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1 No.2 pp.43-56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3.11.2.43

Effectiveness of Team-Based Learning in Obste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산욕기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Hyo Sin Choi, Su Jin Park, Su Ho Park*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aegu Health College

최효신, 박수진, 박수호*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 Su Ho Park
(Taejeon-Dong)15 Younsong-Ro Buk-Gu, Daegu 41453, Republic of Korea
Tel: +82-53-320-4595, Fax: +82-53-320-1470, E-mail: psh1@dhc.ac.kr
20230919 20231031 20231208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mplementing team-based learning (TBL) in postpartum nursing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128 nursing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61 in the experiment group and 67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winter break in January 2023, students participating in simulation practical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students participating in simulation practicals during the regular semester (April 2023)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prevent crossontamination between the groups due to experimental treatment. Both groups completed self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asses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collaborative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 It was evident that TBL applied to postpartum nursing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is a pedagogical teaching strategy that enhance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team-based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not only for challenging obstetric cases but also for labor and delivery nursing, antepartum nursing, and other related areas in clinical practice.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교육에서 임상실습은 실무를 경험하고 간호사 로서의 역할과 간호술을 습득하는데 중요한 과정이다 (Lee & Ji, 2016). 그러나 현재 실습기관의 환자안전, 권리, 사생활 보호 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간호 대학생이 직접 간호를 수행하기보다는 관찰에 머무르 는 실습환경에서 교육받고 있다(Harden, 2011). 이러 한 실습환경은 간호대학생이 지식과 술기를 통합하고 간호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하기에는 부족할 수 있다(Lee & Ji, 2016). 특히 모성간호학 실습은 출산율의 감소, 의료기관의 구조적 상황, 환자 사생활 보호라는 측면에서 관찰 또한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Lee, 2018), 간호대학생이 출산과 분만, 분만 후 간호를 임상실습기관에서 학습하는 것에 어려움과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학에서는 이러한 임상실습교육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임상 상황을 재현하고 문제해 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시뮬레이션 실 습교육을 강화하고 있다(Kim et al., 2012). 시뮬레 이션 실습교육의 강점은 임상 현장과 유사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고, 직접적인 생명 또는 위해와 직결되 지 않아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 안전한 환경에서 반 복연습이 가능하다(Kim, Chung, & Kim, 2016). 지금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에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효과로 간호대학생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임상 판단 및 실습 자신감이 향상된 반면(Cant & Cooper, 2010),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 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Kim & Ham, 2015). 또한 개별 학습자 중심의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을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과 연계한 연구에서도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의사소통에 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Song, 2014). 이렇듯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가 변수 마다 상이하므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임상간호 현장에서는 개인이 아닌 팀 간호 를 하고 있으며, 팀 안에서 효과적으로 자신의 역할 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하다(Lee, 2018). 현장 에서 발생되는 간호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 해서는 전통적인 교육방법인 강의식보다 학습자 중 심의 자기주도적인 교수학습 전략이 효율적인 것으 로 보고되고 있다(Roh, Ryoo, Choi, Baek, & Kim, 2012). 팀 기반학습(Team based learning)은 팀 안에서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참여하면서 공동의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며 문제 를 해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능동적인 교수 학습 법이다(Michaelsen, Knight, & Fink, 2023). 이 는 선행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이 준비된 상태에서 수 업에 참여하며, 일반적인 소규모 그룹 토의와는 달 리 팀의 학습능력을 활용하여 상호작용함으로써 성 과를 달성하는데 초점을 둔다. 또한 팀 기반학습은 학생들에게 명확한 학습방향을 제공하고, 학습 내용 에 대한 퀴즈를 통해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장 려하여 소통, 리더십 및 팀 협업과 같은 학습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Michaelsen et al., 2023) 고 보고되고 있다.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의 결과를 살펴보면, 자기주도학습 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의 역량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Choi & Park, 2014;Park, 2023;Roh et al., 2012). 특히, 자기 주도학습 능력은 학습자가 학습목적을 구체화하고 적합한 학습전략을 스스로 선택하여 본인의 학습 능 력수준에 맞도록 학습과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으 로, 학습자는 자기주도학습 능력 함양을 통해 효과 적으로 학업을 성취할 수 있다(Lee, Chang, Lee, & Park, 2003).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높을수록 학 업성취도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간호대학생에 게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술기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이며, 임상실습에서 임상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도 연결된다(Park & Hong, 2016). 팀 기반학습에서 학습자가 공동의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평가하는 것을 협력적 자기효 능감이라고 한다(Alavi & McCormick, 2008). 이 러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협력활동 초반에 팀 내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협력적 자기효능감 수 준이 높을수록 팀원들과의 과제 수행에 적극적인 협 력 태도를 보이며 자신의 역할에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Suh & Han, 2022).

    간호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팀 기반학습은 학업 성취도와 학습자의 참여를 높여 학습만족도를 높이 는데 효과적인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으나(Jang, Lee, & Kim, 2020;Park, Song, & Kim, 2016) 선행연구에서는 팀 기반학습의 적용이 주로 이론 교 과목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Choi & Park, 2014;Park, 2023),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팀 기반학 습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한 연구는 부족한 실 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서 산욕기 간호를 중심으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협력적 자기효능 감,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 인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모성간호학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효율적인 학습방안으로 적용할 수 있 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목적 및 가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에게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여 산욕기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운영 한 후 자기주도학습 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 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 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 가설 1.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 지 않은 대조군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 지 않은 대조군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 지 않은 대조군의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 지 않은 대조군의 학습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산욕기 간호사례에 대 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 여 자기주도학습 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성 취도 및 학습만족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이다(Figure 1).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대상자는 D시 소재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으로 3학년 2학기까지 임상실습 및 모성간호학 이론수업을 이수하였고, 연구 참여에 자 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이다.

    표본크기는 선행연구(Kim et al., 2012)를 근거로 G*power 3.1.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양측검정, 유 의수준(α) .05, 효과크기(d) 0.5, 검정력(1-β) 0.8일 때 independent t-test 분석에 필요한 표본수는 그 룹 당 64명씩 총 128명이 산출되었다. 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은 76명, 대조군은 76명으로 표본 수를 충족하 였다. 그중 설문지 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중간 탈락한 대상자를 제외하여 최종연구 대상자는 실험군 61명, 대조군 67명이었다.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한 대상자 의 연구의도 파악으로 실험중재효과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시점을 달리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동계방학(2023년 1월) 중 시뮬레 이션 실습에 참여하는 학생을 대조군으로, 학기 중 (2023년 4월) 시뮬레이션 실습에 참여하는 학생을 실험군으로 배정하여 실험처치로 인한 집단 간 오염 을 방지하였다. 자료수집은 2023년 1월부터 4월까지 였다.

    연구자는 시뮬레이션 수업을 시작하기 전 4학년 전체 학생들에게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시행 한 후 연구보조원(조교)이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 하는 학생들에게만 연구동의서를 받았다. 참여를 희 망하는 학생들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 누었다. 설문지는 연구보조원이 서면으로 받아서 코 드화하여 처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를 위해 수업 전 학생들 에게 연구정보 및 수업 전 ‧ 후에 설문조사가 있음을 미리 설명하였고, 수업시작 전에 연구절차, 자료의 비밀보장, 연구에 참여하지 않아도 성적에 반영되지 않는 점을 포함하여 불이익이 전혀 없다는 점을 설 명하고 동의서를 작성한 사람에게만 설문지를 배부 하였다. 그리고 연구종료 후 대조군에게 실험에 사 용된 팀 학습 시험내용과 요약문을 제공하였다.

    3. 연구도구

    연구에 사용된 문항은 자기주도학습 능력 45개, 협력적 자기효능감 19개, 학업성취도 15개, 학습만 족도 5개, 일반적 특성 5개로 총 89개 문항이다. 일 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학점이 포함되었다.

    1)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Lee 등 (2003)이 개발한 대학생 자기주도학습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문항은 총 45개로 구성되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매우 드물게’ 1점에서 ‘매우 자주’ 5 점으로 응답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 능 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도구 신뢰도 Cronbach’s α=.93,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93이었다.

    2)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학습자가 자신이 팀 프로젝트 의 협력활동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믿음을 말한다(Alavi & MaCormick, 2008). 본 연구 에서는 Alavi와 MaCormick (2008)가 개발하고 Kim & Kang (2016)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 다. 문항은 총 19개로 구성되었으며, 5점 Likert 척도 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응답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높 음을 의미한다. Alavi와 MaCormick (2008)의 연구 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α=.95, Kim과 Kang (2016)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α=.93이 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4이었다.

    3) 학업성취도

    본 연구에서는 산욕기 간호 및 술기에 대한 지식 을 학업성취도로 평가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 해 문헌고찰(Kim et al., 2023;Park, 2022)하여 산욕기 병태생리, 분만전후 간호, 약물, 핵심간호술 등에 대한 선행학습 내용을 구성한 후 이중에서 학 습목표와 관련된 내용으로 15문항을 개발하였다. 1 차 질문지를 개발한 후 모성간호학 및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 3인이 검토하여 수 정·보완한 후 최종 질문을 확정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답변은 맞으면 1점, 틀리거나 답하지 않으면 0 점으로 처리하였고, 총점이 높을수록 산욕기 간호에 대한 학업성취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KR-20=.70이었다.

    4) 학습만족도

    National League for Nursing (NLN, 2004)에서 개발한 Student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Learning Scale을 Yoo (2016)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학습만족도와 학습자신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학습자신감은 협력적 자기효능 감 도구와 내용이 비슷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만족도 만 사용하였다.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고 총 5개 문항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에서 학습의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도 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4 (NLN, 2004), Yoo (2016)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9, 본 연구 에서 Cronbach’s α=.91로 나타났다.

    4. 연구진행절차

    본 연구는 생명윤리위원회의 연구승인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산욕기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은 2주 동안 진행되며 1주차에 사전브리핑, 사전조사, 팀 기반학습, 강의, 시나리 오 분석을 하였고, 2주 차에 자율실습, 시뮬레이션 구동 및 평가, 디브리핑, 학업성취도 평가, 사후조사 를 진행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팀 기반학습을 제외 한 모든 절차가 동일하였다. 구체적 연구진행절차는 아래와 같다(Figure 1).

    1) 분석단계

    요구도 조사는 일 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250 명에게 학기 시작 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모성간호학 영역에 대한 시뮬레이션실습 수업 주제 및 핵심간호술에 대해 질문하였고, 정상 산욕기 간 호에 대한 비율(53%)이 가장 많았기 때문에 다음 학 기 시뮬레이션 주제로 선정하였다.

    2) 설계단계

    분석단계의 결과를 토대로 교수-학습방법과 학 습성과의 측정 영역을 선정하였다. 교수-학습방법 은 수강인원과 교수인원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실 습을 수강하는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으 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기초 로 하는 팀 기반학습을 선택하였으며, 교수자는 본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 실시하는 팀 기반학습 교수 법에 참여하여 준비하였다.

    3) 개발단계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시나리오 를 개발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서 설정한 시나리오 학습목표는 6개(임신말기 생리적 변화 사정, 임신 불편감 사정 및 간호중재, 임산부의 신체검진 수행, 태아심음 측정, 임신관련 질환, 활력징후 및 혈당측 정, 간호과정 기록)이다.

    시나리오 내용은 시뮬레이션 담당교수 1인과 모 성간호학 교수 1인이 한국간호과학회가 제공하는 시 나리오 자료(Park, 2022) 및 문헌고찰(Kim et al., 2023)을 통해 환자 정보(과거력, 현병력 등), 의사 처방, 진단검사 결과, 핵심간호술 등을 작성하였다. 이 시나리오를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산과병동 간 호사 1인에게 환자 정보력과 의사처방, 진단검사 결 과에 대한 자문을 받았다. 자문 후 최신약물 및 의사 처방에 대한 내용을 수정하였다.

    4) 실행단계

    사전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 자기주도학습 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자 기기입법으로 답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사전브리 핑, 시나리오 구동, 디브리핑 과정으로 진행되며 사 전브리핑은 시뮬레이션 구동 전 전반적인 시뮬레이 션 진행에 대한 준비활동과 브리핑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행단계에는 사전브리핑을 포함시 켰다.

    대조군의 실행단계는 준비활동, 사전조사, 브리 핑, 강의, 시나리오 분석, 자율실습으로 구성하였 다.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과 달리 준비활동, 사전조 사, 브리핑, 팀 기반학습(개인 준비도 검사, 조별 준 비도 검사, 팀별 이의제기, 피드백 제시), 시나리오 분석, 자율실습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 내용은 다 음과 같다.

    준비활동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전조사와 브 리핑을 하기 전에 이루어졌다. 준비활동은 시뮬레이 션 실습에 필요한 선행학습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습 목표에 따라 분만 후 출혈, 오로관리, 자궁퇴축 및 간호, 자궁수축 약물, 회음부 간호, 산후통 간호, 통 증사정, 의사소통술로 정하였다. 사전준비도 확인시 험은 단순암기형과 문제해결형 문제를 혼합하여 7 개 문항(자궁저부의 높이, Oxytocin 주입, 분만 후 오로, 태아심음, 의사보고사항, 통증사정, 의사소통 술)을 작성하였다. 이 문항은 간호학과 교수 1인, 교 육학 교수 1인, 산과병동 간호사 1인에게 자문한 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공지된 준비활동 내용을 자율적으로 학 습한 후 개인 준비도 검사(individual readiness assurance test; IRAT)는 시험지를 주고 10분간 각자 풀게 하고 제출한 후 조별 준비도 검사(group readiness assurance test; GRAT)를 실시하였다. 조별 준비도 검사는 팀당 3∼4명을 무작위로 배정하 여 팀 구성원이 토론을 통하여 동일한 문제를 함께 20분간 풀면서 최선의 답안을 찾게 하였다. 이 과정 에서 학생들은 각자 자신이 선택했던 답안을 팀원들 과 공유하고 자신과 답안이 다른 경우 왜 그 답안을 선택했었는지 의견을 교환하였다. 팀별 이의제기는 최종답안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각자가 학습한 내용 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들어 의견이 다른 팀원을 설 득하였다. 만약 자신이 잘못 이해하고 있었던 부분 이 있었다면 이를 교정하여 팀 내에서 최선의 답을 선택한 후 정답지를 제출하였다. 피드백 제시는 교 수자가 50분간 문제풀이 과정을 통해 핵심내용을 정 리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준비활동에 대한 주제를 공지받고 자율적으로 학습하였다. 그 후 실습실에서 사전조사 및 브리핑을 받은 후 산욕기 간호에 대한 강의식 수 업에 참여하였다. 교수자는 두 집단에게 브리핑을 통하여 실습 모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및 환경 등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후 연구자는 두 집단에게 동일한 산욕기 간호 시나리오를 제공하였고 학생들은 시나리오를 분석 하여 개별적으로 우선순위의 간호문제를 생각해 보 도록 한 후 팀원이 함께 시나리오 분석을 하도록 했 다. 의견교환을 통해 가장 우선순위의 간호문제를 도출하고 상세한 간호수행계획을 세우도록 하였다. 학생들이 도출한 간호계획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 시하도록 하였으며, 교재 및 인터넷 검색 등을 활용 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대 상자의 간호문제를 확인 후 시나리오 구동을 위한 시나리오 흐름도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실 험군과 동일한 산욕기 간호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배 정된 팀 구성원끼리 토의를 하여 적절한 간호과정을 도출하게 하여 시나리오 흐름도를 작성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시나리오 흐름도(단계별 상태 와 대상자 반응에 대한 구체적 간호수행을 계획 및 이론적 근거)를 작성한 후 2시간씩 2회 총 4시간 동 안 자율실습을 하여 작성한 시나리오와 간호술기(활 력징후 측정, 혈당 측정, 레오폴드 촉진, 비수축 검 사, 복부둘레측정)를 연습하였다.

    5) 평가단계

    평가단계는 시나리오 구동 및 디브리핑, 사후조 사, 학업성취도 평가가 포함된다. 시나리오 구동은 2주 차에 진행하였으며, 절차는 20분 동안 시뮬레이 션을 구동하는 동안 교수자는 체크리스트에 따라 평 가하였다.

    교수자의 평가 즉시 상황에 따라 간호를 어떠한 근거로 수행을 했으며, 결과를 확인하고 적절하지 못했던 간호수행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디브리핑을 20분간 시행하였다. 학생들은 교수자 디브리핑 이후 시나리오 평가 시 촬영했던 동영상을 바탕으로 자가 디브리핑을 하면서 성찰일 지를 작성하였다.

    사후조사는 ‘정상 산욕기 간호’ 시뮬레이션 평가 가 종료된 직후 시행하였으며, 연구보조원이 일반적 특성, 자기주도학습 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 만족도에 대한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였다. 학업 성취도는 시뮬레이션 실습이 종료 3일 후 시행하였 고, 학생들에게 20분 동안 문제를 풀어 정답을 제출 하도록 하였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D대학교의 생명윤리위원회(No. DHIRB –2023-03-0004)의 승인 후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해 연구에 참여 동의를 구하는 절차에 강제나 불이익이 없도록 하였으며, 언제든지 본인이 원하는 경우 그만둘 수 있음을 알리고 설문 자료는 연구목적으로 사용됨을 설명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 료는 암호화하였으며 잠금장치가 있는 사물함에 보관 하여 연구자 외에 자료의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연구대 상자의 정보를 보호하였다. 연구종료 후 참여자에게 소정의 사례품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팀 기반 학습에 사용된 문제지와 유인물을 제공하였다.

    6. 자료 분석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은 x²-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정규 분포 Kolmogorov-Smirnov Test를 통하여 정규성 을 충족하였다. 집단 내 사전-사후 자기주도학습 능 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차이는 paired t-test, 집단 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차이는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SPSS/WIN statistics 21.0 program이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 특성 및 동질성 검정

    본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61명, 대조군 67명이었 다. 실험군의 평균 연령은 26.25세, 대조군은 25.57 세이고, 성별분포는 여학생이 실험군 47명(77.0%), 대조군 56명(83.6%)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전 학기 학점은 두 군 모두 3.50∼3.99점이 각각 22명 (47.8%)과 28명(51.9%)으로 가장 많았다(Table 1).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정결과는 Table 1과 같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연령(p=.626), 성별(p=.239), 학점(p=.598), 전공 만족도(p=.854), 임상실습 만 족도(p=.254)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확인되었다.

    검정변수 중에서 학업성취도는 팀 기반학습의 사 전 준비도 확인시험과 상관관계가 있고(Nieder, Parmelee, Stolfi, & Hudes, 2005), 본 연구의 학 업성취도 문항과 사전 준비도 확인시험 내용이 유사 하므로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전조사를 할 경우 두 집단 모두에서 사후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 다. 따라서 사전 동질성 검사에서 학업성취도를 제 외하였다. 사전조사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p=.998), 협력적 자기효능감(p=.465)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 가 없어 두 집단의 동질성이 확인되었다.

    2.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산욕기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검증

    1) 가설 1

    자기주도학습 능력에서 실험군은 시뮬레이션 실습 전 3.63±0.47점, 실습 후 3.73±0.50점으로 평균 0.10점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시뮬레이션 실습 전 3.62±0.41점, 실습 후 3.68±0.45점으로 평균 0.06 점 증가하였으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0.80, p=.427). 따라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1은 기각되었다(Table 2).

    2) 가설 2

    협력적 자기효능감에서 실험군은 시뮬레이션 실습 전 3.82±0.54점, 실습 후 3.86±0.54점으로 평균 0.04점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시뮬레이션 실습 전 3.88±0.49점, 실습 후 3.95±0.54점으로 평균 0.07 점 증가하였으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0.39, p=.694). 따라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2는 기각되었다(Table 2).

    3) 가설 3

    학업성취도에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후 실험군 8.41±1.76점, 대조군 7.32±1.76점으로 실험군의 점수가 높았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3.48, p=.001). 따라서 가설 3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팀 기반학 습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Table 2).

    4) 가설 4

    학습만족도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후 실험군 4.20±0.76점, 대조군 3.79점±0.61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38, p=.001). 따라서 가설 4 ‘시 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 과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학습만족 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able 2).

    Ⅳ. 논 의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위해 팀 기반학습을 적 용하여 산욕기 간호 사례를 중심으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ee, Cho, Yang, Roh와 Lee (2009), Ko와 Kim (2017)은 문제 해결학습 또는 팀 기반학습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없었다고 보고해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국내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에서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없다고 보고된 바 있다(Kim et al., 2016). 반면, 간호학 교과목에 사용된 팀 기반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연구(Park, 2023)에서는 자기주도학습 능 력의 긍정적 측면을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가 상이하므 로 이에 대한 요인을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실습수업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여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측정한 연구가 드물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본 연구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 차이가 없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자기 주도학습 능력은 단기간 내에 익숙해지기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Ko & Kim, 2017). 그리고 시뮬레이션 교과목의 특성상 학생들이 학습의 참여여부와 참여 시기 등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없었으며, 교육과 정에 따라 시나리오를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으로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유의 한 향상을 보이지 못했던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과 달리 실험군에서만 중재 전·후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Choi와 Park (2014)의 연구에서 성인간호학 과목에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여 단일군 전후 실험을 한 결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증가한 것과 유사하다 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과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대조군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은 중재 전 ‧ 후 차이가 없었으나, 팀 기반학습을 적 용한 실험군은 차이가 있었음을 볼 때 팀 기반학습 에 참여한 학생들이 좀 더 능동적이며, 적극적 태도 로 참여하였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 조군 모두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상승하였으나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Park (2019)의 연구결과와 비슷하다. Park (2019)은 피 부미용과 실습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결과 협력 적 자기효능감이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했다. 본 연 구에서 사전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실험군 3.82점, 대조군 3.88점이었다. 동일한 연구도구를 사용하여 3학년을 대상으로 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Suh & Han, 2022)을 운영한 연구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 점수가 4.06점으로 보고되었고, 플립러닝에서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연구(Lee & Han, 2018)에서는 협력적 자기효능감 점수가 3.73점으로 나타나 본 연 구와 유사하게 협력적 자기효능감 점수가 중간 정도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연구대상자가 3학년 임상실습을 통하여 팀 협력에 대한 역량이 이미 향 상 되어져 있기 때문이라 유추할 수 있다. Suh와 Han (2022)의 연구에 따르면 임상실습이 간호대학 생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 하고 있다. 이는 임상실습이 주로 팀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팀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이 상승된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협력적 자기효능 감이 유의한 차이가 없는 이유는 시뮬레이션 수업의 특성상 대조군에서도 학생들이 팀별 상호협동적인 교류가 있었기 때문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시뮬레이션 실습 시에는 임상현장을 재 현한 상황에서 학생들이 어떠한 간호중재를 하더라 도 대상자에게 해를 주지 않는 안전한 환경으로 생 각하여, 서로 협력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한 것이 두 집단 모두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사후에 증가한 것으 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의 학업성취도는 8.41점이며, 대조군은 7.32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수업형태, 몰입, 동료평가 활동, 대인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등과 관련이 있다(Jang et al., 2020;Kim, Kim, & Lee, 2019;Roh et al., 2012). Roh 등(2012)은 강의식 수업에 비해 팀 기 반학습의 학업성취도가 높아졌으므로 간호학 수업 에 팀 기반학습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시뮬레 이션 수업에 팀 기반학습의 접목은 임상에서 접하기 어려운 산욕기 간호와 복잡한 사례의 시나리오 등의 간호문제를 학생들이 함께 해결하기 위해 사고의 과 정을 공유하며 임상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 이다. Jang 등(2020)은 심정지 시뮬레이션을 활용 한 팀 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역량을 향상시 켰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시뮬레 이션 교육은 대부분 학습자 조직의 기본구조를 팀으 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팀 기반학습은 선행학습, 준비도 확인시험, 학습내용 적용단계를 거치면서 개 인과 팀의 성과를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과 약간 차이가 있다(Jang et al., 2020).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의 학습만족도는 4.20점, 대조군 3.79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통증관리수업을 팀 기반학습 으로 적용한 연구결과(Park et al., 2016) 학습만족 도가 3.73점, 의과대학생에게 팀 기반학습을 적용 한 연구(Cho, 2014)에서 학습만족도는 3.81점으로 보고하고 있었으며, 학업성취도 및 지식도 높은 점 수를 보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팀 기반학습 을 적용하였을 때 단순 사전학습으로 끝나지 않고 개인수행 평가와 팀 평가, 팀별 이의제기, 피드백 제 시 과정을 통해 사전학습 내용에 대한 다양한 지식 을 접하면서 팀워크가 강화되고 시나리오 구동까지 연결되면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시뮬 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실습에 팀 기반학습 을 적용하면서 참여자의 능동적인 지식습득과 아울러 임상현장과 유사한 간호사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증가시켰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포함되었던 팀 기반학습 설계 를 통해 구성원들이 팀 내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과 정을 거치면서 개인학습은 물론 팀 협동학습을 통한 개인학습의 보완과 반복학습이 이루어졌고 이후 시뮬 레이션 실습 및 디브리핑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와 만족도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 지역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결과를 일 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팀 기반학습 적용 직 후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장기적인 효과를 측정하지 못한 점이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여 산욕기 간호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 주도 학습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팀 기반 학습 연계를 통해 학생들은 팀 내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과정을 거치며, 팀 협동학습을 통해 개인 학습에서의 부족한 부분의 보완이 이루어 졌다. 연 구결과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산욕기 간호 시뮬레이 션 실습 교육은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를 향상 시 키는 교수학습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 실습에서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간호술기에 대한 역 량을 강화 시키는 방법으로 산욕기 대상자 뿐만 아 니라 다양한 사례의 팀 기반학습 시뮬레이션 실습교 육을 개발·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연구에서 산욕기 대상자뿐만 아니라 분만간호, 산전간호 등 여러 사례의 팀 기반학습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개 발·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둘째,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학 생들의 학습능력신장에 중요한 변수이므로 후속 연 구에서 학습자의 개인 특성과 장기적인 결과를 확인 할 있는 실험설계를 통하여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팀 기반학습에 배정한 시간과 강의법 배정시 간이 달랐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양측에 동일한 시간 을 배정할 수 있는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교육효과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 으로 임상실습이 어려운 전공에 팀 기반학습을 적용 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Figure

    JKSSN-11-2-43_F1.gif
    Research design and process

    Table

    Homogeneity Te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N=128)
    Exp.=experience group; Cont.=control group; *Fisher’s Exact test
    Difference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reatment (N=128)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Reference

    1. Alavi, S. B. , & McCormick, J. (2008). The roles of perceived task interdependence and group members' interdependence in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 group contex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3), 375-393.
    2. Cant, R. P. , & Cooper, S. J. (2010).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 3-15.
    3. Cho, E. J. (2014). Effects of four team-based high-risk neonatal nursing simulation methods comprising peer turnover o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erceived outcomes: Clinical judgment, core skill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9(2), 13-31.
    4. Choi, K. O. , & Park, Y. M. (2014).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2), 154-159.
    5. Harden, R. M. (2011). Looking back to the future: A message for a new generation of medical educators. Medical Education, 45(8), 777-784.
    6. Jang, G. J. , Lee, E. Y. , & Kim, H. S. (2020). Relationship of a team based learning using cardiac arrest simulation and learning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Comparison of high self-efficacy group with low self-efficacy group. Journal of Health Information and Statistics, 45(2), 208-215.
    7. Kim, D. H. , Lee, Y. , Hwang, M. S. , Park, J. H. , Kim, H. S. , & Cha, H. G. (2012).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499-509.
    8. Kim, H. , Koo, B. , Kim, S. , Kim, H. , Noh, K. , Moon, S. H. et al. (2023). Maternity & woman’s health nursing Ⅱ (6th ed.). Seoul: Hyunmoon.
    9. Kim, J. , Kim, H. O. , & Lee, M. H. (2019).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academic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5(2), 205-213.
    10. Kim, M. N. , Chung, C. H. I. , & Kim, Y. A. (2016).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delivery nurs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3), 297-309.
    11. Kim, S. Y. , & Kang, M. H.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perceived usefulness, flow, perceived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2(1), 85-110.
    12. Kim, S. & Ham, Y. S.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08-319.
    13. Ko, E. , & Kim, H. Y. (2017).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combined team-bas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nursing performance confidence and team effica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1), 39-50.
    14. Lee, E. K. , & Ji, E. J. (2016).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attitude towar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2), 126-135.
    15. Lee, N. Y. , & Han, J. Y. (2018).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satisfaction on flipped classroom and teacher-centered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8), 253-267.
    16. Lee, S. H. (2018). Effect of practical delivery-nursing simulation education on team-based learning on the nursi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4(2), 150-162.
    17. Lee, S. J. , Chang, Y. K. , Lee, H. N. , & Park, K. Y.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8. Lee, W. S. , Cho, K. C. , Yang, S. H. , Roh, Y. S. , & Lee, G. Y.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64-72.
    19. Michaelsen, L. K. , Knight, A. B. , & Fink, L. D. (2023). Team-based learning: A trans 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3rd ed.). New York: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4, December 22). Student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learning. Retrieved September 30, 2022, from https://www.nln.org/docs/default-source/uploadedfiles/default-document-library/instrument-2-satisfaction-and-self-confidence-in-learning.pdf?sfvrsn=6ef5d60d_0
    21. Nieder, G. L. , Parmelee, D. X. , Stolfi, A. , & Hudes, P. D. (2005). Team-based learning in a medical gross anatomy and embryology course. Clinical Anatomy, 18(1), 56-63.
    22. Park, H. (2023). The effects of team-based on Korean nursing students: A meta-analysi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3(10), 459-471.
    23. Park, J. A. , & Hong, J. Y. (2016).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go 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 342-351.
    24. Park, J. Y. (2019).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team based learning (TBL) for students majoring in skin care-Focus on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cooperative self 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3(7), 469-477.
    25. Park, K. O. , Song, Y. S. , & Kim, J. I. (2016). Team-based learning for pain management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1), 33-40.
    26. Park, S. A. (2022). Scenario template: Nursing care for the patient with vaginal bleeding after delivery.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1-14.
    27. Roh, Y. S. , Ryoo, E. N. , Choi, D. W. , Baek, S. S. , & Kim, S. S. (2012).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239-247.
    28. Song, Y. A. (2014).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by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self-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nd nursing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4), 246-254.
    29. Suh, Y. , & Han, E. K. (2022).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transfer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i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based in blended learning.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2), 61-70.
    30. Yoo, J. H. (2015).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clinical competency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Based on Jeffries’s simulatio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