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1 No.2 pp.91-106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3.11.2.91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nlin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Nursing Simul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 개발 및 평가

Jisu Lee1, Hye Won Yoon2*
1Doctoral Student, College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2Director, NH Research Institute

이지수1, 윤혜원2*
1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생
2NH Research Institute, 연구소장

본 연구는 2020년 대학혁신지원사업비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Corresponding Author: Yoon, Hye Won
129bun-gil Donguryong-ro, Guri-si, South Korea
Tel: +82-31-556-6267, E-mail: nhresearchinstitute@gmail.com
20231108 20231129 20231213

Abstract


Purpose: An “onlin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nursing simulation course” was developed to strengthen the nursing competency in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Methods: In this methodological study, an “onlin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nursing simulation course” was developed using the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del and evaluated using a one-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to ascertain th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performance 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of 37 nursing students. Results: The online course comprised 17 sessions categorized as follows: seven theory, five at-home laboratory training, two case study, and three simulation sessions. All the nursing students engaged in the course successfully fulfilled its requirements by attending all 17 sessions and passing the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The knowledge, 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t=-6.60, -10.62, and –6.36, respectively; p<.001 for all) pertaining to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participants after the concluding simulation session, compared with their pre-scores obtained prior to the course participation. Conclusion: The “onlin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nursing simulation course” significantly improved the nursing knowledge, performance 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managing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WHO]) 에 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팬 데믹으로 인하여 2023년 9월 1일 기준, 전 세계적으로 7억 7,000만명 이상의 확진자와 695만명 이상의 사망 자가 발생하였다(WHO, 2023). 전 세계적으로, 2002 년 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CoV]),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A(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H1N1]), 2015 년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의 유행 추이로 볼 때(Choi & Lee, 2019), 호흡기 감염병 발생의 주기는 빨라지고, 확산의 범위는 범세계적으로 광범위해지고 있다. 이 러한 재난이 발생할 때, 간호사는 초기 대응자로서 직접 간호제공자, 치료 코디네이터, 정보제공 및 교육 자, 정신간호제공자 및 중증도 분류자의 역할을 담당 하는 핵심 보건인력이다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ICN], 2019). 그러나 WHO는 재난의 응급 대응에 있어서 주요한 실책 중의 하나로 간호사의 미흡한 재난대응 능력을 지적한 바 있다(WHO, 2011). 이에, ICN에서는, 일반 간호사의 재난간호에 대한 역량 기틀을 제시하여, 교육과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 역량 기틀에서 제안하는 일반간호사의 재난간호 역량은, 일관성 있는 간호제 공, 의사소통 촉진, 수행자신감 개발, 보다 전문적인 간호접근방법의 적용, 작업을 구조화하여 효율적인 업무 수행 도모, 다학제팀 안에서의 역할 담당 등을 포함한다(ICN, 2019). 이러한 재난간호역량을 발휘 하기 위하여는 적시에,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 록 재난 상황에 대한 지식과 적절한 술기 능력을 갖추 도록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에서는 위와 같이 재난간호 역량을 갖춘 간호사 양성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교과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Kim & Kim, 2017). 그러나, 아직은 일부의 대학만이 이에 해당하며, 이 역시 대 부분의 교육은 재난상황에 대한 포괄적인 주제의 교 육으로 진행되고 있어(Kim, Kong, Choi, Kim, & Jung, 2019), 호흡기 감염병과 같은 특정 재난 상황 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충분히 습득하기는 어렵다 (Choi & Kang, 2022).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급격한 호흡기 감염병 환자 수의 증가로 인하여 호흡기 감염병 질환을 이 해하고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간호사 에 대한 수요는 더욱 높아졌다. 호흡기 감염병 간호 에 대한 간호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확보하기 위해서 는, 임상에서의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고 훈련이 강 화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학부 과정에서부터 호흡 기 감염병 간호에 대한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Hur & Park, 2015)을 위한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 다(Choi & Kang, 2022). 그러나, 현재 모든 간호 대학이 임상술기 교육에 적용하고 있는, 한국간호교 육평가원에서 제공하는 핵심기본간호술 중에 기본 보호장구 적용에는 다양한 개인보호장구에 대한 교 육 및 Level D 이상의 개인보호장구 착용 후 음압격 리실에서의 임상술기 훈련 등 상급 격리간호술의 내 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NE], 2020).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이 호흡기 감염병 간호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관련 기술을 함양하기 위하여, 기존 의 교육내용에서 호흡기 감염병 간호에 특화된 내용 을 포함하는 새로운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Choi & Kang, 2022).

    이와 같이 호흡기 감염병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필 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교육부는 질병관리청의 지 침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를 적용하여 한시적으로 대학의 수업을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하기도 하였다. 대면 강의가 제한되고, 환자와 간호대학생 모두의 안 전이 확보된 환경에서 교육을 제공해야 하는 여건에 서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병 간호 역량 개발을 위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개발과 사용이 증가하 고 있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의 경우, 대면 교육에 비하여 약 1/3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Haerling, 2018), 환자와 간호대학생 모두에 대한 안전성을 확 보하고, 물리적 환경으로 인한 제약을 최소한으로 받 게 되어 접근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Cant & Cooper, 2014;McGrath et al., 2017).

    McGrath 등(2017)에 의하면 가상현실 시뮬레이 션은, 2D 또는 3D 그래픽 환경에서 학습을 하는 가상 현실(Virtual Simulation), 현실 세계에 가상현실을 접목한 증강현실(Argumented Reality), 아바타 또 는 애니메이션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는 가상 표준화 환자(Virtual Standardized Patient [VSP]), 그리 고 교육적 목적으로 개발된, 현실 반영 문제해결형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하는 시리어스 게임(Serious Games)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은, 지식 향상(Padilha, Machado, Ribeiro, Ramos, & Costa, 2019)과 자신감 향상(Haerling, 2018)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반면, 체계 적 문헌고찰 결과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대한 기여에 는 다소 상반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어(Shorey & Ng, 2021)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비대면 수업 기간에도 물리적 환경의 제약 없이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병 환자 간호 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아바타를 활용한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 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간호대학생 의 호흡기 감염병 환자 간호 역량 개발을 위한 교과목 운영의 근거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가. 간호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 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을 개발한다.

    • 나. 개발된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 션 교과목을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다.

    • 다.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 목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을 확인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병 간호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 이션 교과목’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2. 연구절차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은 ADDIE 모형의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 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의 단계로 개발되었다(Dick, Carey, & Carey, 2004).

    1) 분석 단계

    첫 번째, 분석단계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간호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온 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교과목의 적용이 적합한 학년과 학기를 파악하였다. 또한, 별도로 진행된 1개 대학 간호대학생 4학년 75명을 대상으로 한 교육요구 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온라인 교과목 운용 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Learning Management System 와 Zoom의 서비스 제공 범위를 확인하였으며, LAB 실습 강의 촬영 스튜디오와 촬영 조건 확인, 개별 재택 LAB 실습 진행을 위한 준비물품 및 수행 방법을 확인하였다.

    2) 설계단계

    간호학과 교수 1인과 석사과정 연구원 1인이 질병 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2020)에서 제시하는 매뉴얼을 기 반으로,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하는 핵심기 본간호술 평가항목을 참고(KABNE, 2020)하여 본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의 학 습목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본 교과목은, 간호대 학생의 호흡기 감염병 간호와 관련한 간호지식, 수 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 된 온라인 프로그램으로, 유관 지식을 이해한 후, LAB 실습의 반복 학습을 통하여 관련 간호술기를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마지막 단계에서 실제 상황과 같은 시나리오에 적용함으로 수행자신 감과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론 강 의, 실습 강의와 실습, 시뮬레이션 순으로 설계되었 다. 선정한 각 차시별 학습목표와 내용에 따라 적합 한 교수-학습방법을 선정하여, 7차시의 이론 강의, 5차시의 LAB 실습강의 및 개별 실습, 2차시의 사례 연구 수업(이론 강의)과 3차시의 시뮬레이션(총 18 차시 수업: 이론 9차시, 실습 9차시)으로 구성하였 다. 사례연구 및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할 시나리오의 전체적인 흐름이 선정되었다. 학습매체는 동영상 강 의, PPT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강의, 그룹토의, 그룹 프리젠테이션, 온라인 시뮬레이션을 선택하였 다. 본 교과목의 최종 학습 단계인 온라인 시뮬레이 션의 경우, 간호대학생이 사전 학습을 통하여 습득 한 지식을 팀 간호의 형태로 시뮬레이션에 적용하 되, 현장감 있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기 위하여, 아 바타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표준화 환자(VSP) 방식 을 선택하였다. 다만, 호흡기 감염병 간호 수행에 보 다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환자가 아닌 표준화 간호 사를 아바타로 설정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간호대학생이 간호수행 지시를 하면, 간호사 아바타 가 간호수행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고충실도 마네 킨 환자의 활력징후가 변하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3) 개발단계

    각 차시별 이론 강의자료와 강의 및 실습 동영상 제작, 온라인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제작, 디브리핑 자료 제작을 하였다. LAB 실습에서 사용될 동영상 실습강의가 대학교 내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 시 뮬레이션의 시나리오에 따라 단계적 알고리즘이 시뮬 레이터에 저장되었다. 알고리즘은 호흡기 감염병 환 자가 질병의 진행으로 심폐소생술에 이르는 내용으 로, 간호대학생의 처치에 따라 고충실도 마네킨의 활 력징후의 변화를 나타내도록 설계되었다. 총 15분의 시뮬레이션 시간 중, 물품준비 및 환자 사정 5분, 환자 변화에 대한 비판적 사고 및 간호수행 5분, 심폐소생 술 5분 소요가 예상되는 시나리오에서, 5분간 환자의 변화에 대한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입력되었다. 성 인 환자 시뮬레이션의 경우, 초기 활력징후 혈압 100/70mmHg, 맥박 100회/분, 호흡 30회/분, 체온 38.2℃, SpO₂ 93%, 동성빈맥에서 시작하여 1분마다 혈압 10/5mmHg, SpO₂ 3%씩 감소 5회 반복, 맥박과 호흡은 초기 3분 간 증가 후 2분 간 감소(맥박 10회/분 증가 3회 반복 후 30회/분 감소 2회 반복, 호흡 4회/ 분 증가 3회 반복 후 10회/분 감소 2회 반복), 마지막 활력징후 변화와 함께 심전도는 심실빈맥으로 변경된 다. 간호사가 산소공급 시 환자의 SpO₂는 3% 상승하 고, 30초 후 상승 전 SpO₂수준으로 다시 감소되도록 설정되었다. 아동 환자 시뮬레이션의 경우, 초기 활력 징후가 혈압 90/60mmHg, 맥박 120회/분, 호흡 36 회/분, 체온 38.0℃, SpO₂ 91%, 동성빈맥에서 시작 하는 것으로 설정되었으며, 이후 진행은 유사하였다.

    4) 실행단계

    개발된 프로그램을 석사과정 연구원 1인이 연구 대상자들과는 분리된 실습장소에 배정되어 있는 4 학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사전 평가를 진행하였다. LAB 실습시간 조율과 실습 항목 추가, 조별 시뮬레 이션 시간 조율 등 미비한 부분을 간호대학 교수와 연구원이 함께 확인하고 수정 보완하여 교과목을 완 성하였다.

    5) 평가단계

    개발된 교과목에 대한 평가는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 설계로, 2020년 10월 23일부터 2021년 1월 31일 까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C 대학교 생명윤리위 원회의 승인을 받아 수행되었다(IRB No. 1044308- 202008-HR-034-02). 연구 대상은 편의 표집하였 으며, 수도권 소재 P시에 소재한 대학의 3학년 이상 간호대학생 중에서 기본간호학 및 건강사정 교과목을 이수하고,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 과목 참여 경험이 없으며, 기본 심폐소생술 자격증을 취득한 자,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로 서면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에 대한 설명 은 참여자 정보를 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간 Zoom을 통하여 연구자가 직접 설명하였다. 이후, 교외 외부 인력으로 고용하여 학사시스템의 학생 정보 에 접근권한이 없는 보조연구원이 연구참여동의서와 사전·사후 설문지를 수집하였는데, 이름, 학번, 생 일, 전화번호 등 학생 식별이 가능한 정보를 수집하지 않음으로 대상자의 익명성을 확보하였다. 사전·사후 점수 비교 및 중복 참여를 방지하기 위하여, 학생 스스로 정한 별칭으로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보조연 구원이 이를 암호화하여 연구자에게 전달하였다. 참 여자 별칭과 연구 ID 대조표는 보조연구원에게만 접근 권한이 있었으며, 연구 종료 후 해당 파일은 영구 파기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연구 참여 중단에 따른 불 이익이 없음에 대하여 설명을 들었으며, 연구 참여에 대한 사례로 기프티콘을 제공받았다. 3학년 블록 강의 기간인 8주간 두 개의 분반으로 교과목을 운영하였으 며, 분반의 교수자와 실습조교, 교과목 운영 방식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총 55명의 간호대학생이 교과 목을 이수하였으며, 그 중 교과목 개발의 평가에 자발 적으로 참여한 학생은 37명이었다. 총 8주간의 기간 은, 이론 강의 4주, 실습강의 2주, 사례연구 이론 강의 1주, 시뮬레이션 1주 순으로 운영되었다. 교과목 적용 후 평가 시, 지식과 태도는 자가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간호대학생이 팀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동안에는 개별 수행 내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온라인 시뮬레 이션의 특성상, 온라인 시뮬레이션 중에 학생별 심동 적 임상수행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시뮬 레이션 종료 후, Zoom을 활용하여 개별 임상수행능력 을 평가를 함으로써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표본크기는 G power 3.1에 근거하 여 산정하였으며, paired t-test 분석을 위한 표본 으로, 효과크기 .50 (Hsu, Chang, & Hsieh, 2015) 유의수준 .05, 검정력 .80의 조건에서 요구되는 최 소 대상자 수는 34명이었다. 탈락률 10%를 고려하 여, 총 38명의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이 중, 사후 조 사에 응하지 않아 연구에 탈락한 사람 1명을 제외하 고 총 37명이 참여하여, 대상자 수가 충족되었다. 지식과 수행자신감은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하여 평 가하였으며, 임상수행능력은 두 명의 평가자가 네 명의 학생을 소회의실로 입장하게 하여 임상간호수 행 평가목록에 따라 임상수행 정도를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for Window를 사용하였 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 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Shapiro- Wilk Test 분석 결과, 정규성 검정을 만족하여 간호 대학생의 간호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의 사 전·사후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6) 연구도구

    (1)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으로 대상자의 성별, 나이, 전공 선택 배경을 확인하였고, 전공 만족도는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1점, ‘만족하지 않는다’ 2점, ‘보통이다’ 3점, ‘대체로 만족한다’ 4점, ‘매우 만족한다’ 5점으로 하 는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2) 호흡기 감염병 간호지식

    호흡기 감염병 간호지식에 대한 평가는 질병관리 청 중앙방역대책본부(2020)에서 제공한 호흡기 감 염병에 대한 이해 및 관련 간호를 바탕으로 본 연구 자가 개발한 도구이다. 본 도구는 호흡기 감염병의 정의 및 특성(7문항), 음압격리실 및 보호장구(10문 항), 응급상황 적용 문제 해결(3문항), 총 20문항으 로 구성되었다. 맞으면 1점, 틀리거나 모른다로 기 재한 경우 0점으로 평가하며, 점수의 분포는 0점에 서 2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사전 Cronbach’s α=.83, 사후 Cronbach’s α=.98이었다.

    (3) 수행자신감

    대상자의 호흡기 감염병 간호 수행자신감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을 참고(KABNE, 2020)하여,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 책본부(Central Quarantine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2020)에서 제공하는 호흡기 감염 병 관리 임상수행 항목 중 핵심적인 15항목을 선정 하였고, 이에 대하여 대상자의 주관적인 수행자신감 을 묻는 도구로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총 15문항 으로 구성하였다. 도구의 내용은 보호장구 착용 자 신감(4문항), 음압격리실 사용 자신감(1문항), 보호 장구 착용 후 간호 수행 자신감(10문항)으로 구성되 었다. 각 문항은 5점의 Likert 척도로 ‘전혀 자신 없 다’ 1점부터 ‘매우 자신 있다’ 5점까지로, 최저 15점 부터 최고 75점의 분포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호흡기 감염병 간호에 대한 수행자신감이 높음을 의 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사전 Cronbach’s α=.94, 사후 Cronbach’s α= .98이었다.

    (4) 호흡기 감염병 간호 임상수행능력

    호흡기 감염병 간호 임상수행능력은, 한국간호교육 평가원의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을 참고(KABNE, 2020)하여,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Central Quarantine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2020)에서 제공하는 호흡기 감염병 관리 임상수행 항목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보호장구 착의 및 음압격리실 입실(11문항), 활력징후 측정 및 산소화 요법(9문항),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7문 항), 음압격리실 퇴실, 보호장구 탈의 및 폐기물 관리 (14문항)을 포함한 총 41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에 대하여 수행은 1점, 미수행은 0점으로 평가하며, 최저 0점에서 최고 41점의 범위를 갖는다. 점수가 높을수록 호흡기 감염병 간호 임상수행능력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사전 Cronbach’s α=.96, 사후 Cronbach’s α=.98이었다.

    (5) 도구의 내용 타당도 검정

    개발된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병 간호 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 도구는, 내용타당도에 대 한 평가자 간 일치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급 종합병 원 중환자실 임상경력의 간호학과 교수 1인, 상급 종합 병원 응급실 임상경력의 석사과정 연구원 1인, S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경력 20년 이상의 현직 수간호사 1인을 통하여 도구의 CVI (Content Validity Index) 를 측정하였다. 각 항목을 4점 Likert 척도(‘전혀 타당 하지 않다’ 1점, ‘대체로 타당하지 않다’ 2점, ‘대체로 타당하다’ 3점, ‘매우 타당하다’ 4점)로 평가하였고, 내용타당도는 각 문항에 3점 이상 응답한 문항의 비율 로 평가하였다.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 모든 문 항이 CVI .80 이상으로 평가(Lee & Shin, 2013)되어, 전체 문항이 도구로 선정되었다.

    Ⅲ. 연구결과

    1. 분석 단계

    호흡기 감염병 역학 등 질병에 관한 학습보다는 호흡기 감염병 치료 및 간호에 대한 이론 학습과 격 리 방법, 보호장구와 관련된 실습에 대한 교육요구 도가 높은 특성을 확인하였다(Table 1). 교육환경분 석 결과, 간호대학생별로 온라인 LAB 실습의 원활 한 진행을 위하여 Level D 방호복을 비롯한 감염병 관리 실습 물품은 간호대학생의 자택으로 배송하 였다.

    2. 설계단계

    1) 이론강의

    온라인 동영상 강의는 총 7차시로, 차시 당 50분 의 PPT를 활용한 강의가 LMS로 제공되었다. 구체 적인 내용은, 호흡기 감염병 환자를 간호하는 데 필 요한 지식으로써, 전 세계 및 한국의 호흡기 감염병 발생의 역사와 국가적 대처(정책 및 제도), 역학, 결 핵, Influenza, SARS-coV, MERS, 코로나19 등 호흡기 감염병의 질환별 특성 및 간호를 포함하였 다. 호흡기 감염병 환자 간호의 세부 내용으로는 활 력징후, 산소화 요법, 보호장구 착용 및 격리간호, 심폐소생술 및 응급간호가 포함되었다. 또한, 성인 과 아동의 호흡기 감염병(코로나19) 임상 사례 제공 하고, 변화하는 환자의 증상을 분석하고, 그에 대응 하는 간호를 우선순위에 따라 기술할 수 있도록 구 성하였다.

    2) LAB 실습

    총 5차시의 LAB 실습은 각 학생의 집에서 개별로 수행되었으며, 단원별로 제공된 동영상 실습 강의를 LMS로 시청하고, 자택으로 배송받은 Level D 방호 복 등 실습기구를 사용하여 실습하였다. 온라인 LAB 실습의 경우, 학생들이 실습 동영상 강의의 음 성 안내에 따라 단계별로 간호수행을 모방하고 재시 범하도록 설계되었다. 실습 동영상 강의 반복 시청 의 횟수로 학습 진도를 확인하고, 모든 학생들이 사 례연구 수업 전에 전체 LAB 실습강의 및 실습을 1회 이상 완료하는 것을 LMS 출석을 통하여 확인하였 다. 교수자는 매일 LMS에 접속하여 학생들의 질의 에 응답하였으며, 실습조교가 교과목 수강 학생의 학습 진도를 확인하였다.

    3) 사례연구

    사례연구 수업은 실시간 Zoom으로 진행되었다. 사례연구 수업은 2개의 모둠조가 2차시 수업(차시 당 50분)을 함께 참여하여 내용을 공유하였다. 사례 는 코로나19를 확진받은 50대 성인과 4세 소아를 간 호하는 내용으로, 대상자의 호흡기 감염병의 증상이 악화되어 기본 심폐소생술이 요구될 때, 간호사가 우선순위에 따라 대처하는 시나리오였다. 간호대학 생은, 간호사로서 사정해야 하는 증상과 간호방법, 각 수행의 간호학적 근거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5∼ 6명의 학생이 한 모둠조가 되어 사례를 배정받았으 며, 소그룹 회의실에서 조별 토의로 분석을 진행하 였다. 각 조는 PPT를 사용하여 사정, 간호진단, 계 획, 수행, 평가를 포함한 완성된 간호과정을 발표한 후 질의응답에 참여하였다. 수업의 마무리 단계에서 부연 설명이 필요한 내용은 교수자가 강의를 제공하 였으며, 전체적인 학습 내용을 복기한 후 수업을 종 료하였다.

    4)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및 디브리핑 개요 개발

    온라인 시뮬레이션은 실시간 Zoom 수업으로 진 행되었다. 온라인 시뮬레이션의 경우, 실시간 Zoom 을 통하여 대학의 시뮬레이션 센터를 실시간 중계하 였다. 간호대학생이 아바타 간호사에게 구두로 간호 행위를 지시하면, 아바타로 분한 실습조교가 지시 받은 내용을 수행하고 수행 내용에 따라 고충실도 마네킨이 반응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온라인 시뮬레이션 1차시는, 시뮬레이션 실습실 물품 및 환 경 설명과 시나리오 사례 설명을 포함한 오리엔테이 션으로 진행하였다. 온라인 시뮬레이션의 특성상, 학생들 화면에 보이는 모니터에 대한 설명, 학생들 의 지시를 통하여 어떻게 시뮬레이션이 진행되는지 설명하였다. 2차시는, 4∼5명을 한 조로 배정하여 15분간 성인 시뮬레이션에 이어서 15분간 아동 시뮬 레이션을 진행한 후, 15분간 성인과 아동 시뮬레이 션에 대한 디브리핑을 진행하였다. 시나리오는, 코 로나19를 확진받은 대상자가 호흡기 감염 증상이 악 화되면서 기본 심폐소생술이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학생들은 아바타 간호사가 방호복을 착용한 상태에 서 신체사정, 모니터 결과 판독, 산소화 요법 적용, 기본 심폐소생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적시에 간호수 행을 지시할 것이 요구되었다. 학생들이 고르게 참 여할 수 있도록, 모둠조 내에서 순서를 정해 간호지 시를 하도록 정하되, 자신의 순서에 내용 진행이 어 려운 경우 다른 조원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함께 진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 각 차시의 세부 내용은 (Table 2)와 같다.

    디브리핑 단계에서는, 팀 내에서 우선순위로 선 정한 간호를 확인하고, 타당성 및 결과를 확인하였 으며, 내용 상 보완이 필요한 항목과, 상황별 추가 학습이 필요한 내용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5) 개발단계

    대학의 스튜디오에서 LAB 실습 강의 영상을 녹 화하였다. 7차시의 이론 강의 녹화 및 영상을 검토 후, LMS에 게시 가능한 형태로 전환하였다. LMS 에 주차별 이론 및 실습 강의를 업로드하고, 해당 주차에 학생들에게 공개되도록 설계하였다. 시뮬레 이션 진행에 필요한 파워포인트, 디브리핑 유인물을 작성하였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고충실도 마네킹 구동을 입력하였다.

    6) 실행단계

    본 교과목 진행은 7차시의 이론 강의, 5차시의 LAB 실습강의 및 개별 실습, 2차시의 사례연구, 3 차시의 시뮬레이션 순으로 진행되었다. 총 17차시의 수업으로, 7차시 이론 강의(7시간)와 2차시 사례연 구 강의(2시간)로 이루어진 이론 수업에 9차시(9시 간), 5차시 LAB 실습(10시간)과 3차시 시뮬레이션 실습(3시간)으로 이루어진 실습 수업에 8차시(13시 간)이 소요되었다. LAB 실습과 시뮬레이션 참여 모 습은 [Figure 1]과 같다.

    7) 평가단계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 37명 증 76.3%가 여성으로, 평균 나이 약 22세, 50% 이상이 무교로 확인되었다. 간호학 전공 선택의 이유로는 높은 취 업률(50%)과 사회 봉사적인 직업 선택 목적(34.2%) 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70% 이상의 학생들 이 전공에 대하여 ‘만족한다’ 또는 ‘매우 만족한다’고 대답하였다(Table 3).

    (2)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 과목 이수 전 ‧ 후 비교

    간호대학생의 사후 지식 평균 점수는 사전 평균 점수 11.95±2.47에 비하여 3.78점 향상된 15.73± 2.52으로 사전 ‧ 사후 지식 평균 점수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t=-6.60, p<.001)으로 나타났다. 사후 수행자신감의 평균 점수는 사전 평균 점수인 45.41±13.04에 비하여 22.49점 향상된 67.89± 7.2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10.62, p<.001). 사후 임상수행능력 평균 점수는 사전 평균 점수 28.70±11.06에 비하여 11.16점 향상된 39.87± 1.21로 사전·사후 수행자신감 평균 점수 역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t=-6.36, p<.001) 으로 확인되었다(Table 4).

    Ⅳ. 논 의

    본 연구는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의 교육 효과 평가를 통하여 효과적인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 개발과 적용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의 개발단계는 체계적인 타당성 평가 과정을 통하여 검증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간호대학 생의 중재 사전 ‧ 사후 간호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수 행능력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의의는 물리적 환경의 제약을 극복하고, 비용효율적이며, 간호대학생과 대상자의 안전성을 확보한 가운데, 교육의 효과가 있는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을 개발한 것에 있다. 본 프로그램은 ICN에서 제시한 일반간호사의 재난간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질병관리청 중앙 방역대책본부(Central Quarantine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2020)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하는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을 참고(KABNE, 2020)하여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 구성 시, 수도권 상급 종합병원 수간호사로부터 임상에서 호흡기 감염병 환자를 간호시, 신규 간호사에게 기대 되는 역량과 간호수행 항목을 자문 받았으며, 평가도 구는 간호대학 교수 1인, 연구원 1인, 상급 종합병원 응급실 수간호사 1인의 평가를 통하여 타당성을 확보 하였다.

    본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 은, 최종 학습 단계인 온라인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간호대학생들이 호흡기 감염병 대상자인 성인과 아 동 환자의 생리적 반응의 차이는 이해하고 임상수행 에 반영하되, ICN에서 강조한 재난간호 시 간호사 의 역량에 따라, 팀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한 상호 간의 의사소통 촉진, 시뮬레이션 전 사례연구와 반 복적인 LAB 실습을 통한 수행자신감 개발, 사례연 구를 통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간호수행능력 함양 (ICN, 2019)의 경험을 갖도록 개발되었다. 3차시의 시뮬레이션 참여 전, 모든 간호대학생은 7차시의 이 론 강의, 5차시의 LAB 실습강의 및 개별 실습, 2차 시의 사례연구에 참여하도록 하여, 임상수행능력 함 양을 위한 지식과 태도의 강화 후 시뮬레이션에 참 여하는 순서로 설계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최종 단 계인 온라인 시뮬레이션에서는 Level C 방호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활력징후 측정, 산소화 요법 적용, 심폐소생술 및 응급간호 제공, 격리실 입퇴실, 폐기 물 관리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의의는, 연구 결과, 온라인 호 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으로 학습한 간 호대학생들이 교과목을 이수하기 전과 비교하여, 호 흡기 감염병 간호 관련 간호지식, 수행자신감, 임상 수행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차이를 보인 것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와 결과를 비교할만한 이론 교육, LAB 실습강의와 실습, 시뮬레이션 교육 을 포함하는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을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대부분의 선행연구 인 가상표준화 환자(VSP)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경 우, 본 연구와 같이 간호사를 아바타로 설계한 교육 이 아닌 환자를 적용한 중재로 제공하고 있어, 선행 연구와 결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논의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관련 지식의 향상을 보 고한 선행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Foronda, Fernandez-Burgos, Nadeau, Kelley, & Henry, 2020;Shorey & Ng, 2021)를 지지한다. 또한, 2002년에서 2021년 사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가 상현실 교육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결과, 지식 향상 에 중재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것과 유사한 결과 (Efendi et al., 2023)로 볼 수 있다. 반면, 코로나 19 간호에 대하여 온라인 강의와 현장 시뮬레이션 실습을 중재로 블렌디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Choi와 Kang (2022)의 연구의 경우, 온라인 이론 강의만 들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중재군의 지식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 나, 이 선행 연구에서는 총 3회기의 비교과 프로그 램 중, 온라인 이론 강의가 1차시 1시간 30분으로 단기 1차시였던 것에 반하여, 본 연구에서 온라인 이 론 강의가 9차시, 7시간 30분 제공된 것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단기간의 짧은 이론 강의가 지식의 증 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에는 부족하나, 차시 당 50분의 강의가 진행된 총 9차시의 이론 강의는 지식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대면 강의에 비하여,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 이션 교과목의 경우, 학생의 학습 요구에 따라 반복 학습이 가능한 점, 다양한 그림 또는 영상의 활용이 보다 자유로운 점(McCutcheon, Lohan, Traynor, & Martin, 2015)이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이 지식 향상에 있어서 대면 강의에 대하여 갖는 강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은 교육 중재 후 호흡기 감염병 간호에 대한 수행자신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온라인 시뮬레이션 을 적용하여 급성 심장질환자 간호 수행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증가한 결과(Chu & Hwang, 2017)와 선행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이 간호대학생의 자신감 향상에 기여한다(Shorey & Ng, 2020)는 결과를 지지한다. 반복 훈련이 가능한 시뮬레이션은,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 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Haerling, 2018;Park & Ji, 2018). 본 연구에서 수행자신감은, ‘보호장구 착의 자신감’, ‘음압격리실 사용 자신감’, ‘보호장구 착의 후 간호수행 자신감’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온 라인 LAB 실습을 통하여 모두 학습이 가능했던 항목 들이다. 특히, 보호장구 등의 실습물품이 자택으로 배송되어 학생들은 대면 실습에서는 1∼2시간의 제한 적인 훈련이 가능했던 것에 비하여 본 교과목의 경우, LAB 실습 기간인 2주 동안, 개별 학습 요구도에 따라 여러 차례 반복 학습할 수 있었던 것도 수행자신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학생 들은 전체 5차시의 LAB 실습 강의를 최소 1회 이상 학습할 것이 요구되었으나, 평균 3회 학습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본 교과에서의 온라인 LAB실습 은, 주중 실습 일정과 반복 횟수, 복습하는 학습내용 등이 철저히 학생의 선호에 따른 개별화된 방식으로 진행된 것이 특징이다. 이는 교육공학을 온라인 실습 에 도입함으로써 개별화된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능 동적 학습을 이끌어 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Cant & Cooper, 2014). 이러한 개별화된 학습자 중심의 학습은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학습자신감을 향상시킨 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Berg & Lepp, 2023).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은 교육 중재 후 호흡기 감염병 간호에 대한 임상수행능력이 유의하 게 향상되었다.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으로 천식 아동 간호를 교육하였을 때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된 것으 로 자기보고 한 선행연구(Kim, Kim, & Lee, 2019) 와 Efendi 등(2023)의 메타분석에서 가상현실 시뮬 레이션 교육이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킨 다는 관찰 결과를 지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시뮬레이션을 적용하기에 앞서, 호흡기 감염병에 대 한 역사, 역학, 질병과 간호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졌 으며, 사례를 분석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강의를 한 후, 모둠조별로 호흡기 감염병 환자 사례연구를 하 게 하여, 향후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대응할 수 있 는 역량을 함양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특별히 이론 강의, 실습 강의와 실습, 사례연구 수업이 모두 시뮬 레이션에서 경험하게 될 호흡기 감염병 환자를 이해 하고 간호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행과 수행의 근 거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교과목 이수를 통한 학습의 누적이 임상수행능력의 향상에 기여했 을 가능성이 있다(Efendi et al., 2023). 강의에 사 용된 사례 및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는 호흡기 감염병 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을 중심으로 구성되 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순 간호에서 통합 간 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복잡성을 증가시켜, 학생들이 단계적으로 대상자를 파악하고, 이론적 근 거에 따라 간호수행을 결정하고 수행지시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Park & Ji, 2018), 시뮬레이션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특히 대면 실 습보다 충분한 개별 훈련 시간을 가진 후 온라인 시 뮬레이션에 참여한 학생들은, 사전에 제공된 충분한 단계별 학습 과정의 결과, 향상된 임상수행능력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수행자신감 점수는 설문지를 통하여 자 기보고식으로 수집되었으므로, 점수가 상향 보고되 었을 가능성은 제한점으로 남는다. 추후 연구에서는 임상수행능력 평가 중에 간호대학생이 평가항목을 수행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등 관찰을 통한 평가로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 한, 교과목 개발의 평가 단계에서, 일개 대학교의 간 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 험설계 연구로,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은 졸업 후 임상 현장에서의 간호 역량을 발휘하기 위하여 훈련 되는 것이므로, 선행연구에서 6개월∼1년 사이 지식 과 임상수행능력이 감소되며, 특히 임상수행능력이 더 빠르게 감소된다는 연구를 기반으로(Yang et al., 2012), 6개월 전후로 본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 생들의 간호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의 지속 정도를 확인하고, 재교육 후, 재교육의 효과를 평가 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을 정규 교과과정으 로 개발하여 운영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온 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은 간호 대학생의 간호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 향상 에 기여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교과목은 간호대 학생 뿐만 아니라, 호흡기 감염병 발생시 현장에 투 입되는 모든 보건의료 전공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데, 단, 교육 내용 중 간호의 영역은, 각 전공별 수행 교육으로 대체하여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비 대면 실습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간호대학생과 대상 자 모두의 안전이 확보하고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이 개발되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을 개발하고 평가하 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ADDIE 모 형에 근거한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레이션 교과목이 개발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운영 결과, 참 여한 모든 학생들이 교과목을 무리 없이 이수하였 고, 평가 단계에서는 호흡기 감염병 간호에 관한 지 식, 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는 결과를 통하여, 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 그램임을 확인하였다. 교육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비대면 교육 중에도 충실한 실습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간호교육에 요구되고 있다. 이에, 추후 연구에 서는 본 교과목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무작위 배정을 통한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 등 구조화된 연 구의 반복 수행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표 본수의 제한으로 인하여, 학습의 반복 정도에 따른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 향상의 정도를 분석하 지는 못하였으므로, 향후 표본수를 충분히 확보한 후, 반복학습 유무 또는 반복학습의 정도에 따른 지 식,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 향상 정도를 확인할 것을 제언한다. 향후 온라인 상에서 보다 생생한 현 장감을 전달하기 위하여 LAB실습이나 온라인 시뮬 레이션 진행시,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실습실이나 임 상 환경을 배경으로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생동감 증가가 교육에 미치는 효과 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 거하여,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병 간호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온라인 호흡기 감염병 간호 시뮬 레이션 교과목을 교과 운영에 적용할 것을 제안 한다.

    Figure

    JKSSN-11-2-91_F1.gif
    LAB practicum (left) and simulation (right) of onlin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nursing course

    Table

    Educational Needs for Onlin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Nursing Course (n=75)
    Operation of Onlin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Nursing Simulation Course
    *H1N1= Influenza A virus subtype; 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VID-19= Coronavirus disease;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PP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General Characteristics (n=37)
    Comparison of Nursing Knowledge, Performance 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Level Before and After Completing the Course (n=37)

    Reference

    1. Berg, E. , & Lepp, M. (2023).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student-center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69, 103622.
    2. Cant, R. P. , & Cooper, S. J. (2014). Simulation in the Internet age: The place of web-based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34(12), 1435-1442.
    3.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2020).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guidelines for medical institutions (for hospital-level medical institutions). Sejong: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4. Choi, H. , & Kang, H. (2022).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VID-19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8(4), 368-377.
    5. Choi, Y. , & Lee, E. (2019).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infection management intention & educational needs of new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among nurses who unexperienced NRID (SARS & M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 721-731.
    6. Chu, M. S. , & Hwang, Y. Y. (2017). Effects of web-based simulation and high-fidelity simulation of acute heart disease patient car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1), 95-107.
    7. Dick, W. , Carey, L. , & Carey, J. (2004).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6th ed.). Boston: Allyn & Bacon.
    8. Efendi, D. , Apriliyasari, R. W. , Prihartami Massie, J. G. , Wong, C. L. , Natalia, R. , Utomo, B. , et al. (2023).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on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outcomes in nursing staff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C Nurs, 22(1), 170.
    9. Foronda, C. L. , Fernandez-Burgos, M. , Nadeau, C. , Kelley, C. N. , & Henry, M. N. (2020).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spanning 1996 to 2018. Simul Healthc, 15(1), 46-54.
    10. Haerling, K. A. (2018). Cost-utility analysis of virtual and mannequin-based simulation. Simulation in Healthcare, 13(1), 33-40.
    11. Hsu, L. , Chang, W. , & Hsieh, S. (2015). The effects of scenario-based simulation course training on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efficac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31(1), 37–49.
    12. Hur, J. , & Park, H. J. (2015). Nursing students perception, competency of disaster nursing and ego resilience.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8), 121-138.
    13.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19, November 9). Core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Retrieved October 1, 2023, from https://www.icn.ch/sites/default/files/inline-files/ICN_Disaster-Comp-Report_WEB.pdf
    14. Kim, J. S. , Kong, J. H. , Choi, S. N. , Kim, S. , & Jung, E. Y. (2019). Development and effect of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7(1), 31-43.
    15. Kim, M. Y. , & Kim, M. S. (2017). Correlation among nurses' educational status, knowledge and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7), 589-598.
    16. Kim, M. , Kim, S. , & Lee, W. S. (2019).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nd a blended simulation of care for pediatric patient with asthm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5(4), 496-506.
    17.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0, January 20).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handbook for universities, second half of 2020. Retrieved October 1, 2023, from http://www.kabon-e.or.kr/notice/list/view.do?num=73220230914
    18. Lee, K. , & Shin, S. (2013).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6), 697-703.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330293
    19. McCutcheon, K. , Lohan, M. , Traynor, M. , & Martin, D. (2015). A systematic review evaluating the impact of online or blended learning vs. face‐to‐face learning of clinical skills in undergraduate nurse edu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1(2), 255-270
    20. McGrath, J. L. , Taekman, J. M. , Dev, P. , Danforth, D. R. , Mohan, D. , Kman, N. , et al. (2018). Us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environments to assess competence for emergency medicine learner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5(2), 186-195.
    21. Padilha, J. M. , Machado, P. P. , Ribeiro, A. , Ramos, J. , & Costa, P. (2019). Clinical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1(3), 1-9.
    22. Park, S. J. , & Ji, E. S. (2018). A structural model on the nursing competencies of nursing simulation lear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5), 588-600.
    23. Shorey, S. , & Ng, E. D. (2021). The use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among nursing students and registered nurses: A systematic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98, 104662.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April 4). Medium-term strategic plan 2008-2013. Retrieved October 1, 2023, from http:// www.who.int/gb/ebwha/pdf_files/AMTSPPPB/a-mtsp_3en.pdf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 October 1).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numbers at a glance. Retrieved October 1, 2023, from https://www.who.int/emergen-cies/diseases/novel-coronavirus-2019?adgroupsurvey={adgroupsurvey}&gclid=Cj0KCQjwl8anBhCFARIsAKbbpyTrFHuJCal5Gi6UX5lU2MrDpoP_Q_UPlGkhO9Q2wcfw1yl8mWpCoo4aAnEmEALw_wcB
    26. Yang, C. , Yen, Z. , McGowan, J. E. , Chen, H. C. , Chiang, W. , Mancini, M. E. , et al. (2012). A systematic review of retention of adult advanced life support knowledge and skills in healthcare providers. Resuscitation, 83(9), 1055-1060.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