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심정지(Cardic arrest)란 심장의 효율적인 수축 실패에 의한 전반적 혈액 순환이 정지된 상태로, 4~6 분 이상이 경과하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PA] &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ACPR] 2021). 심폐소생술은 급성 심정지로 생명이 위험에 빠진 사람의 심장과 호흡이 회복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모든 일련의 활동이며, 심 정지 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의 생존율은 2019년 기준 15%로 심폐소생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생존율인 6.2%에 비해 높았다(KDCPA & KACPR, 2021).
대부분의 병원 내 심정지 환자 발생 시 일차 목격 자인 간호사는(Kim, Lee, Lee, & Kim, 2012) 심 정지 상황을 빠르게 인지하여 심폐소생술 팀이 도착 하기 전 기본 심폐소생술을 시작하고 심전도 리듬을 인식하며 제세동 및 기도확보를 준비할 수 있는 능 력이 필요하다(Guetterman et al., 2019). 신속한 심폐소생술은 생존율을 최대 3배 이상 높일 수 있고 뇌 손상을 지연시킬 수 있다(KDCPA & KACPR, 2021). 그러나 대부분의 간호사는 심폐소생술을 직 접 시행하는 것보다 심폐소생술 준비행위에 치중해 심정지 상황에서 제대로 된 수행능력을 발휘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et al., 2012).
신규간호사는 임상실무 수행과정에서 간호업무단 위의 흐름이나 업무 시스템 및 행정절차 파악, 업무 량 조직과 관리, 통합적 환자사정, 임상결과의 해석 이나 실무 수행에 필요한 임상추론, 비판적 사고, 우 선순위 결정, 문제해결능력, 의사와의 의사소통 및 갈등 해결, 응급상황 대처능력의 결여 등 임상수행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Sin, Kwon, & Kim, 2014). 또한 신규 간호사는 경력 간호사에 비해 상대 적으로 임상현장에서 응급상황에 대한 다양한 경험 이 없으므로 임상수행능력 및 대처능력이 부족할 뿐 만 아니라 이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가 크다(Kim & Jang, 2011). 특히, 신속한 대처와 위기관리능력 을 필요로 하는 기도관리, 심폐소생술 상황은 신규간 호사들에게 스트레스와 중압감을 주게 된다.
전문소생술 교육에는 강의법, 고 충실도 기반 시뮬 레이션, 자기주도 온라인 학습과 멀티미디어 활용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Lauridsen et al., 2021). 이중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방법은 안전 한 환경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팀워크, 의사소 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으며 학습을 통해 습득한 경험 과 판단 능력은 임상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촉진하여(Choi, 2021;Mundell, Kennedy, Szostek, & Cook, 2013) 현재 심폐소생술 교육에 시뮬레이션 교육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Kim et al., 2012).
기존의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활용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 수행능력, 문제해 결 능력을 확인한 Kim (2010)의 연구로 이는 관상 동맥 질환으로만 구성된 응급상황 시나리오를 활용 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 응급상황은 순환기계 및 호 흡기계 질환 등의 상황에서 발생함으로 보다 구성이 다양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임상수행자신감이 문제 해결 능력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Kim, 2010)에 따라 다양한 응급 상황에서 스스로 문제해결을 해야 하는 간호사에게 임상수행 자신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C병원의 응급상황사례를 토대로 한국전문소생술(Korea Advanced Life Support, KALS)을 활용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신규간호사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부서에 배치되기 전 신규간호사에게 임상 의 실질적인 사례인 응급상황에 대한 한국전문소생 술 시뮬레이션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신규간호 사들에게 좀 더 응급상황에 대한 교육의 효과성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 션 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이 신규 간호사의 응급 상황관리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신규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능력과 수행 자신감 향상에 도움을 주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 이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그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 인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신규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2)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이 신규 간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응급상황관리 지 식, 임상수행능력 그리고 수행 자신감에 미치 는 효과를 파악한다.
-
3)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 후 신규 간호사의 학습만족도를 확인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군에게 응급상황관리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연구이 다(Figure 1).
2. 연구대상 및 기간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임상실무 경험이 없는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본 연구의 목 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 사를 대상으로 2022년 3월 2일부터 2022년 3월 3 일까지로 2일간 실시하였다. G power 3.1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 집단 수= 2, 효과 크기= .50, 검정력 .80으로 하였을 때 그룹 당 34명 이므로 총 68명을 기준으로 탈락률을 10%를 고려하 여 실험 군 40명, 대조군 36명 총 76명을 편의 표출 하였다. 그러나 연구과정 중 개인적인 사유로 실험 처치에 참석하지 못한 중재 불참자 실험 군 3명, 대 조군 2명과 중재에는 참여하였으나 설문조사에 참 여하지 않은 대상자 1명이 발생하여 최종 실험 군 37명, 대조군 33명의 총 7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 정하였다.
3. 연구 도구
1) 응급상황관리 지식 측정도구
응급상황 관리 지식과 관련된 측정도구는 신규 간 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지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대 한심폐소생협회의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KDCPA & KACPR, 2021).에 수록된 문제와 Lee (2015)가 개발한 지식도구를 저자의 허락을 구한 후, 한국전 문소생술 강사 자격을 보유한 응급의학과 전문의 1 인의 자문을 받아 원 도구의 25문항 중 급성관상동 맥증후군 1문항, 기본 소생술 2문항, 응급약물 2문 항의 총 5문항을 삭제하였고, 심전도 관련 약물투여 (심실 세동, 심실성 빈맥)에 관한 1문항을 수정, 보 완하여 최종적으로 20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 는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10문항, 제세동기(defibrillator) 사용법 5문 항, 기관 내 삽관(Intubation) 준비 및 시행 5문항, 총 20문항으로 각 문항은 4지 선다형으로 맞으면 1 점 틀리면 0점을 주어 한 문항 당 5점을 주었다. 총 점수는 10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응급상황관리에 대한 지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Lee (2015)의 연구 에서 Cronbach’s α=.68이었다. 본 연구의 KR-20 (Kuder-Richardson Formula 20)= .74이었다.
2)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는 Choi (2008)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저자의 허락을 받아 사용 되었다. 이 도구는 원칙 7문항, 기본소생술 10문항, 전문심장소생술 10문항을 포함한 총 27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도구의 측정은 학습자가 자가 기입하는 식의 설문지로 5점 Likert 척도로 수행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 ‘매우 잘 한다’ 5점, ‘잘 한다’ 4점, ‘보 통이다’ 3점, ‘못한다’ 2점, ‘매우 못한다’ 1점으로 점 수가 높을수록 수행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Choi (2008)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8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전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 는 Cronbach’s α=.93이었고, 사후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4이었다.
3) 수행 자신감 측정도구
수행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Lee (2015)가 개 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도구 사용에 대한 승인 후 사용되었다. 도구는 NRS (numeric rating scale)로 구성되었으며, 심폐소생술(CPR), 제세동기 사용법, 기관 내 삽관 준비 및 시행에 대하여 자신 있게 술기 를 행할 수 있는지 표기하는 것이다. 각 문항에 대하 여 왼쪽 끝 0점은 ‘전혀 자신 없음’, 오른쪽 끝 10점 은 ‘매우 자신 있음’으로 표기하여 수행 자신감의 정 도를 해당 점수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점수의 범위 는 CPR 0~10점, 제세동기 사용법 0~10점, 기관 내 삽관 준비 및 시행 0~10점으로 총 점수는 0~30 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수행 자신감이 높음을 의미 한다. Lee (2015)의 연구에서는 사전 수행 자신감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61이었고, 사 후 수행 자신감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8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전 수행 자신감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76이었고, 사후 수행 자신감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9이었다.
4) 학습 만족도 측정도구
학습만족도 측정도구는 Lee (1999)에 의해 개발 되고 Seong (2008)이 수정 보완한 것을 Lee (2015) 가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 며, 저자의 허락을 받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20문항으로 학습구성의 적합성, 학습 성취도 학습 자 태도, 학습자 만족도 4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 척도이며 점수의 범위는 0~100점으 로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 다. Lee (2015)의 연구에서 학습 만족도 측정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97이었다. 본 연구에서 학습 만족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72이었다.
4. 한국전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1) 실험 군 한국전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실험군의 한국전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은 다 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240분이 소요 되었으며, 강의(knowledge lecture) 100분, 술기 교육(skill education) 60분, 팀 시뮬레이션(team simulation) 40분, 디브리핑(debriefing) 40분으 로 구성되었다.
(1) 응급상황 관리 강의(knowledge lecture)
중환자 간호팀 응급실 경력 10년의 간호사가 100 분 동안 심폐소생술, 제세동기 사용법, 기관 내 삽관 준비 및 시행의 한국전문소생술에 대해서 시청각 자 료(PPT)를 활용하여 강의(100분)하였다.
(2) 술기교육(skill education)
술기교육은 중환자 팀 응급실 간호사 6명이 교육 을 위해 3인씩 2팀으로 구성한 후 심폐소생술, 제세 동기 사용법, 기관 내 삽관 준비 및 시행 영역을 각 각 교육하였으며, 각 주제 당 20분씩 총 60분이 소 요되었다. 술기 교육자가 각 영역마다 시범을 보인 후 개별 실습을 진행하였으며 동시에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구두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3) 팀 시뮬레이션(team simulation)
팀 시뮬레이션은 시나리오를 토대로 팀원의 역할 을 정하여 중재에 따른 실습을 하도록 하였다. 팀원 을 5명씩 구성하여 간호사 1, 간호사 2, 간호사 3, 간호사 4, 리더를 정하여 임상상황에 대한 시나리오 를 팀원들에게 제시하였다. 임상 상황에 대한 시나 리오는 5단계로 나누어 임상상황에 대한 내용을 관 찰자가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
제 1단계로 [심정지의 인지] 하는 것으로 상황이 시작됨을 멘트로 알려주고, 리더 역할자가 상황의 최초 발견자로 환자의 의식 및 반응을 확인하였다.
-
제 2단계로 자발호흡이 없고 경동맥이 촉지 안 됨을 확인하고 리더 역할자가 간호사에게 [“Code blue” 와 제세동기 요청]을 하고 [심장압박]을 시행하였다.
-
제 3단계로 도움을 요청받은 간호사 1, 2, 3, 4가 도착하면 리더는 간호사 1과 심장압박 역할을 교대 한다. 리더는 역할교대 후 간호사 2에게 제세동기, 간호사 3에게는 기관내 삽관 준비 및 시행, 간호사 4에게는 IV 및 약물투약(한국전문소생술 권고에 따 름)을 할 수 있도록 역할을 분배하였다.
-
제 4단계로 [심전도상 심전도 리듬, ventricular fibrillation (VF),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PEA), Asystole] 상황을 인지하고 제세동기 준비 필요시 shock을 준비하여 리더의 지시 하에 제세동 을 시행하였다.
-
제 5단계로 [정상 심전도 리듬이 돌아옴] 상황에 서 환자의 활력징후 및 집중치료를 위해 중환자실로 이동하는 것으로 시나리오 상황을 종료하였다.
교육자 2인은 간호사 1, 2, 3, 4 및 리더의 역할에 대한 팀 시뮬레이션 과정 동안 팀별로 특징적인 사 항 등을 기록하여 디브리핑 과정에 활용하도록 하였 다. 간호사들은 역할 교대를 통해 모든 역할을 순환 하여 경험하였으며 총 소요시간은 한 팀당 40분이 소요되었다.
(4) 디브리핑
팀 시뮬이션 종료 후 교육자가 기록한 특징적인 사항 및 수행여부를 가지고 디브리핑을 시작하였다. 디브리핑에 앞서 모든 팀원에게 부담감을 갖지 않도 록 수행과정에 대해 격려하였으며 디브리핑 과정동 안 스스로 되짚어보는 과정을 통해 성찰과 정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디브리핑은 팀 시뮬레이션이 끝난 직후에 시행하였으며 한 팀당 총 40분이 소요 되었다.
2) 대조군 전통적 강의식 교육
대조군은 실험 군과 동일하게 중환자간호 팀 응급 실 경력 10년의 간호사가 시청각 자료(PPT)를 활용 하여 응급상황관리에 대한 전통적 강의식 교육(100 분)을 진행하였으며, 또한 술기교육은 중환자 팀 응 급실 간호사 6명이 교육을 위해 3인씩 2팀으로 구성 한 후 심폐소생술, 제세동기 사용법, 기관 내 삽관 준비 및 시행 영역을 각각 교육하였으며, 각 주제 당 20분씩 총 60분이 소요되었다. 술기 교육자가 각 영역마다 시범을 보인 후 개별 실습을 진행하였으며 동시에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구두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5. 연구진행 절차
본 연구는 한국전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 그램 적용, 종속변수의 사전조사, 실험 처치, 종속변 수의 사후 조사 순으로 진행하였으며, 1일차에는 사 전조사를 실시하고, 2일차에는 실험 군과 대조군에 대해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대 상자들에게 bias를 작용을 막기 위해 교육 당일에 공지하였고, 전통적 강의식 교육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조군,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에 참여한 대상자는 실 험 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두 군 간의 상호교류 를 막기 위해 실험 군이 시뮬레이션에 참여하는 동 안 대조군은 다른 장소에서 대기하며, 기본 간호술 에 대한 교육을 수강하도록 하였으며, 실험군의 사 후평가를 마친 후 대조군에게 실험 군과 동일한 시 뮬레이션 교육을 실시하여 윤리적 책임을 다하였다.
1) 시뮬레이션 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 프로 그램
시뮬레이션 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 프로그램 과정은 1차적으로 연구자가 한국전문소생술 프로그 램에 대한 문헌고찰과 B대학교 시뮬레이션 센터 한 국전문소생술 교육, 대한 심폐소생협회 전문소생술 교육에 참관한 것을 토대로 본 병원의 응급실, 중환 자실과 병동에서의 발생한 응급상황에 대한 2가지 임상사례 즉, 심근경색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의 심정지 사례를 가지고 프로그램 초안을 작성하였 다. 1차 작성된 프로그램을 가지고 응급의학과 전문 의 1명, 응급실 경력 10년 이상 간호사 3명에게 초안 을 검토 받고 수정, 보완하여 최종 중재를 구성 하였다.
한국전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한국전문소생술 지식과 수행기술을 주어진 시간 안에 습득할 수 있도록 이론 교육은 100분간, 심폐 소생술, 제세동기 사용법, 기관 내 삽관 준비 및 시 행 영역 술기교육은 60분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 션 교육은 5인 1조로 하여 강사가 3분간 시범을 보 인 후 5명이 역할을 바꾸어 연속 5회 시뮬레이션 실 습(40분)을 실시하고 디브리핑(40분)을 수행하였다.
교육 장소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는 연구자 가 소속되어 있는 병원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물품 들을 활용하여 응급의료센터 소생실에서 진행하는 현장 시뮬레이션(In-situ simulation)으로, 고 충실 도 시뮬레이터인 SimMan Essential (Laerdal Medical/Ambuman advanced 2016)를 사용하였 고 SimPad (Laerdal Medical)로 시뮬레이터의 활력 징후와 심전도 변화, 맥박 촉지 여부 등 심정지 상황을 강사가 실시간으로 조정하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 다. 교육내용은 전문심장소생술의 표준화된 대한 심폐소생협회의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KDCPA & KACPR, 2021).의 내용을 근거로 교육내용은 기본소 생술, 무 수축, 무 맥박성 전기활동, 무 맥박성 심실빈 맥, 심실 세동의 4가지 심정지 심전도, 제세동, 심정 지 시의 응급약물, 기본 심장소생술과 심정지 시의 전문심장소생술 알고리듬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의 내용은 기본소생술과 4가지 심정 지 심전도 시나리오를 내용으로 하였다.
교육 강사는 미국심장협회 전문심장소생술과 대 한 심폐소생협회 한국전문소생술 자격증을 소지하 고 있는 응급의료센터 간호사가 담당하였다. 교육 방법은 시뮬레이션 기반 한국전문소생술 지식과 수 행기술을 향상시키고 평가받을 수 있도록 교육 즉시 디브리핑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개인별 팀 리더와 역할별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대한심폐소 생협회의 Training of In-Hospital Cardiac Arrest (TROICA) Teamwork 실기시험 진행에 따 라 5인 1조가 되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에게 는 실험 군과 동일하게 강의와 술기 교육을 제공하 였고, 실험군만 팀 시뮬레이션과 디브리핑을 시행하 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해 C병원 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IRB No.: HC21FASI0011) 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 경기도 소재 일개 C병원에서 임상실무 경험이 없는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를 서면으로 얻은 후 시작하였다. 연구 자료는 연구와 관련된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과 대상자는 익명 성을 보장한다는 내용을 정확히 설명하였고 연구기간 중 언제든지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종료 후 대조군에 대한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 여 실험 군과 동일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교육의 형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7.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0.0 program을 사용하여 전산통계처리 하였으며, 사용된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 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고, 두 집단 간의 동 질성 검정은 X2 test와 t-test로 검증하였다.
-
2) 실험 군과 대조군의 한국전문소생술 응급상황 관리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에 대한 차이검정은 독립표본 t-test로 검증하였다.
-
3) 실험 군과 대조군의 학습 만족도에 대한 차이 검정은 t-test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 실시 전 일 반적 특성에 대한 실험 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을 연 령(p=.497), 성별(p=.872), 시뮬레이션기반 교육 경험 유무(p=-.685) 및 교육 횟수(p=.826), 심폐 소생술 교육경험 유무(p=.161), 심정지 환자에 대한 신속대처 정도(p=.496)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실험 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확인되었다(Table 1).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 실시 전 실 험 군과 대조군 간의 응급상황관리 지식(p=.496), 임상수행능력(p=.642), 수행 자신감에 대한 동질성 (p=.621)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 단 간 동질성이 확보되었다(Table 1).
2.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지식에 미치는 효과
실험군의 응급상황관리 지식점수는 총 100점 만점 에 사전 66.62점에서 사후 83.65점으로 17.03점 증 가하였고, 대조군은 사전 68.48점에서 사후 84.55점 으로 16.06점 증가하였으나 실험 군과 대조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4.46, p=.657) (Table 2).
3.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실험군의 임상수행능력 점수는 총 135점 만점에 사전 83.08점에서 사후 109.59점으로 26.51점 증 가하였고, 대조군은 사전 84.36점에서 사후 100.24 점으로 15.88점 증가하였으며 실험 군과 대조군간 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3.58, p<.001) (Table 2).
4.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실험군의 수행 자신감 점수는 총 30점 만점에 사 전 14.57점에서 사후 23.43점으로 8.86점 증가하 였고, 대조군은 사전 14.05점에서 사후 19.90점으 로 5.86점 증가하여 두 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3.69, p〈.001) (Table 2).
5.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이 신규간호사의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 만족도 점수는 총 100점 만점에 실험 군이 96.16±5.64점으로 대조군의 88.42±11.13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3.72, p〈.001) (Table 3).
Ⅳ. 논 의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응급기도관리 가 필요한 상황이나 심폐소생술과 같이 작은 실수로 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고위험의 상황 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여, 이에 대해 신규 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응급상황관리 지식 점수는 실험 군과 대조군이 모두 상승하였으나, 두 군 간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유의한 차이 를 보였던 Back (2006)과 Lee와 Ahn (2019)의 연 구와 차이가 있다. Lee와 Ahn (2019)은 연구에서 단계별 학습과 토론과 의견 공유의 시간이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반복학습 및 토 론을 통하여 문제를 조원들과 공유하여 스스로 문제 를 되짚어 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이론 강의와 술기 술은 실험 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동일한 방법 으로 적용되었고, 오리엔테이션 교육기간에 실시된 프로그램으로 대조군도 평가에 집중함으로써 지식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임상수행능력 점수는 실험 군 이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는 상급종합병원 병동간호 사를 대상으로 응급상황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교 육 전·후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임상수행능력이 향 상되었다는 Shin (2017)의 연구와, 대학병원에 입 사한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 소생술 교육을 진행한 Kim (2010), Park (2018)의 연구에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을 받은 대상자가 강 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임상수행능력이 높다 는 연구결과와 같다. 그러나 본 연구와 Kim (2010) 과 Shin (2017)의 연구가 특정한 의료 상황이나 학 습 주제에 관련된 시뮬레이션 교육을 실시한 직후 임상수행능력을 평가한 반면, Park (2018)의 연구 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시행하고 2년 후에 임상수행능력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단기 및 장기적 효과가 입증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는 임상의 고위험 실제 상황을 적용하고, 이를 스스 로 인식함과 동시에 임상 실제 상황에서 다시 적용 된 결과로 생각되며, 이로써 신규 간호사의 임상수 행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이론지식과 술기 술 교육 과 함께 이를 통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생 각한다.
또한 수행 자신감 점수도 실험 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문제 중심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후에 간호과정 자신감에 유의한 향상을 보 였다는 Kweon (2014), Kim과 Park (2015)의 결과 와 같다. 이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간호과정을 적용 해야 하는 간호사에게 시뮬레이션 교육이 유효하다 는 결과로 생각되며, 또한 Kim & Kim (2019)의 연 구와 같이 시뮬레이션 교육이 실제와 유사한 상황을 경험해 보게 하는 것으로 간호사의 간호 수행에 대 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 다. 하지만 본 연구의 실험 군에게는 이론, 술기 술, 시뮬레이션과 디브리핑까지 진행되었고, 대조군엔 이론과 술기 술만 진행되어 임상수행능력과 수행 자 신감에서 연구결과의 차이를 보였을 수 있다고 생각 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만족도에서 도 실험 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았는데, 이는 교육의 목적을 가지고 목적한 부분 을 달성하였거나, 기대한 바가 충족되었을 때 그리 고 전공지식과 간호술기의 통합적용능력이 활용될 때 학습자의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연구(Cho & Kim, 2017) 와 같이 기존의 KALS 교육과 응급상황 설정은 비슷하나 본 연구가 시행되는 병원에서 자주 발생한 관상동맥질환과 호흡기계 질환 등의 다양한 응급상황의 사례를 교육내용에 포함하여 시나리오 를 구성함으로써 현장에 맞게 고안된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간호술기를 적용하는 과정 을 통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응급상황에 대한 다 양한 경험이 없는 신규간호사들에게 응급상황에 대 한 실제 사례를 시뮬레이션 교육에 포함하여 진행함 으로써 임상 수행 능력 및 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는데 임상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중재프로그램은 임 상현장에 투입되기 전 신규간호사에게 제공된 교육 이다. 이처럼 좀 더 다양한 모듈의 시뮬레이션 프로 그램을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학교실습 및 임상실습에서 반복교육으로 이어 진다면 신규간호사가 임상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임 상수행능력과 수행 자신감이 좀 더 향상되어 질 높 은 임상간호에 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 므로 이를 토대로 한국 심장소생술 등과 같이 현장 에서 응급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좀 더 강화시킨다면 시뮬레이션을 통한 교육의 효과를 극 대화 시킬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 에서 지식은 사전·사후 반복측정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었고, 임상수행능력 또한 실제 수행을 측정한 것이 아니라 자기 보고식으로 측정하여 실제 임상에 서의 적용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한국전문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군과, 전통적인 강의에만 참여한 대조군 사이에 응급상황관리 지식, 임상수행 능력,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 실 험 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개 병원에서 임상실무 경험이 없는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국 전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군에게는 이론 및 실기 교 육 이외에 연속 5회 40분간 시뮬레이션 실습과 40 분간의 디브리핑을 진행하였으며, 대조군은 전통식 강의식 교육이외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과 디 브리핑을 진행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신규간호사의 임상 수행 능력, 수행 자신감이 유의하게 상승되어 시뮬레이션 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임상 수행 능력 및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임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일반화와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교육적 중재 변수를 다양화한 후속 연구를 통해 가장 적절한 중재 방법 을 모색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수행 자신감까지는 효과를 확인하였으 나 임상에서의 직접적으로 적용해야할 문제해결과 정의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여 좀 더 장기적인 교육 시나리오를 계획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