을 게시하였고, 연구의 목적 과 절차, 자료의 관리, 연구자 연락처 등을 공지하였 다. 연구참여를 희망하는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목적 과 절차, 자료의 관리에 대해 개별적으로 다시 설명 하고, 대상자가 원한다면 언제라도 연구 참여 동의 를 철회할 수 있다는 것과 연구참여 동의를 철회하 더라도 불이익이 없음을 설명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중재군은 남 성이 3명(10.0%), 여성이 27명(90.0%)으로 평균연령 은 22.63±4.19세였고, 대조군은 남성이 2명(6.7%), 여성이 28명(93.3%)으로 평균연령은 22.57±2.99 세였다. 시뮬레이션 경험이 있는 중재군은 16명(53.3%), 대조군은 15명(50.0%)이었고, 신경계병동 실습 경험이 있는 중재군은 9명(30.0%), 대조군은 6명 (20.0%)으로 나타났다. 동질성 검정 시 두 군은 성 별, 연령, 시뮬레이션 경험, 신경계병동 실습 경험 및 성적에서 동질하였다(Table 1).

    2. 종속 변수에 대한 정규성 및 동질성 검정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정

    종속변수에 대한 정규성과 동질성 검정 및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 문제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전이 기대에 미치는 효 과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중재 전 종속 변수의 정규성을 확인한 결과 두개내 압상승환자 간호지식 점수에서 중재군(S=.92, p= .020)과 대조군(S=.93, p=.037) 모두 정규성을 따 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전 종속변수에 대 한 동질성을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중재군과 대조군이 동질한 집단 임을 알 수 있었다.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은 정규성을 따르지 않아 집단과 시기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Friedman test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 측정 시점에 따라 중재군(χ2= 6.03, p=.049)과 대조군(χ2= 6.43, p=.040) 모두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 의 중재 시기에 따른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지식의 변화량은 Mann-Whitney U test를 통해 유의한 차 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문제해결능력은 측정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6.98, p=.002). 또한, 측정 시점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F=5.84, p=.005), 중재군 이 대조군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문제해결능력 점수 가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군과 대 조군의 문제해결능력 변화량 차이는 중재 후 조사 (t=4.15, p<.001)와 중재 2주 후 조사(t=2.08, p= .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측정 시점에 따라 유의한 변화 를 나타내었고(F=13.60, p<.001), 대조군과 중재군 의 집단간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으며(F=4.32, p=.042), 측정 시점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 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F=4.25, p=0.21). 중재군 과 대조군의 중재 후 비판적 사고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3.49, p<.001).

    학습전이 기대는 중재 후 조사 시 중재군 31.10± 3.35점, 대조군 29.20±3.0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t=2.30, p=.025). 중재 2주 후 조사 결과는 중재군 30.73±3.27점, 대조군 28.77± 3.54점이었고 두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2.24, p=.029).

    Ⅳ. 논 의

    본 연구는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두개내압 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함으로서, 추후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교 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음에서는 웹기반 시뮬 레이션을 이용한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 그램의 효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 지식은 두 군 모두 중재 후 지식이 증가하였고 두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뮬레이션 교육이 지식의 습득이 아닌 지식의 유지와 관련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Bingham, Sen, Finn, & Cawley, 2015). 본 연구의 중재군과 대조군은 모두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신경계 간호를 학습하였고, 웹기반 강의를 동일하게 제공받았다. 본 연구는 교육경력 5년 이상의 간호학 교수자에게 동영 상 강의 녹화를 의뢰하였고, 웹기반 강의 화면 내에 PPT로 제작된 강의 노트 화면을 제공하여 두개내압상 승환자 간호지식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중재 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두개내압상승환자 지식의 향상 이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문항난이도와 변별 도가 낮은 진위형 도구를 활용하여 지식을 평가하였기 때문에, 추후에는 교육프로그램이 복잡한 사고 및 이 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할 수 있도록 문항난이도와 변별도가 검증된 도구나 선다형과 같은 선택형 문항 혹은 주관식 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해 볼 것을 제안 한다.

    본 연구에서 중재 후 중재군의 문제해결능력과 비 판적 사고성향은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학습동기, 학습몰입 등이 밝혀졌다(Ha & Lee, 2021). 본 연구의 중재는 온라인을 활용하여 개별적인 학습환경을 제공하였고, 사전 브리핑을 통 해 웹기반 시뮬레이션의 진행 과정과 관련된 안내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긴장을 완화시키고자 하였다. 또 한 웹기반 시뮬레이션 도중 문제풀이를 진행하고, 문제풀이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중재군의 학습 동기를 자극하였고, 요구 분석과 내용 타당도를 확 인하는 과정을 거쳐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함 으로서 현실 기반의 사례를 통해 학습자의 몰입을 유발하였다(McGonigle & Mastrian, 2021). 배우 를 섭외하여 환자의 형태를 실제와 비슷하게 구현하 여 현실성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한 것은 대상자의 흥미를 향상시키고 몰입을 이끌어내어 간호대학생 이 지식과 실무의 통합을 이루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McGonigle & Mastrian, 2021), 궁극적으 로 지식과 실무의 통합을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의 향상을 이룬 것으로 생각된다.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디브리핑을 제공한 것도 중재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나타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디브리핑은 대상자가 시뮬레이션 내용에 관한 통찰력을 얻는 단계로 문제 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 등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Choi & Kwag, 2016).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 이션 후 자가보고형 서면 디브리핑 질문을 통해 대 상자에게 시뮬레이션을 분석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 해 성찰 과정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향상 을 위하여 대상자의 불안, 학습동기, 학습몰입 및 흥 미를 고려하고 성찰 과정을 포함한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중재 후, 중재군의 학습전 이 기대가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웹기 반 시뮬레이션은 실제 임상현장과 비슷한 상황을 제 공하고, 이러한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할 때, 간 호대학생이 선행 지식을 적용해 보는 것은 학습전 이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Liaw et al., 2015).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현실감 있는 시나리오와 배우를 통한 화면 구성으로 실제 임상현 장과 비슷한 상황을 구현하여 중재군에 제공하였다. 중재군은 성인간호학에서 신경계 간호를 이수한 간 호대학 4학년 학생으로서, 신경계 간호에 대한 선행 지식을 보유하고 있었고, 프로그램 내 문제풀이를 통해 선행 지식을 적용할 수 있었으므로 프로그램을 통한 대상자의 학습전이 기대가 향상되었다고 사료 된다. 향후 배운 내용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여 업무 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전이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 연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파악을 위 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상자에게 현실감을 제공하기 위한 방 법으로 배우를 섭외하여 간호학 실습실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배우로 구현하기 어려운 신체사정 내용 및 실습실에 구비되지 않은 물품을 말로 설명하는 부분이 있었다. 시뮬레이션 대상자가 기대하는 시각적 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대상자는 시뮬레이션에 몰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Koivisto, Niemi, Multisilta, & Eriksson, 2017), 학습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웹 기반 시뮬레이션 연구에서는 환자 및 기관의 동의를 받아 환자 혹은 현장의 물품을 국소적으로 촬영하는 등의 보완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연구의 디브 리핑 과정에서는 촉진자로서 교수자의 역할 제한 및 동료 간호대학생과 개방적인 의사소통 기회가 제한 되어 상호작용이 부족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추후에는 충분한 디브리핑 시간을 제공하고, 디브리 핑 과정에서 촉진자로서 교수자의 역할 및 상호 의 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 번째로 일개 지역 소재 간 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 교육프로 그램이 일회성으로 설계되어 반복교육의 효과를 파 악하지 못한 점과 중재 2주 후 평가를 진행하였으나 장기적인 효과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마지 막으로 시나리오 내 포함하고 있는 상황 및 영상을 최대한 임상현장과 비슷하게 구현하려고 노력하였 으나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다양한 대상자에게 확대 적용하고 반복교육 을 통해 장기적인 효과를 파악하며, 임상현장과 연 계를 통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 한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프 로그램이 실습지부족 및 높아진 온라인 학습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고, 프로 그램 운영의 근거로서 기여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웹기반 시뮬레이션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 한 비대면 교육의 활성화로 온라인 교육에 대한 요 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활용되었고, 이후 개별적인 학습환경을 제공 및 반복 구동 가능과 같은 장점으 로 인해 사회적 거리 두기의 해제로 대면수업이 재 개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그 효과로 인해 이용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 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웹기반 시뮬레 이션을 이용한 두개내압상승환자 간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개 발된 교육프로그램은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성 향, 학습전이 기대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향 후 임상실습을 보조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활용할 것 을 제안한다.

    추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 여 토의형태의 그룹 디브리핑을 진행하여 촉진자와 동료 간 상호작용 및 간호대학생의 적극적 참여가 이루어지고, 디브리핑 과정에서 충분한 시간을 제공 할 수 있도록 보완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교육프로 그램의 효과를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지 파악하기 위해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Figure

    JKSSN-11-2-1_F1.gif
    Steps of Program Development
    JKSSN-11-2-1_F2.gif
    Session of web-based lecture, simulation and online survey
    JKSSN-11-2-1_F3.gif
    Flow chart of the study

    Table

    Test of Homogeneity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N=60)
    Exp.=Experimental group; Cont.=Control group
    Normality and Homogeneity test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Web-based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 (N=60)
    Exp.=Experimental group; Cont.=Control group; <sup>*</sup>Friedman test; <sup>§</sup>Mann-Whitney U test

    Reference

    1. Benner, P. , Sutphen, M. , Leonard, V. , & Day, L. (2009). Educating nurses: A call for radical transformation. Hoboken, NJ: John Wiley & Sons.
    2. Bingham, A. L. , Sen, S. , Finn, L. A. , & Cawley, M. J. (2015). Retention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knowledge and skills following high-fidelity mannequin simulation training.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9(1), 12.
    3. Cangelosi, J. S. (1990). Designing test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NY: Longman Publishing Group.
    4. Cant, R. , Cooper, S. , Sussex, R. , & Bogossian, F. (2019). What's in a name? Clarifying the nomenclature of virtual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7, 26-30.
    5. Choi, E. , & Kwag, Y. (2016). Problem solving & critical thinking between instructor and senior debriefing in simulation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4), 191-200.
    6. Cura, Ş, Ű. , Kocatepe, V. , Yildirim, D. , Kucukakun, H. , Atay, S. , & Űnver, V. (2020). Examining knowledge, skill, stress,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levels of nursing students in three different simulation modalities. Asian Nursing Research, 14(3), 158-164.
    7. Ebel, R. I. (1965). Measuring educational achieve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8. Facione, N. C. , Facione, P. A. , & Sanchez, C. A. (199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ment: 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3(8), 345-350.
    9. Ha, Y. K. , & Lee, Y. H. (2021). In COVID-19, factors affect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alternative clinical practicum.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2), 989-1006.
    10. Jung, H. Y. , & Shin. J. H. (2015). Factors affecting learning transfer in the South Korean cyber home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2), 269-286.
    11. Kearsley, G. (2000). Online education: Learning and teaching in cyberspace. Belmo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2. Kim, H. J. , & Lee, S. (2022). Nursing student’s nervous system assessment virtual simulation practice experienc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17(1), 211-216.
    13. Kim, J. H. (2021). An organizational factors in the role sharing of medical professions in U.S. hospitals focusing on doctors, nurses, and non-physician clinicians. Legal Theory and Practice Review, 9(3), 85-114.
    14. Kim, K. A. (2017). Goal based simulation scenarios development and education that focused on patients with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5(2), 21-32.
    15. Koivisto, J. M. , Niemi, H. , Multisilta, J. , & Eriksson, E. (2017). Nursing students’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es using an online 3D simulation game.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2(1), 383-398.
    16. Kwon, I. S. , Lee, G. E. , Kim, G. D. , Kim, Y. H. , Park, K. M. , Park, H. S. , et al. (2006).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6), 950- 958.
    17. Lee, D. H. (1996). A model testing study on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training in organization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9(1), 59-88.
    18. Lee, J. (2018). The effects of smartphone based serious educational game for disaster casuality triage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9. Lee, W. S. , Park, S. H. , & Choi, E. Y. (2008). Development of a Korean problem solving process inventory for adult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4), 548-557.
    20. Liaw, S. Y. , Wong, L. F. , Chan, S. W. , Ho, J. T. , Mordiffi, S. Z. , Ang, S. B. , Goh, P. S. , & Ang, E. N. (2015). Designing and evaluating an interactive multimedia web-based simulation for developing nurses' competencies in acute nursing ca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7(1), e3853.
    21. McGonigle, D. , & Mastrian, K. (2021). Nursing informatics and the foundation of knowledge.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Publishers.
    22. McKeon, L. M. , Norris, T. , Cardell, B. , & Britt, T. (2009). Developing patient-centered care competencies among prelicensure nursing students using simul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12), 711-715.
    23. Molenda, M. (2003). In search of the elusive ADDIE model. Performance Improvement, 42, 34–36.
    24. National League for Nursing(NLN). (2020). Nursing leaders call for flexibility in the path to graduation to ensure greater numbers of new nurses. Retrieved May 3, 2022, from https://www.ohioleaguefornursing.org/news/497905/Nursing-Leaders-Call-for-Flexibility-in-the-Path-to-Graduationht.htm
    25. Oermann, M. H. , Shellenbarger, T. , & Gaberson, K. B. (2017). Clinical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5th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6. Park, S. , Hur, H. K. , & Chung, C. (2022). Learning effects of virtual versus high-fidelity simulations in nursing students: A crossover comparison. BMC Nursing, 21(1), 1-9.
    27. Park, Y. , Jun, M. , & Lee, J. (2020). A comparative study of the nursing education system in republic of Korea and United States-Focused on distance education and web-based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6), 1173-1197.
    28. Singleton, H. , James, J. , Falconer, L. , Holley, D. , Priego-Hernandez, J. , Beavis, J. , Burden, D. , & Penfold, S. (2022). Effect of non-immersive virtual reality simulation on type 2 diabetes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66, 50-57.
    29. Tan, A. , Lee, C. , Lin, P. , Cooper, S. , Lau, L. , Chua, W. , & Liaw, S. (2017). Designing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serious game for safe administration of blood transfu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urse Education Today, 55, 38-44.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