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1 No.2 pp.57-74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3.11.2.57

Development of Integrated Simulation Modu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with Hypertensive Crisis: Pilot Test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를 위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 개발: 예비조사

Young Jin Kim1, Kyoung Ja Moon2*
1Doctoral Student, College of Nursing,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김영진1, 문경자2*
1계명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생
2계명대학교 간호대학 부교수

본 연구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R1I1A3A01060561).


*Corresponding Author: Moon, Kyoung Ja
College of Nursing, Keimyung University 1095 Dalgubeol-daero, Dalseo-gu, Daegu 42601, Korea
Tel: +82-53-258-7663, Fax: +82-53-258-7616, E-mail: kjmoon2150@kmu.ac.kr
20230922 20231027 20231129

Abstract


Purpose: The study aim was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s of integrated simulation pertaining to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sing a hypertensive crisis module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pilot study with seve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used a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Integrated simulation pertaining to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sing a hypertensive crisis module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xpert meetings with subject professors, a literature review, a preliminary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and measur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clinical judgment, self-efficacy, simulation design, and simulation effectiveness. Qualitative contents were analyz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lass desig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clinical judgment, and self-efficacy after applying the integrated simulation module.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of study participants,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were established: “Integrating knowledge and applying it to practice,” “Nursing in unexpected situations,” “Challenged to be an expert,” and “Ensuring receptive and psychological safety in simulation practice.” Conclusion: An integrated simulation module was developed to integrate the nursing problems associated with individual subjects beyond the scope of one subject, and the effect was verified by applying it.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고혈압성 위기는 혈압이 180/120mmHg보다 높은 경우로 대부분 고혈압을 진단받은 환자가 항고혈압제 를 복용하지 않거나 교감신경 흥분제로 인해 발생하 며, 급격한 혈압 상승은 장기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Davis, 2023;Sharma, Mathews, & Newton, 2021). 또한 조현병과 같은 중증 정신질환자들의 만성 신체적 질환은 조기 사망률과 직접적인 관계가 더 많지만 정신과적인 질환에 가려져 이로 인한 위험을 가중시킨다(Halstead et al., 2023). 이는, 조현병 환자들이 환청, 망상, 둔마된 정동, 무쾌감증 등의 증상이 있어 사고, 지각, 감정, 행동, 판단 등에 영향을 받고, 심한 경우 약물복용 등과 같은 자가 간호에도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Seo & Kim, 2020;Halstead, Siskind, & Warren, 2023).

    따라서 고혈압성 위기가 동반된 조현병 환자의 경 우, 간호사들이 면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질병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을 조기에 인식하고 적절하게 대응 하는 것이 중요하다(Davis, 2023). 그러나 간호사 들에게 교육을 통하여 이러한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 에 어려움이 있다(Halstead et al., 2023).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간호 교육 프로 그램들이 구현되어왔으며, 시뮬레이션은 그 중 하나 로 현재 간호교육에 빠르게 확산되어 간호학생과 간 호사에게 필요한 임상 기술과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Lee et al., 2018;Li, Au, Tong, Ng, & Wang, 2022). 뿐만 아니라, 시뮬레이션 기 반 교육은 간호학생들이 환자 안전에 대한 위협 없 이 보호된 환경에서 고위험의 정제된 시나리오를 연 습할 수 있다(Tamilselvan, Chua, Chew & Devi, 2023).

    또한 선행연구에서 조현병이나 고혈압에 관련된 주제의 시뮬레이션 교육에는 주로 단일 교과목으로 시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먼저 성인간호학의 고혈압 에 관련된 주제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들에게 응급 상황대응(Im, 2022), 응급기도관리(Lee & Kim, 2019), 급성 중환자의 다중 치료(Chang, Hsieh, Feng, Shang & Tsai, 2022) 등에 관한 것이었다. 또한 정신간호학의 조현병에 관련된 주제의 연구에 서는 표준화된 환자를 활용하여 간호학생들에게 시 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하였다(Seo & Kim, 2020;Park & Kweon, 2012). 이러한 연구들은 교과목별 학습 목표나 범위(scope)를 바탕으로 개발한 것으 로, 교과목을 통합하여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 기 위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에 관련된 연구는 찾아 보기 힘들었다(Lee, 2023;Kim & Ham, 2015;Tamilselvan et al., 2023). 그러나 간호사는 실제 임상상황에서 다양한 건강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간호할 수 있는 전문적 간호 역량이 필요 하고 이를 갖추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하 다(Lee, 2023;Kim & Ham, 2015;Tamilselvan et al., 2023;Yun, Kang., & Son, 2021). 이를 위해서는 임상상황과 최대한 유사한 사례를 기반으 로 다양한 간호영역이 통합된 시뮬레이션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Lee, 2023;Kim & Ham, 2015;Tamilselvan et al., 2023;Yun et al., 20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간호의 고혈압성 위기 와 정신간호 영역의 조현병을 통합한 시뮬레이션 교 육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된 고혈 압성 위기가 동반된 조현병 환자에 대한 통합시뮬레 이션 모듈을 간호학생들의 수업에 적용하기에 앞서 그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위한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 한 조현병 환자 간호를 위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 개발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한 예비연구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 병 환자 간호를 위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을 개발하 고 이를 간호학생에게 적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임상판단, 학습자기효능감, 시뮬레 이션 설계와 간호학생들의 학습경험을 파악하여 모 듈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 시나리오를 적용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을 개 발하고 이를 간호학생에게 적용 후 모듈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으로 단일군 전후 설계 (One group pre-post design)와 포커스 인터뷰 (Focus interview)로 진행하였다. 연구는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 Evaluation)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의 5단계를 따랐다. 또한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를 위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은 5 인의 전문가로 구성된 팀은 모듈을 개발하는 분석 단계에서부터 개발단계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였다.

    • 1) 분석 : 전문가팀은 간호학생의 교육요구도 및 통합시뮬레이션 모듈 개발에 포함될 요소들을 선행 문헌 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팀은 회의를 통하여 간호학생들의 교육환경을 고려하여 현재 배우고 있는 전공과목인 성인간호학, 정신간호 학, 간호관리학에서 학습목표와 학습주제를 선정하 였다. 그 결과, 성인간호학의 고혈압성 위기, 정신간 호학의 조현병과 간호관리학의 의사소통이 선정되 었다. 또한 임상상황의 환자는 다양한 건강문제가 함께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선정된 주제를 통합한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를 위한 간호로 최종 선정하였다.

    • 2) 설계 : 분석 단계에서 수집된 기초 자료를 토대 로 학습목표를 정하고 교수법은 PBL을 적용하기로 논의한 후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 호를 위한 통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학습목표는 고혈압성 위기가 동반된 조현병에 관한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을 이해하고 신체적 정신적 건 강문제를 발견하는 것, 고혈압위기의 환자간호와 조 현병 환자간호를 이해하고 발견한 건강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수행하는 것, 치료를 거부하 는 환자와 의료진, 의료진과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 에 효과적인 방법을 이해하고 수행하는 것이다. 간 호학생들은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에 참여하는 동안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과정, 임상판단 및 학습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간호학생 들의 학습성과를 평가도구와 설계한 프로그램 타당 성을 평가할 평가도구를 선정하고, 고충실도 시뮬레 이터를 활용하기로 하였다.

    • 3) 개발 : 교안 구성을 위하여 첫째, PBL패키지 를 개발하였다. 패키지에는 사전 지식으로 조현병과 고혈압성 위기에 대한 질병에 관한 지식, 간호, 치료 적 의사소통, 능동적 경청과 공감 등을 제공하고, 임 상상황을 반영하여 개발된 시나리오를 통해 간호학 생은 이를 분석하고 대상자의 건강문제파악, 간호계 획수립, 우선순위선정을 하였다. 시나리오는 응급실 에 내원한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황을 표현하였다. 둘째, 시뮬레이션 구동에 필요한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이는 실제 환자의 차트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PBL 패키지와 동일한 상황이다. 시나리오에는 고혈 압성 위기, 조현병의 환청과 망상,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학생은 신 체사정을 통하여 환자의 건강문제확인, 건강요구확 인, 통증사정, 활력징후를 측정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간호학생들은 약물복용을 거부하는 환자에게 전문적인 지식을 근거로 치료적 의사소통 방법인 경 청과 반영을 실행하면 환자가 약물 복용에 동의하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의료진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 통을 위해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SBAR)을 활용하고, 거부하는 환자를 대할 때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연습하고, 능 숙한 간호수행을 위해 활력징후, 경구투여, 근육주 사 및 정맥주사를 위한 간호술기 연습을 포함하였으 며, 모듈의 구체적인 내용은 PBL 패키지와 시뮬레 이션으로 시나리오 개요, 시나리오 흐름도, 시뮬레 이션 평가, 디브리핑, 사전지식에 관한 학습 자료로 구성하였다. 성인간호학 전공교수 1인, 정신간호학 교수 1인, 간호관리학 교수 1인, 5년 이상의 경력간 호사로 내과병동 근무 간호사 1인과 정신건강간호사 1인으로 구성된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하여 모듈에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고 구성하였다. 또한 성인간호 학 전공교수 1인과 연구자는 전문가들에게 모듈의 내용 및 구성에 관하여 회의와 이메일을 통해 개방 된 형태로 피드백을 받고 의견을 취합하고 수정한 다음 이를 다시 전문가들에게 보내어 검토하고 수정 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이 과정에서 내부전문가들 은 PBL 패키지에서 포함할 교과목의 학습분량, 학 습범위, 보충자료 종류와 범위, 시나리오 상에서 환 자와 관련된 설정인 중증도, 증상, 기저질환 종류, 고혈압 위기와 관련된 합병증 유무, 환자의 공격성 정도, 대사 등과 간호학생의 수준과 관련된 간호 술 기 중 경구투약, 근육주사, 정맥주사, 혈압측정 등과 같은 핵심술기의 종류와 포함하는 정도, 환자의 신 체적, 정신적 상태를 사정하기 위해 간호학생들이 사용할 도구와 기록 등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고 그 에 따라 수정하였다. 또한 전문가팀원 모두로부터 더 이상 수정할 사항이 없다는 피드백을 받을 때까 지 수차례 반복하여 최종 개발하였다. 또한 시나리 오의 흐름, 시뮬레이션 운영시간, 실습실 환경, 준비 물품 및 실습동선 등에 대해서도 점검하였다.

    • 4) 실행 : 간호학생들을 3-4명으로 한 팀을 구성 한 후 2시간 정도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 PBL패키지를 운영하였다. 고혈압성 위기 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를 간호하기 위한 지식, 시나 리오 등을 제시하고 팀학습, 팀토론를 진행하여 간 호문제, 간호 계획, 간호의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 게 하였다. 시뮬레이션 단계에서는 사전브리핑 단계 에서 시뮬레이션 실습실에서 시뮬레이션 운영에 대 한 오리엔테이션 및 시나리오 개요를 제공하였다. 시뮬레이션 운영은 1팀에 3-4명씩 2개의 팀으로 시 범운영하였고, SimMan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임 상상황에 따른 간호문제를 사정하고 간호중재를 수 행하였다. 이때 교수자는 조정실에서 고혈압성 위기 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를 연기하고 간호학생들의 실 습을 모니터하면서 필요 시 상황을 조작하였다. 디 브리핑 단계에서 자가평가, 자기성찰과 디브리핑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운영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은 교수자가 시뮬레이션을 하기 전, 간호학생들에게 시뮬레이션 실습실의 구조, 실습을 위해 준비되어 있는 물품, 모니터와 수업의 진행절차 등을 설명하 였고, 학습목표와 수행해야 할 간호를 숙지할 수 있 도록 교육하였다. 또한 교수자는 간호학생들에게 학 습자료, 추가자료 등을 제공하고 이를 기초로 간호 학생들이 시뮬레이션 실습을 하도록 하였다. 시뮬레 이션 설정 상황은 응급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가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를 간호하는 것으로 3-4명의 간호학생이 함께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을 시행하였다. 간호학생들은 시뮬레이션 룸에 서 시뮬레이션을 시행하고 종료되면, 디브리핑을 하 기 위한 장소에 모였다. 디브리핑에는 교수자, 간호 학생이 함께 참여하여 시나리오 상황, 학생들이 시 뮬레이션에서 느낀 점 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교 수자는 간호학생들이 잘했다고 생각하는 점, 당황스 러웠던 점, 아쉬웠던 점, 앞으로 실제 상황에서 어떻 게 대처할 것인가 등에 대하여 토론하여 간호학생들 의 이해한 정도를 파악하고 부족한 부분은 추가로 교육하였다.

    • 5) 평가: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통합 시뮬레이션 모듈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모듈을 참여한 간호학생들에게 시작 전과 후에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과정, 임상판단, 학습자기효능감을 측 정하고, 모듈 종료 후에 시뮬레이션 설계, 시뮬레이션 효과성을 측정과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의 경험에 관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다(Figure 1).

    2. 연구 대상

    본 연구는 D시 일 대학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20일부터 2023년 3월 28일까 지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성인간호학에서 심혈 관계 질환 중 고혈압, 정신간호학 수업에서 조현병의 이론 수업을 수강한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며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에 참 여와 참여 후 1회 인터뷰에 참여를 수락한 7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대상자 선정 과정은 보통의 예비연구는 기본적으로 가설검정이 주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보 통 표본크기를 계산하지는 않으며(In, 2017), 포커스 그룹 대상자는 모듈 참여 후 인터뷰 대상자로써 참가 자를 깊게 이해하고 통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6∼12 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Bowling, 2014)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최종 7명으 로 진행하였다.

    3. 연구도구

    1) 비판적 사고성향

    Yoon (2004)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 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27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 다.’ 5점까지 척도로 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비 판적 사고성향이 강함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발 당 시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84이었으며, 본 연구 에서는 Cronbach's α는 .87이었다.

    2) 문제해결과정

    Lee, Park과 Choi (2008)의 성인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30개의 문항 으로 하부요인은 문제 명료화(6문항), 해결방안 모색 (6문항), 의사결정(6문항), 해결책 수행(6문항), 평가 및 반영(6문항) 등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의 측정은 ‘아주 드물게’ 1점에서 ‘매우 자주’ 5점으 로 Likert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해결 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발 당시 신뢰 도는 Cronbach's α는 .9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5이었다.

    3) 임상판단

    Lasater (2007)가 개발한 LCJR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를 Shim & Shin (2015)이 번역 및 역번역하여 타당도를 검증받은 LCJR의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4가지 영역과 11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은 초보단계 1점, 개발단 계 2점, 성취단계 3점, 모범단계 4점으로 4개 척도로 배점 처리되며 총점의 범위는 11∼4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적 판단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한국어판 개발 당시 LCJR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84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4이었다.

    4) 학습자기효능감

    간호학생의 학습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Ayres (2005)가 개발하고 Park과 Kweon (2012) 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10문항 의 7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 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하며 총점의 가 능범위는 최저 10점에서 최고 70점이다. 한국어판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94이 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는 .94이었다.

    5) 시뮬레이션 설계

    통합 시뮬레이션 모듈로 학습한 간호학생을 대상 으로 시뮬레이션 수업 설계가 어떠했는지를 파악하 기 위해 National League for Nursing (NLN) (2005)가 개발한 학습자용 시뮬레이션 설계 도구 SDS (simulation design scale: student version) 를 Kang (2020)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5가지 영역과 총 20가지 항목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며 ‘목표·정보’ 5문항, ‘지지’ 4문항, ‘문제해결’ 5문항, ‘피드백’ 4문항, ‘현실성’ 2문항으 로 되어 있다. 간호학생에게 각 하위영역의 특정 내 용이 시뮬레이션 수업 설계에 존재하는지 묻는 것으 로 점수가 높을수록 특정 기능이 존재하여 시뮬레이 션 실습의 설계가 잘 되었다는 것에 동의함을 의미 한다. 개발 당시 Cronbach's α는 .92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9로 나타났다.

    6) 시뮬레이션 효과성

    통합 시뮬레이션 모듈로 학습한 간호학생을 대상 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가 어떠했는지를 확인하 기 위해 Leighton, Revert, Mudar과 Macintosh (2015)가 수정한 SET-M (Simulation Effectiveness Tool Modified)를 Ryu (2020)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 하였다. 본 도구는 총 19문항의 3점 Likert 척도로 네 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며 ‘사전브리핑’ 2문항, ‘학습’ 6문항, ‘자신감’ 6문항, ‘브리핑’ 5문항이다. 도 구는 총 19문항의 3점 Likert척도로 구성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시뮬레이션에 대한 효과성이 높음을 의미하 며 총점의 가능범위는 최저 19점에서 최고 57점이다. 한국어판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94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4 이었다.

    4. 포커스 그룹 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 질문은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에 참여한 학습 경험은 어떠하였습니까?’ 이었다. 둘째, 주요 질문 은 ‘시뮬레이션 상황과 실제 임상상황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을 경험하였습니까?’, ‘통합 시뮬레이션 모듈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학 습효과가 있었다고 생각합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 니까?’,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을 통해 무엇을 학습하 였습니까?’,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에 참여하면서 배 운 것 중에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무엇입니까?’와 보조질문으로는 ‘경험하면서 아쉬운 점은 어떠한 것 입니까?’이었다. 셋째, 마무리질문은 ‘앞으로 시뮬 레이션을 경험한다면 보완해야 할 것은 어떠한 것입 니까?’, 등의 문항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5. 자료수집방법

    모듈에 참여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 성,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임상판단 및 학 습자기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참여 전 1회와 참여 직후 1회에 측정하였다. 또한 시 뮬레이션 설계와 시뮬레이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 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참여 직후에 1회 측정한 자료 를 통해 평가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모듈 참 여가 종료된 후 시뮬레이션 설계 및 효과성, 참여소 감 등에 관한 준비된 인터뷰 개방된 질문을 진행자 가 제시하고 참여자가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토론하 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참여자 전원인 7명 이 참석하였으며 총 60분 동안 포커스 인터뷰를 1회 시행하였다.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이 종료된 후 참여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재학 중인 교내 강의실에서 이루어졌 다. 인터뷰는 진행자와 참여자의 자기소개에 이어 인터뷰 내용의 녹취 및 녹음, 익명성 보장, 연구 결 과는 연구목적으로만 이용됨, 대상자의 자발적 동의 에 의해 인터뷰가 이루어짐, 인터뷰를 녹음한 파일 은 연구자의 컴퓨터에 암호를 설정하여 보관하였다 가 분석이 완료되면 폐기할 것임을 설명한 후 이루 어졌다. 연구 주제와 관련된 본격적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질문은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의 효과성 및 만 족도, 참여 소감 등으로 구성된 개방적 질문을 통해 반구조화된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자는 경청하고 참 여자들이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반응 및 격 려하였다. 인터뷰의 진행은 연구자 한 사람이 담당 하였으며, 참여자의 인터뷰 내용을 녹음하였다. 자 료가 포화될 때까지 인터뷰가 진행되었으며 인터뷰 종료 후에 연구자는 인터뷰 내용에 대한 주요 정보 를 검토하였다. 인터뷰 내용의 전사는 인터뷰 당시 의 주요 정보와 생생한 느낌을 잊지 않기 위해 인터 뷰 당일에 시작하여 3일 이내에 완료하였다.

    6. 자료분석방법

    통계 프로그램(SPSS 23.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시뮬레이션 수업 설계와 시뮬레이션 효과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 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임상판단과 학습자기효능감의 사전 -사후 차이검증은 Wilcox signed ranks test(Z) 연구대상자가 7명으로 집단이 30명 이하이므로 비 모수 통계량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Han & Lee, 2018).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 통합시 뮬레이션 모듈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수집된 자 료는 녹취록으로 작성한 후, 주요 개념과 개념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심 주제를 도출하는 주제분석법 (thematic analysis)을 수행하였다((Hsieh & Shannon, 2005). 연구자는 참여자의 입장에서 간호 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면서 인터뷰 녹취 록을 반복하여 읽고 인터뷰 당시의 연구자의 기록을 검토하였다. 녹취록을 주의 깊게 읽으면서 의미 있는 단어와 문장을 추출하여 코드화하였고, 유사한 내용 을 묶어 주제를 분류하고 최종적으로 주제를 도출하 였다. 질적 연구의 타당도는 Sandelowski (1986)가 제시한 엄밀성(rigor)을 확보하기 위해서 신빙성, 적 합성, 확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신빙성(credibility) 은 수집한 질적 자료가 대상자가 진술한 내용인가에 관한 것으로 녹취한 내용을 요약하여 참여자에게 본 인이 이야기한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적합 성(fittingness)은 연구결과가 참여자와 비슷한 환경 에 있는 사람들에게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인지에 관한 것으로 다른 간호학생의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와 비 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확인 가능성(confirmability) 은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중립성을 갖고 해당 연 구방법론에 충실했는가에 관한 것으로 인터뷰 당시 연구노트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7.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속한 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 로부터 연구승인(IRB No. 40525-202211-HDR- 071-03)을 받은 후 시작하였다. 참여자들이 연구자 가 소속한 학교의 간호학생이므로, 자발적으로 연구 에 참여함에 있어 이해관계가 미치는 영향이 없게 하기 위해 제 3자인 간호학생를 통하여 대상자를 모 집하고 해당 학년의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연구자가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기 전 참여자에게 본 연구는 예비연구이며 결과에 따라서는 개발된 모 듈을 정규 수업에 적용하거나 대단위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주 연구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렸다. 또한 연구의 목적과 방법, 연구 진행과정, 익명성 보장, 철회 가능성과 인터뷰 녹음 및 연구목 적에 대한 자료 활용, 연구 종료 후 모든 자료에 대 한 폐기 등을 설명하고,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자에게만 서면 동의를 받았다. 모든 참여자들에게 연구 참여에 대한 답례로 소정의 사례품을 제공하였 다. 설문지에는 어떤 개인정보도 기재하는 난이 없 으며 일련번호만을 부여함으로써 연구 참여자의 익 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를 위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 개발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 통합모 듈을 개발하기 위해 성인간호학 교과목 담당교수 1 인, 정신간호학 교과목 담당교수 1인, 간호관리학 교 과목 담당교수 1인, 정신건강의학과병동 근무간호 사, 내과계 병동 경력 간호사로 전문가 집단을 구성 하였다. 구성된 전문가들은 문헌고찰과 회의를 거쳐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의 콘텐츠로는 성인간호학의 고 혈압성 위기, 정신간호학의 조현병, 간호관리학에서 의사소통을 선정하였다. 교과목별 선정 내용은 성인 간호학의 고혈압성 위기로 인한 높은 혈압과 두통, 정신간호학의 조현병으로 인한 환청과 망상, 간호관 리학의 의사소통으로 처방된 약물 투여를 거부하는 환자와의 의사소통과 처방된 약물 투여를 거부하는 환자에 대해 의료진간의 의사소통을 포함한 내용이 었다. 개발된 모듈의 외부 타당도 검증은 따로 받지 않았으나 모듈 개발 과정에서 전문가들은 서로 의견 을 조율하고 합의하는 과정을 충분히 가졌고, 이의 없이 동의하는 과정을 거쳐 개발이 완성 되었다.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들에 관하여 잘 알고 있는 교수진이 간호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통합시뮬 레이션 모듈을 개발하였지만, 간호학생들에게 적용 함에 있어 예상되는 학습결과와 실제 학습결과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예비연구를 통해 소수의 간호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수정보완하고, 이후 결과 에 따라 외부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을 고려해보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은 다음의 4개의 Phase 로 구성하였다. Phase Ⅰ는 동기부여(Motivation)를 위한 단계, Phase Ⅱ는 사전학습(Preparation)을 위 한 단계, Phase Ⅲ은 통합시뮬레이션(Integrated simulation)을 위한 단계, Phase Ⅳ는 요약(Summary) 을 위한 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1).

    • 1) Phase Ⅰ : 동기부여를 위한 단계로 간호학생 들에게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를 위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에 참여에 대한 동의서를 작성하고, 전체적인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한 후 3-4 명으로 2개의 팀으로 나누었다.

    • 2) Phase Ⅱ : 사전학습을 위한 단계로 PBL 패키 지로 정보수집, 자료 분석, 팀별활동 순으로 진행하 였다. 첫째, 정보수집 단계는 간호학생들에게 고혈압 성 위기와 관련된 지식으로 고혈압, 고혈압성 긴급, 위급, 발생 가능한 건강문제 및 대상자 간호와 조현 병에 관련된 지식으로 조현병, 정신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특성, 조현병 환자의 간호 및 치료적 의사 소통 등을 제공하였다. 둘째, 자료 분석 단계는 교수 자는 팀별로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에 관한 시나리오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여 임상적인 자 료를 수집하고 획득한 자료를 활용하여 임상적 의미 를 분석하도록 하였다. 셋째, 팀별활동 단계는 간호 학생들이 팀별 학습시간에는 간호계획 세우기, 교육, 투약, 및 처치 등에 관하여 학습하고, 팀별토론은 임 상실습에서 경험한 고혈압 환자 혹은 조현병 환자에 관한 각자의 임상실습에서의 경험 나누기, 간호사가 갖추어야할 지식, 기술, 태도, 역할, 간호문제 리스 트 작성 및 간호계획 및 간호중재의 우선순위 정하기 등에 관하여 토론하였고, 팀별발표는 간호학생들이 간호계획, 간호문제리스트 및 간호의 우선순위 등에 관하여 토론한 내용을 요약하여 발표하였다. 교수자 는 간호학생들이 사전지식을 주도적인 방법으로 획 득할 수 있도록 격려하면서, 팀별활동에서 언급되지 않은 부족한 부분을 평가하여 간호학생들이 심층 학 습할 수 있도록 학습자료를 제공하였다.

    • 3) Phase Ⅲ : 통합시뮬레이션을 위한 단계로 프 리브리핑(Pre-briefing), 시뮬레이션(Simulation), 디브리핑(Debriefing)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프리브리핑에서는 간호학생들의 안전사고 예방과 심 리적 안전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교수자는 간호학생 들에게 시뮬레이션 실습실의 구조, 실습을 위해 준비 되어 있는 물품, 모니터 및 시뮬레이션 수업진행절차 에 대해 설명하고 학생들이 시뮬레이션에 관련된 술 기를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시뮬레 이션에서는 고혈압성 위기, 조현병의 환청과 망상,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을 포함된 통합시뮬레이션 구 동하였다. 간호학생들은 활력징후 측정, 치료적 의사 소통, 경구투약, 모니터링, 근육주사투약. 통증측정, 낙상, 욕창 측정, SBAR를 이용한 의사소통, 경청, 치료적 의사소통, 고혈압성 위기와 조현병 관리에 관 한 교육을 경험하였다. 셋째, 디브리핑에서는 동료피 드백 및 정보수집(Gather), 분석(Analysis), 요약 (Summary)의 세 단계인 GAS를 이용한 디브리핑을 시행하여 자기성찰의 시간을 가졌다.

    • 4) Phase Ⅳ : 요약 단계로 고혈압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의 통합시뮬레이션 모듈 전체 과정 에 대한 요약 및 정리를 시행하는 시간으로 교수자 는 간호학생들이 PBL 패키지와 통합시뮬레이션 단 계를 전체적으로 요약 및 피드백을 주고 정리하여 복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의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의 타당성 검증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여성이 2명(28.6%), 남성 이 5명(71.4%)이었고 평균연령은 22.7±1.25세였 다. 이들의 전공만족도는 매우 불만족 1명(14.3%), 만족 5명(71.4%), 매우 만족 1명(14.3%)이었다. 학업 성적은 4.5점 만점에 3.0-3.9점 7명(100.0%), 시뮬 레이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음이 7명(100.0%), ‘통 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답한 수는 7명 (100.0%)이었다(Table 2).

    2)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의 통합 시뮬레이션 모듈의 효과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의 통합시뮬 레이션 모듈의 적용 전후로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은 5점 만점에 3.74±0.48점에서 3.83±0.48 점으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Z=-.17, p=.866). 문제해결과정은 5점 만점 에 3.93±0.36점에서 4.15±0.61점으로 증가하였 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Z=-.11, p=.916). 임상판단은 4점 만점에 3.20±0.28점에 서 3.44±0.40점으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Z=-.93, p=.352). 학습자기효 능감은 7점 만점에 6.02±0.88점에서 5.80±1.36 점으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Z=-.51, p=.610)(Table 3).

    3)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의 통합 시뮬레이션 모듈의 평가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를 위한 통합시뮬레이션의 시뮬레이션 설계에 대한 검정 결 과는 Table 4와 같다. 시뮬레이션 설계의 점수는 간 호학생들이 시뮬레이션 수업 설계가 잘 되었음에 동 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총점 5점 만점에 4.48± 0.33점으로 나타났다. 세부영역별 점수는 목표와 정보 영역은 5점 만점에 4.63±0.39점, 지지 영역 은 5점 만점에 4.36±0.45점, 문제해결 영역은 5점 만점에 4.43±0.47점, 피드백 영역은 5점 만점에 4.49±0.34점, 현실성 영역은 5점 만점에 4.43± 0.53점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효과성은 간호학생들이 시뮬레이션의 사전브리핑, 학습, 자신감, 브리핑 영역에 학습에 효과 적이었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총점은 3점 만점에 2.73±0.22점으로 나타났다. 세부영역별 점수는 사전브리핑 영역은 3점 만점에 3.00±0.00 점, 학습 영역은 3점 만점에 2.64±0.30점, 자신감 영역은 3점 만점에 2.67±0.32점, 브리핑 영역은 3점 만점에 2.80±0.16점으로 나타났다.

    3.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중심 주제는 ‘지식을 통합 하고 실무에 적용함’,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응해보 기’, ‘전문가로서 한걸음 나아가기 위한 도전’, 및 ‘시 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수용적이고 심리적인 안전 보 장’ 이었다. 세부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제 1 주제: 지식을 통합하고 실무에 적용함

    모듈에 참여하는 동안, 각기 다른 교과목에서 배 운 지식을 통합하여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적용하는 경험을 해봄으로써 추후에 임상 실무에서 적용할 것 에 대해 자신감과 지식의 확장을 시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표적인 진술문은 다음과 같다.

    지식이 하나로 통합되는 느낌을 받았어요. 전체적 인 맥락을 한눈에 보이는 것 같았어요(참여자 7).

    환자에게 해야 하는 처치가 여러 가지였는데, 친구들과 상의하면서 우선순위를 세우는 과정 이 너무 좋았어요. 팀과 함께 의견을 조율하고 저희가 주도해서 간호했어요(참여자 6).

    임상에서 관찰만 하던 상황에서 내가 생각하고 결정하고 시행해야하는 상황이었어요. 다음에 비슷한 상황이 왔을 때는 당황하지 않고 배운 술기들을 활용해서 잘 할 수 있을 거 같아요 (참여자 3).

    실제로 환자에게 진짜 약을 먹여보고 진짜 약 으로 주사를 주고 진짜 환자가 혈압이 떨어지 고 소리를 지르고 때리려고 하는 환자들을 만 나서 해보고 싶어요(참여자 4).

    학교에서 배운 것도 학생들은 위험하다고 못하 잖아요. 간호사가 되면 다 해야 될 텐데 말이 에요. 좀 더 매운 버전을 해본다고나 할까요? 오늘 배운 것을 다음에는 더 어려운 상황으로 경험해보고 싶어요(참여자 1).

    2) 제 2 주제: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응해보기

    간호학생들은 예상치 못한 시뮬레이션 상황에 당 황하였다가 배운 것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보고 협업을 통해 해결해보는 경험이 실제 상황에서 도움 이 될 것이라고 표현하였다. 대표적인 진술문은 다 음과 같다.

    조현병 환자가 아니더라도 의사결정에 어려움 을 겪을 수 있는 대상자인 치매환자, 꼭 병이 없더라도 왜 말로 자기의견을 잘 표현하지 못 하는 사람들... 아이들도 있고요. 그런 사람들을 돌볼 때, 의료 혹은 간호를 두려워하거나 거부 하는 상황에서 활용할거에요(참여자 6).

    여러 가지 일이 한꺼번에 터지니까, 정신도 없고, 막막했는데, 다른 친구들이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 을 보고 나중에 좀 정신이 들었어요. 게다가 환자 가 약을 거부하는 상황은 사실 겪어본 적이 없어 서 당황스러웠는데, 친구가 환자가 약을 먹지 않 으려고 하는 이유에 대해서 환자에게 질문하고 그 이야기를 들어주면서 환자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 하려고 시도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어요. 저는 환 자와 공감하는 게 잘 안되더라고요. 그런데 친구 를 보면서 배울 수 있었어요(참여자 3).

    3) 제 3 주제: 전문가로서 한 걸음 나아가기 위 한 도전

    간호학생들은 배운 지식을 활용하여 환자를 설득 하는 과정에서 전문가가 된 듯한 느낌을 느끼고 동 시에 전문가로서의 책임감을 느꼈다고 하였다. 대표 적인 진술문은 다음과 같다.

    예전에는 단순히 지식을 암기해서 그냥 적용했 다면, 이번에는 PBL에서 배운 지식을 활용하 여 환자의 입장에서 환자가 원하는 것을 먼저 듣고 우선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정하고 어떤 간 호를 할 것인지 생각하고 친구들과 상의하면 서, 전문가들이 병원에서 근무할 때 딱 이런 상황이겠구나 생각했어요(참여자 6).

    처음에는 내가 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간호를 제공 하려고 했는데 대상자가 거부하면서 난감했어요. 그 상황에서 약을 안 먹으면 어떻게 되는지 우리 는 뻔히 아는데, 환자는 모르니까 약도 안 먹겠다 고 저러고 있는 거니까, 설득은 해야겠고... 그래서 어떤 불편을 호소하는지 무엇이 필요한지 파악하 려고 했어요. 아마 배운지 오래되었으면 또 생각 이 안 났을지도 모르지만, 금방 배웠잖아요. 그래 서 배운 대로 하나씩 해나가다 보니까. 환자가 어 느 순간부터 나를 믿고 따라온다는 느낌이 들었어 요. 그러니까 고맙기도 하고 책임감도 느껴지고 그랬어요(참여자 4).

    임상실습을 나가서 격리나 강박이 필요한 상황 일 때, 학생은 안전문제로 참여할 수 없었어요. 오늘 배운 것을 활용하면 할 수 있을 것 같아 요. 이것보다 더 어려운 것도 경험해보고 싶어 요(참여자 5).

    4) 제 4 주제: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수용적이 고 심리적인 안전 보장

    간호학생들은 반복해서 연습할 수 있는 충분한 시 간이 필요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실수에 대해 수 용적이며, 심리적 안전을 보장받고 싶어 하였다. 대 표적인 진술문은 다음과 같다.

    실제로 수업할 때는 환자를 간호한다기보다 점 수를 받는 것에 집중하는 면이 있었는데, 성적 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하니까 괜히 했다가 쓸 데없는 거 했다고 감점될까봐 해보지 못했거나 잘 안되는 술기들을 능숙하게 될 때까지 여러 번 시도해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참여자 1).

    내가 연습하는 것을 친구들이 보기도 하고 친구들 이 하는 것을 내가 보기도 하고... 서로 서로 잘하 는 것은 가르쳐주고 안 되는 것은 배우고... 그러면 서 연습도 되고. 좋았어요(참여자 6).

    간호학과에 다니는 친구들 모두 열심히 하는데 패스 패일 식으로 학점이 주어지면 더 많이 연 습하게 되고 병원에 가서 환자한테 실수를 안 하려면 이런 시뮬레이션 수업에서 실수를 하더 라도 잘할 때까지 해서 숙달되어야 하잖아요 (참여자 3).

    Ⅳ. 논 의

    본 연구는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를 위한 통합 시뮬레이션 모듈을 개발하고 타당 도를 평가하였다.

    실제 임상에서는 여러 질환과 복합적인 건강문제 를 다루고 있지만(Lee, 2023)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는 성인간호학의 응급 상황에 대한 간호(Im, 2022; Lee & Kim, 2019)나 급성 중환자의 다중 치료 (Changl et al., 2022)등에 관한 것과 정신간호학 의 조현병(Seo & Kim, 2020) 환자의 간호를 단일 영역의 주제로 시행되어왔다(Kim & Ham, 2015;Lee, 2023;Tamilselvan et al., 2023). 이러한 연 구들은 교과목별 학습 목표나 범위(scope)를 바탕 으로 개발한 것이었다.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간호와 같이 종합적인 문제를 가진 환자간호를 위해 교과 목을 통합한 시뮬레이션은 찾아보기 어려웠으나 (Lee, 2023;Tamilselvan et al., 2023), 분만간호 와 신생아 간호를 통합한 모아통합시뮬레이션(Park & Lee, 2015), 성인간호학, 모성간호학, 아동간호학 등의 각각의 사례를 모두 경험할 수 있는 통합 시뮬레 이션(Im, 2022;Song, Ma, & Ahn, 2023), 급성 및 중환자 치료를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다중 시나리오 시뮬레이션(Li et al., 2022)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 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은 성인간 호학과 정신간호학에서 유병률이 높고 주요 간호문제 로 다뤄지는 질환인 고혈압성 위기와 조현병을 동시에 가진 환자간호 시뮬레이션 모듈을 개발하여 적용했다 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다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예비연구로 가설 검증보다는 타당 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따라서 교수자들의 관 점에서 간호학생들의 커리큘럼과 지식수준을 고려 하여 선정한 성인간호학의 고혈압성 위기와 정신간 호학의 조현병의 요소들, 간호관리학의 의사소통의 요소들을 통합하여 개발한 모듈을 실제 간호학생들 에게 적용하였을 때의 경험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에 참가하는 동안 간호학 생들은 고혈압성 위기가 동반된 조현병 환자와 같이 여러 가지 문제가 결합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필요한 간호 중재를 고려하고 이를 수행 하기에 앞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그에 맞게 수행하 는 과정을 겪게 함으로써 비판적 사고 성향, 임상판 단, 문제해결력, 학습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자 개 발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학생들은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의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을 적용 하기 전보다 적용한 후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 과정, 임상판단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 지만 상승하였으므로 일정부분 도움이 된 것으로 사 료된다. 다만 간호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 해결력, 임상판단을 함양하는 것은 다양한 경험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양되므로(Lee et al., 2008;Yoon, 2004) 단기간에 잘 입증되지 않을 수 도 있다(Kim & Ham, 2015;Li et al., 2022). 그 러나 간호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모듈 참여 전 보다 참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감소 하였는데, 이는 간호학생들이 조현병 환자를 만날 기회가 많이 않아 환청과 망상을 호소하는 조현병 환자와 의사소통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느낀 것(Seo & Kim, 2020)으로 생각된다.

    시뮬레이션 설계의 총점은 5점 만점에 4.48± 0.33점으로 나타나 간호학생들은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의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의 설계 가 잘되었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 위영역 중에서 최고점인 목표와 정보 영역은 5점 만 점에 4.63±0.39점, 최저점인 지지 영역은 5점 만 점에 4.36±0.45점으로 최저점도 5점 만점에 4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학생들은 시뮬레 이션 설계의 목표와 정보, 지지, 문제해결, 피드백, 현실성의 모든 영역이 설계에 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설계정도가 높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NLN, 2005).

    또한, 시뮬레이션 효과성의 총점은 3점 만점에 2.73±0.22점으로 나타나 간호학생들은 시뮬레이 션 모듈이 교육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위영역 중에서 최고점인 사전브리핑 영 역은 3점 만점에 3.00±0.00점, 최저점인 학습 영 역은 3점 만점에 2.64±0.30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학생들이 시뮬레이션 모듈이 사전브리핑, 학습, 자신감, 브리핑의 영역에서 모두 학습에 효과적이었 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을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경 험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는 4가지 범주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주제는 ‘지식을 통합하고 실무에 적용함’으로, 간호학생들은 두 가지 질환을 가진 환자의 간호하기가 어려웠지만, 학습한 내용을 실습에 적용해 보았다고 하였다. 이는 간호학생들이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에서 학습한 것을 시뮬레이션에서 적용해 보면서 두 교과목의 지식을 대상자 간호를 하는데 통합하여 활용(Tamilselvan et al., 2023)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간호학생의 중 환자간호 PBL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 후 인터뷰와 고충실도 환자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 이션 실습 후 인터뷰에서 간호학생들은 이론과 실습 이 연계되고 사고력이 확장 되었다는 것과 유사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Shin, 2021;Tamilselvan et al., 2023;Yun et al., 2021).

    두 번째 주제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응해보기’ 로 간호학생들은 고혈압 위기와 조현병을 가진 대상 자에게 자신들이 해야 할 우선적인 처치라고 생각한 경구투약을 먼저 시도하였는데 예상과 다르게 대상 자가 이를 거부하는 상황에 당황(Tamilselvan et al., 2023)하였다고 하였다. 간호학생들은 통합시 뮬레이션 모듈에서 배운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대응 해보았다고 하였다. 간호학생들은 자신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치료적인지 혹은 비치료적인지 자각하지 못한 상태에서 환자를 대면하게 되면서 스스로 자신 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인식하고 깨닫는 과정을 거치 는 것과 유사하였다(Seo & Kim, 2020).

    세 번째 주제는 전문가로서 한걸음 나아가기 위한 도전으로 간호학생들은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에서 전문가로서 역할과 책임감을 경험(Tamilselvan et al., 2023)하였다고 하였다. 간호학생들은 고혈압 위기와 같은 응급 상황이나 조현병 환자가 투약을 거부하는 상황에서 관찰자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 다. 그러나 개발된 시뮬레이션 모듈에서는 간호학생 들은 응급실 간호사로서 자신의 담당 환자가 처방된 약을 거부하는 상황에 대면하게 되었다. 이때, 교수 자는 조정실에서 간호학생들이 통합시뮬레이션 모 듈에서 학습한 내용과 치료적 의사소통을 사용하는 말과 행동을 보일 때, 환자가 거부했던 약을 먹어보 겠다고 반응해주었다. 이때, 간호학생들은 자신들의 전문지식과 치료적 의사소통을 사용하였더니 대상 자가 약을 거부하다가 약을 복용하겠다는 변화를 보 인 것에서 대상자가 자신을 믿어준다는 느낌을 느꼈 고, 이는 간호학생이 환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였다 고 느낀 것으로 생각된다.

    네 번째 주제는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수용적이 고 심리적인 안전 보장’으로 간호학생들은 시뮬레이 션 모듈은 평가에 대한 부담이 없을 때, 실수에 대해서 수용적일 때, 반복해서 연습할 시간이 충분할 때 등에 서 효과가 있다고(Tamilselvan et al., 2023) 생각하 였다. 이는 간호학생들은 숙달될 때까지 연습할 시간 을 제공한 점이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간호학 생의 중환자간호 PBL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 후 인터 뷰와 고충실도 환자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 뮬레이션 실습 후 인터뷰에서 임상실습을 할 때에는 간호학생의 실습에는 관찰해야하는 경우가 많은데 시뮬레이션 실습에서는 실제로 할 수 있고, 반복해서 연습하여 잘하게 되니, 자신감을 얻었다는 것과 유사 하였다(Seo & Kim, 2020;Shin, 2021;Tamilselvan et al., 2023;Yun et al., 2021).

    본 연구의 의의는 간호학생이 성인간호학과 정신 간호학 영역에서 유병률이 높은 두 가지 질병을 통합 하여, 종합적인 문제를 가진 대상자 간호의 시뮬레이 션모듈을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하고 예비조 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한 점이다. 이는 실제 임상 상황을 최대한 반영한 시나리오로써 간호학생들의 임상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데(Tamilselvan et al., 2023)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전문가들의 관점에서 개 발된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 해 시행한 예비조사에 참가자 7명은 여학생보다 남 학생의 비율이 높았던 점, 성적이 비슷한 점, 시뮬레 이션 경험 횟수가 같은 점,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개발된 모듈은 간호학생들이 이수해야할 수업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며, 해당 학년에 수업을 진 행하지 않는 연구자가 진행하였으므로, 간호학생들 은 예비조사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심리적 안전은 확보할 수 있었다. 이해관계 없이 참가 한 간호학생들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듈이 잘 설계 되었다는 것에 동의하고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평가하 였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간호학생들을 대 상으로 대단위 연구를 통해 그 타당도를 재검증 해보 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개발된 모듈의 외부 타당도 검증을 받지 않은 점이 본 연구의 제한점이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모듈의 외부타당도 검증이 필요하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의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간호학생들 에게 적용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모듈에 사용된 시나리오는 고혈압성 위기와 조현병을 동시에 가지 고 있는 환자의 임상기록을 바탕으로 임상 상황과 매우 유사하도록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 나리오를 바탕으로 PBL 패키지와 시뮬레이션을 개 발하였고, 사전학습으로 PBL 패키지를 사용하여 환 자가 협압이 높은 상황에서 그로 인한 합병증이 동 반되었는지 아닌지, 조현병 환자의 환청과 망상이 동반 되었을 때의 의사소통과 전문가 간의 의사소통 에 대한 교육하고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자 료를 해석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훈련하였다. 또한 간호학생들은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응급실 근무 간 호사로서의 역할을 배정받았고, 자신들의 담당환자 는 혈압이 높고, 환청과 망상으로 인해 치료를 거부 하는 상황에서 어떤 간호를 제공해야 할지를 고민하 고 우선 순위에 따라 환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해결하도록 개발하였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가 결합된 상황에서 간호학생들은 치료를 거부하는 환 자의 의견, 근거에 기반을 둔 자신의 판단과 의사의 처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어떤 결정이 환자에 게 도움이 되고 해를 끼치지 않는 방법인가를 고민 하고 간호 중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해서 비판 적 사고 성향, 임상판단, 문제해결력, 학습자기효능 감을 향상시키고자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듈을 전체 간호학생들의 수업에 적용하기에 앞서 7명의 간호학생들에게 적용해봄으로써 간호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데 타당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예비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듈에 참여한 간호학생들은 비 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 과정, 임상판단은 점수가 상승하였고 학습자기효능감은 점수가 감소하였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반면, 간호학 생들은 시뮬레이션 설계의 목표와 정보, 지지, 문제 해결, 피드백 및 현실성 영역에 관한 설계정도가 높 다는 것에 동의하였고, 시뮬레이션 효과성의 사전브 리핑, 학습, 자신감 및 브리핑이 교육에 모두 효과적 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간호학생들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는 지식의 통합, 전문가로써의 도전 및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심리적 안전 보장이라는 긍 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간호학생들의 모듈에 대한 만 족감을 확인하였다. 이에 추후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 한 조현병 환자의 통합시뮬레이션 모듈의 효과를 확 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간호학생 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임상상황과 비슷한 여러 질환 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면서, 증상의 경중에 따라 우 선순위를 세워서 중재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 째, 본 시나리오는 고혈압성 위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지만, 입원병동, 환자의 가정,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 터, 학교의 보건실, 산업체의 보건실과 같은 다양한 상황과 같은 질환임에도 중증도가 다른 환자를 대상 으로 한 세분화된 임상상황에 따른 시나리오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 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후 임상실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대단 위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Figure

    JKSSN-11-2-57_F1.gif
    Development process for integrated simulation module for schizophrenia patients with hypertensive crisis

    Table

    Integrated Simulation Module for Schizophrenic Patients with Hypertensive Crisis
    PBL: Problem-Based Learning,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7)
    Comparisons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pre and post-test (N=7)
    Evaluation of Integrated Simulation module on Schizophrenic patients with Hypertensive Crisis (N=7)

    Reference

    1. Ayres, H. W. (2005). Factors related to motivation to learn and motivation to transfer learning in a nursing pop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North Carolina.
    2. Bowling, A. (2014). Research methods in health (4th ed.). Maidenhead, Berkshire, England: McGraw Hill.
    3. Chang, Y. L. , Hsieh, M. J. , Feng, T. H. , Shang, S. T. , & Tsai, Y. F. (2022). Effectiveness of multiple scenario simulations of acute and critical care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 quasi-experimental design. Nurse Education Today, 118, 105526.
    4. Davis, L. L. (2023). Hypertensive emergencies: Implications for nurses.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58(3), 271–281.
    5. Halstead, S. , Siskind, D. , & Warren, N. (2023). Making meaning of multimorbidity and severe mental illness: A viewpoint.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8674231195560. Advance Online Publication.
    6. Han, S. S. , & Lee, S. C. (2018). Nursing and health statistical analysis (2nd ed.). Seoul: Hannarae.
    7. Hsieh, H. F. ,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8. Im, Y. S. (2022). Effect of emergency simulation education using the outcome-present state-test (OPT) model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reasoning capability and self-efficacy-based basic life support. Journal of Healthcare Simulation, 6(1), 15-23.
    9. In, J. Y. (2017). Introduction of a pilot stud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70(6), 601-605.
    10. Kang, J. Y. (2020). Simulated nursing practice education in the ontact age: A mixed methods case stud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 937-957.
    11. Kim, S. , & Ham, Y. S.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08-319.
    12. Lasater, K. (2007).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Journal Nursing Education, 46(11), 496-503.
    13. Lee, J. E. (2023).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f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11(1), 15-41,
    14. Lee, S. U. , Lee, Y. R. , Oh, I. H. , Rhu, V. , Goo, A. J. , & Kim, Y. S. (2018). Chronic physical comorbidities and total medical cost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6(1), 26–34.
    15. Lee, W. S. , Park, S. H. , & Choi, E. Y. (2008). Development of a Korean problem solving process inventory fo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4), 548-557.
    16. Leighton, K. , Ravert, P. , Mudra, V. , & Macintosh, C. (2015). Updating the simulation effectiveness tool: Item modifications and reevaluati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6(5), 317-323.
    17. Li, Y. Y. , Au, M. L. , Tong, L. K. , Ng, W. I. , & Wang, S. C. (2022). High-fidelity simul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A meta-analysis. Nurse Education Today, 111, 105291.
    18.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5). Simulation design scale©(Student Version). https://www.nln.org/docs/default-source/uploadedfiles/professional-development-programs/nln-instrument-simulation-design-scale.pdf?sfvrsn=56f5d60d_0
    19. Park, H. J. , & Lee, S. H. (2015).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grated simulation program (maternal-child) for nursing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4), 293- 301.
    20. Park, S. Y. , & Kweon, Y. R. (2012). The effect of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al training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1(1), 79-88.
    21. Ryu, S. J. (202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linical judgment training program using simulation in critical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2.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23. Seo, D. H. , & Kim, S. J. (2020). The effect and development of a simulation learning module based on schizophrenic patients car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29(2), 106-118.
    24. Sharma, K. , Mathews, E. P. , & Newton, F. (2021). CE: Hypertensive emergencies: A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21(10), 24–35.
    25. Shim, K. K. , & Shin, H. S. (2015).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asater clinical judgement rubric in Korean nursing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2), 160-167.
    26. Shin, H. S. (2021). PBL-based critical care simulation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5(2), 65-79.
    27. Song, J. E. , Ma, J. K. , & Ahn, J. A. (2023). Effectiveness of a basic simulation practicum for junior nursing students: A quasi-experimental study. Journal of Healthcare Simulation, 7(1), 1-12.
    28. Tamilselvan, C. , Chua, S. M. , Chew, H. S. J. , & Devi, M. K. (2023). Experience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synthesis. Nurse Education Today, 121, 105711.
    29. Yoon, J.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he Catholic, Seoul.
    30. Yun, J. A. , Kang, I. S. , & Son, M. S. (2021). Experience of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and standardized patients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9(5), 31- 56.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