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1 No.2 pp.107-120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3.11.2.107

Effects of “Room of Errors” Simulation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Behavior Intention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간호대학생을 위한 “Room of Errors” 시뮬레이션교육이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도에 미치는 영향

Sun-Young Jung1, Hee-Jung Kim2, Eun-Kyung Lee1, Ji-Hyun Park3*
1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2Professor, College of Nurs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3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정선영1, 김희정2, 이은경1, 박지현3*
1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부교수
2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교수
3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 Park, Ji-Hyun College of Nurs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33, Duryugongwon-ro 17-gil, Nam-gu, Daegu, 42472, Republic of Korea Tel: +82-53-650-4825, Fax: +82-53-650-4392, E-mail: jhpark0917@cu.ac.kr
20231114 20231204 20231220

Abstract


Purpose: We aimed to develop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 “Room of Errors” simulation program for educating nursing student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Methods: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method (two group, before and after evaluation) and enrolled 35 nursing students as the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SPSS/WIN Statistics version 25.0.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Room of Errors” simul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score of intention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 “Room of Errors”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effectively increased the intention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환자안전(patient safety)은 환자가 의료서비스 를 받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위험, 오류 및 피해를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3). 현대 의료시스템에 서 환자안전은 의료의 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 고, 환자의 권리로 인식되고 있지만, 의료기술과 수준 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환자안전사고는 꾸준히 발생하 고 있다(Agency for Health Research and Quality [AHRQ], 2013). 환자안전사고의 국내 현황을 살펴 보면 2022년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는 총 14,820건 으로 2018년 9,250건에 비해 증가하였다. 사고 발생 장소는 입원실(40.7%)이 가장 많았으며 사고 종류는 약물(43.3%)과 낙상(38.8%)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 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23). 간호사는 의료팀의 핵심 구성원이며, 입원실에서 환 자와 가장 가까이 접하고 있고, 투약이나 낙상 등의 환자안전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위치 에서 일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은 예비 의료인 으로서 환자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뿐 아니라 임 상실습을 수행하는 동안 간접적인 영향도 줄 수 있으 므로 환자안전에 대한 개념과 원칙을 알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관리에 관한 연구들 이 보고되고 있지만, 환자안전관리에 초점을 맞춰 교 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간호교육에서 임상실습교육은 현장 실무를 익히 고 직무에 필요한 지식, 술기, 태도를 학습하는 중요 한 과정이지만(Chun, Park, & Oak, 2021), 환자 권리 보장이 강화됨에 따라 환자의 요구로 인해 간 호대학생은 직접 간호에서 배제되고,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은 관찰 위주로 제한되고 있다(Kim & Song, 2020). 이렇게 제한된 임상실습은 실습의 질 을 낮추고 간호실무역량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 게 된다.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은 임상 현장과 유사 한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이 안전하게 연습하고 학습 할 수 있고, 능동적인 개입과 반복적인 실습 및 평가 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Eyikara & Baykara, 2017).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환자안전 교육에 대한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투약 관련 환자안전사고예방 시뮬 레이션 프로그램(Yu, Kim, Kim, & Lee, 2021), 문제중심학습과 시뮬레이션 훈련(Kuo, Wu, Chen, Chen, & Hu, 2020), 뇌 기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시뮬레이션프로그램(Jung, Lee, Lee, & Park, 2023) 등이 있다. 여러 가지 시뮬레이션 교육 방법 중 ‘Room of Errors (ROE)’ 는 학생에게 참여 적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유용한 시뮬레이션 교육방 법이다. 이는 실제 환자 병실과 유사한 실습실 내에 교수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의료오류들을 학생들이 직접 찾아내고 그 오류들을 복구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그 원인과 해결 방법을 학습하고 학생 들의 지식과 경험을 통합하게 한다(Kim, Y. J., 2022). ROE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국외 보건 의료 계에서 환자안전 교육 및 연구에 많이 활용되고 있지 만(Loboda, Vigneron, May, & Demore, 2019), 국내에서 환자안전관리 교육을 위해 활용된 사례나 보고는 거의 없었다.

    환자안전관리 행위는 환자안전관리 의도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Ajzen, 2013). 본 연구 에서는 환자안전관리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 위통제 및 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연구도구를 선정하였는데 Ajzen (2013)의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은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 인간의 행위는 행위 의도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행위 의도는 행위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개인의 태도,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에 의해 형성 된 신념인 주관적 규범, 개인이 행위를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지각된 행위통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고 설명하고 있다(Kang, Jang, & Song, 2020). 또한,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은 환자안전관리 수 행능력에 대한 자신감으로(Madigosky, Headrick, Nelson, Cox, & Anderson, 2006)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은 환자안전관리를 실천하 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Kang et al, 2020), 수행자신감이 높으면 환자안 전에 대한 문제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가능성 이 높다. 그러므로 ROE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환 자안전관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면 간호대학생 의 환자안전관리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 제, 행위의도가 향상되어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 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교육에서의 ROE 시뮬레이션 교육의 중요성과 효과를 확인하 고,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역량을 보다 효 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ROE 시뮬레 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확 인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 상으로 ROE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후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행위의도와 수행자신감의 차이를 분석하여 환자안전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3. 연구가설

    • 가설1.  ROE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환자안전관리 태 도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  ROE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환자안전관리 주 관적 규범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3.  ROE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환자안전관리 지 각된 행위통제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4.  ROE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환자안전관리 행 위의도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5.  ROE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환자안전관리 수 행자신감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ROE 시뮬레이션교 육이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태도, 주관적 규 범, 지각된 행위통제, 행위 의도와 수행자신감에 미 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대상자는 D시에 위치한 1개 대학교 간호학과 3학 년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듣고 이해하며,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 수는 G-power 3.1.9.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양측검정의 경우 유의수준 .05, 검정력 .50, 효과크기 0.80 (Kim & Ham, 2015)를 고려하면 산출된 표본 수는 한 그 룹당 14명의 대상자로 총 28명이었다. 산출된 표본 수는 최소 필요 표본 수이므로 지속 참여가 불가하 거나, 설문지 누락, 불완전한 설문지 등의 이유로 탈 락할 것을 고려하여 그룹당 20명을 대상으로 하 였다.

    자발적 참여 희망자만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희망자 중 제비뽑기 방법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배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대상자의 연구 의도 파악으로 실험 중재 효과에 영향을 받을 수 있 다는 점을 고려하여, 동일 시점, 다른 공간에서 모임 을 하고 설문 조사를 하였다. 또한, 대조군에게는 유 인물로 학습자료를 지원하고 학습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중 실험군 3명이 코로나19 확진 통 보 문자를 받았으며, 해당 대상자의 밀접 접촉자 2 명을 포함한 총 5명을 귀가 조처하여 중도 탈락자가 5명 발생하였다. 이에 최종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15 명 대조군 20명, 총 35명이었다.

    3. 연구도구

    1) 환자안전관리 태도

    Park, Kim과 Ham (2013)이 의료종사자의 환자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 도구를 Choi와 Lee (2015) 가 간호대학생에 맞게 수정 보완한 환자안전관리 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10문항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관리 태도가 높 음을 의미한다. Choi와 Lee (2015)의 연구에서 신 뢰도 Cronbach’s α=.86이었고,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75였다.

    2) 환자안전관리 주관적 규범

    Ajzen (2013)이 제시한 TPB의 문항구성 지침을 바탕으로 행위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준거집 단의 태도나 인식을 행위자가 지각하는 주관적 규범 에 대한 문항 중 간호대학생에 적합한 문항을 선발 하여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주관적 규범 문항으로 수 정하고, 도구에 대한 내용타당도 지수를 간호학 교 수 5인에게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총 2문항으로 7 점 Likert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간호 학 교수 5인의 도구에 대한 내용타당도 지수는 .90 이었고,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72였다.

    3) 환자안전관리 지각된 행위통제

    Ajzen (2013)이 제시한 TPB의 문항구성 지침을 바탕으로 자신이 특정 행동을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주관적 평가인 지각된 행동 통제 에 대한 문항 중 간호대학생에 적합한 문항을 선발 하여,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문항으 로 수정하고, 도구에 대한 내용타당도 지수를 간호 학 교수 5인에게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총 3문항으 로 7점 Likert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관 리 행위가 용이함을 의미한다. 간호학 교수 5인의 도구에 대한 내용타당도 지수는 .95였고,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67이었다.

    4) 환자안전관리 행위의도

    Ajzen (2013)이 제시한 TPB의 문항 구성 지침을 바탕으로 행위를 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생각이나 계 획인 행위의도에 대한 문항을 간호대학생에 적합한 문항으로 수정하여, 도구에 대한 내용타당도 지수를 간호학 교수 5인에게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총 3문 항으로 7점 Likert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 전관리 행위의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간호학 교수 5 인의 도구에 대한 내용타당도 지수는 .95였고,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92였다.

    5)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

    Madigosky 등(2006)이 환자안전/의료오류 관련 교육과정 평가를 Park (2011) 수정 보완한 도 구를 사용하였다. 총 10문항으로, 5점 Likert척 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 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Park (2011)의 연구에서 신 뢰도 Cronbach’s α= .85였고,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84였다.

    4. 연구 진행 절차 - ROE 시뮬레이션 교육 개발 및 운영 절차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의도 와 수행자신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종속변수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근거로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방법인 ROE 시뮬레이션 교육은 National League for Nursing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Rodgers, & Adamson, 2015) 를 토대로 개발하였다.

    1) ROE 시뮬레이션 교육 개발

    먼저,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시뮬레이션 맥락(Context)을 확인하 였다. 본 시뮬레이션의 목적은 ‘환자안전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한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할 수 있다.’로 확정하였다. 본 시뮬레이션은 안전에 대한 기본교육을 교과에서 다루는 ‘기본간호학’과 ‘기 본간호학실습’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임상 실습 경험이 있는 3학년 재학생에게 적합하다고 판단 하였다. 또한 ROE 시뮬레이션은 교육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해당 학기의 성적산출 근거인 평가는 아닌 것으로 확정하였다.

    두 번째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배경(Background)이다. ‘환자안전’이라는 시뮬레이션 목적은 간호교육인증 평가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중 하나이며, 병원인증평 가에서 중요한 문제로 제기하고 있어 간호대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적절하였다. 또한 고충실도 시뮬 레이터가 없는 학교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 션이므로 장비의 문제는 없으며, 시뮬레이션 세팅 후 시나리오 변경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시간적인 면에서도 효율적이었으므로 자원 할당에 도 적합한 시나리오라고 판단하였다.

    세 번째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설계(Design)에 대한 부분 이다. 본 시뮬레이션 활동의 학습 목표는 ‘환자의 안전 위험(hazards)을 파악할 수 있다.’, ‘환자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팀워크를 발휘한다.’로 구체적으로 제 시하였다. 시나리오 상황은 응급실에 입원한 여성 65 세 대상자에게 수술 전 간호가 모두 마무리된 상황임 을 인계받고 라운딩을 하는 사례로 작성하였다. 시나 리오 내용은 환자의 안전 위험 순위에 포함되는 투약 안전, 낙상 위험, 절차 안전, 병원 관련 감염, 심부정 맥혈전 예방, 손 위생과 관련된 오류 30개로 구성하였 다(Table 1). 각 오류는 임상에서 주로 발생하는 오류 로, 2021년 환자안전 통계 연보(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22)의 보고 내용을 토대로 신규간 호사 교육을 담당하는 간호사 3명과 함께 구성하였 다. 이후 임상의 적정의료관리 담당 의사와 간호사 각 1인에게 내용, 질, 충실도, 현실감 등을 자문받았고 이후 본 교육기관의 장비와 모형의 운영 가능성을 확인하고, 예비 세팅 후 임상 전문가에게 확인을 받 았다.

    네 번째로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시뮬레이션 경험(Simulation experience)에 대한 부분이다. 시뮬레이션 경험은 학습자 중심적이고, 몰입감 있으며, 경험적이고, 상호 작용적이면서 협력적이어야 한다는 기준을 토대로 학습자 활동을 정리하였다.

    다섯 번째로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촉진자와 교육 전략 (Facilitator and education strategies)에 대한 부 분이다. 학습자가 전혀 오류를 찾지 못할 때 환자의 안전 위험 순위를 재점검하도록 단서를 제공하였다. 또한 촉진자에 따라 다른 촉진 전략이나 단서가 제 공되지 않도록 QR코드를 통한 단서 제공 방법을 사 용하였다.

    여섯 번째로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참여자 부분이다. 참여자 모두가 시뮬레이션에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 해 해당 시뮬레이션의 경험이 없는 참여자로 구성하 였다. 그러나 다양한 성격적 성향과 자신감, 성적 등 의 변수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학습자 간 상의 후 역할을 분담하도록 하며, 학습자들이 동일한 경 험을 할 수 있도록 규칙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결과(Outcome)에 대한 부분이다. 교육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참여자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 위통제, 행동의도와 수행자신감을 확인하였다.

    2) ROE 시뮬레이션 교육 운영

    먼저,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시뮬레이션 맥락인 본 시뮬레이션의 목적 ‘환자안전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대상자에게 적합 한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할 수 있다.’를 교수자가 사전 브리핑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해당 교육은 시뮬레이 션 교육에 국한한 것으로 해당 학기 성적평가로 활용되 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두 번째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배경에서 교수자는 대상 자에게 ‘환자안전’이라는 시뮬레이션 목적의 중요성 에 대해 사전브리핑에서 강조하였다. 또한 본 교육 에 사용한 시뮬레이터는 저충실도 시뮬레이터이며, 교수자는 오류의 범위를 지정해 주고, 추후 토론을 위해 대상자가 해당 오류를 찾고, 기록하도록 하였 으며 즉각적인 수정은 하지 않게 하였다.

    세 번째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설계에 대한 부분 중 본 시뮬레이션 교육 운영에 대한 부분이다. 참여자를 능동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해 세 팀으로 나누고 3개 의 분리된 공간에 동일한 세팅을 한 후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실제 운영 시에는 사전에 사전 브리핑을 30분 시행하였고, 팀별로 시뮬레이션실에 서 오류를 발견하여 기록하는 시뮬레이션 running time을 30분 시행하였다. 이후 1시간의 디브리핑을 함께 하였고, 이후 1시간 동안 오류 해결을 위한 방 안과 그 근거를 팀별로 토론 하고 이후 전체 발표하 는 시간을 가졌다.

    네 번째로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시뮬레이션 경험에 대한 부분이다. 팀별로 해당 시뮬레이션 장소에 가서 학 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게 하고, 서로 소통하면 서 오류를 찾게 하였으며, 서로 협력하여 하나의 sheet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또한 해당 환자에 대한 기본 자료와 처방전은 실제 임상 사례와 처방전을 토대로 제시하여 몰입감과 현실감을 증진시켰다. 시 뮬레이션 중 궁금한 부분은 교수자에게 질의할 수 있게 하였고, 이에 대한 부분을 사전브리핑에서 모 두 소개하였다.

    다섯 번째로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촉진자와 교육 전략에 대 한 부분이다. 학습자가 전혀 오류를 찾지 못할 때 환자의 안전 위험 순위를 재점검할 수 있도록 단서 를 5분에 하나씩 제시하였고, 해당 위험에 대한 오 류의 개수를 알려주어 학습자가 직접 오류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해당 단서를 QR코 드로 만들어, 팀별로 각 1명의 촉진자인 총 3명의 교수자가 동일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일 관성을 유지하였고 이를 통해 학습자가 교수자의 직 접적인 개입 없이 촉진효과를 받을 수 있게 하였다.

    여섯 번째로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참여자 부분이다. 참여자 가 시뮬레이션에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고, 실제 로 해당 시뮬레이션의 경험이 없는 동일한 참여자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참여자의 다양한 성격적 성향과 자신감, 성적 등의 변수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학습자 간 상의 후 역할을 분담하여 모든 대상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관찰만으로도 모든 학습자가 디브리핑에 참여할 수 있음을 사전에 강조 하였으며, 다른 참여자가 찾은 오류를 재검토하는 역 할도 필요하며, 이를 학습자 간 상의를 통해 배정하 도록 하여 모든 학습자가 역할을 수행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effeies et al., 2015)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참여 자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행동의도, 수행자신감을 확인하였다.

    5.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 적과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자발적인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게 동의서를 받은 후 자료를 수집하 였다. 연구대상자가 연구 참여에 강압을 느끼지 않 도록 연구보조원이 동의서를 받고 자료를 수집하였 고,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 연구진행 절차, 연구 참여로 인해 예상할 수 있는 이득과 위험 성, 익명과 비밀 보장을 설명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 언제라도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으며, 연구 참여를 철회하여도 성적을 포함한 어 떠한 불이익도 없음과 수집된 자료는 코드화 처리됨 을 설명한 후 서면동의서를 받았다. 연구보조원이 수집한 자료는 코드화하여 연구자에게 전달하였다. 탈락자를 포함한 연구참여자 전원에게 학용품을 보 상으로 제공하였고, 대조군 중 희망자에 한하여(10 명) 해당 프로그램을 추후 교육하였다.

    6. 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11월 4일 실험군과 대 조군을 같은 시간에 분리된 장소에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보조원을 통해 자가보고식 설문지 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7.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WIN Statistic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가설 검정 을 위한 정규성 검증은 shapiro-wilk test로 분석하 였다. 정규성 검증 결과 환자안전관리 태도와 지각된 행위통제, 환자안전관리 수행 자신감은 정규성이 확 인되어 independent t-test로, 주관적 규범과 행위 의도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아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2와 같 다. 대상자의 나이는 실험군 21.73±2.58세, 대조 군 21.20±1.11세였다(t=0.83, p=.411). 실험군은 15명 모두 여학생이었고, 대조군은 여학생이 18명 (90.0%), 남학생이 2명(10.0%)이었다. 실험군의 직 전 학기 평점 3.5점 이상은 7명(46.7%), 미만은 8명 (13.3%)이었고, 대조군은 평점 3.5점 이상이 12명 (60.0%), 미만이 8명(40.0%)이었다(χ2=1.85, p= .603). 임상실습 중 안전사고 경험은 실험군이 6명 (40.0%), 대조군이 5명(25.0%)이었고(χ2=0.90, p= .344), 임상실습 중 안전사고 목격 경험은 실험군이 11명(73.3%), 대조군 10명(50.0%)이었다(χ2=1.94, p=.163). 환자안전관리 교육을 받았던 학생은 실 험군 10명(66.7%), 대조군 8명(40.0%)이었다(χ2= 2.44, p=.118).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실험군 7.30±1.46점, 대조군 6.50±1.89점이었고 (t=1.36, p=.182), 임상실습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실험군 7.23±1.18점, 대조군 6.15±1.96점이었다 (t=1.90, p=.067).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한 것 으로 나타났다.

    2. 가설검증

    ROE 시뮬레이션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환 자안전관리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행 위의도 그리고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 차이를 비 교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환자안전관리 태도는 실험군 37.65±3.87점, 대 조군 30.33±4.22점으로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나(t=5.34, p<.001), 주관적 규범 은 실험군 12.45±0.89점, 대조군 11.80±1.47점으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z=1.62, p= .158). 지각된 행위통제는 실험군 16.10±2.99점, 대조군 11.27±2.99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었고(t=5.64, p<.001), 행위의도도 실험군 19.50±1.67점, 대조군 12.93±1.22점으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12.84, p<.001). 환 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도 실험군 42.55±4.03점, 대조군 33.47±4.5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t=6.28, p<.001).

    Ⅳ.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역량을 향 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해 ROE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계획 된 행위이론을 바탕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ROE 시뮬레이션교육을 받은 간호대 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77점이었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환 자안전관리 태도를 측정한 선행연구의 결과 7점 만점 에 평균 6.56점(Kang, et al., 2020)이었고, 이는 본 연구의 환자안전관리 태도 점수를 7점만점으로 환산한 5.3점보다 높았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각된 행위통제는 7점 만점에 6.33점(Kang, et al., 2020) 으로 본 연구의 환자안전관리 지각된 행위통제 점수가 7점 만점에 평균 5.37점인 것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 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가 COVID-19 팬데믹 시기 실습수업을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경험하면 서, 실무를 통해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술기 및 태도를 학습할 수 있는 경험이 적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은 실제 수행 이 제한되는 임상실습 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반복 적인 경험학습을 제공하여 간호학생이 환자안전관련 기술을 이해하고 습득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Yu et al., 2021). 본 연구결과 ROE 시뮬레이션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태도 점수, 지각된 행위통제 점수와 행위의도 점수가 ROE 시뮬레이션교육을 받지 않은 간호대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결과도 이를 지지하 고 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에게 환자안 전, 감염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후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개인보호구에 대한 태도가 상승한 결과 (Jung, et al., 2023)와도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또한, Ajzen (1991)은 인간의 행동은 행동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행동 의도는 개인의 행동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평가인 태도, 행위자에 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준거집단의 태도나 인식을 행위자가 지각하는 주관적 규범, 그리고 자신이 특 정 행동을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주 관적 평가인 지각된 행동 통제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ROE 시뮬 레이션을 통해 대상자는 팀별로 오류를 발견하여 기 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거 및 해결방안을 토 론하고 발표하는 경험을 통해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와 행위통제감이 커지고 그로 인해 환자안전관 리 행위 의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 ROE 시뮬레이션교육을 받 은 간호대학생과 받지 않은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규 범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의 ROE 시뮬레이션은 ‘환자의 안전 위험을 파악할 수 있다.’, ‘환자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팀워크를 발휘한다.’는 학습목표를 제시하여 직접 간호보다는 팀별로 서로 소통하면서 오류를 찾고, 토론을 통해 오류 해결을 위한 근거 및 해결 방안을 탐색할 수 있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 지각된 행위통제 및 행 위의도는 향상되었으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수행하 도록 부과되는 사회적 압력인 주관적 규범에는 영향 을 미치지 못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 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행위의도에는 주관적 규범이 두 번째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Kim & Jeong, 2019)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규범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Kim N. Y., 2022)으로 나타났고 간호대학 생의 주관적 규범이 COVID-19 관련 예방행위의도 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Fan et al., 2021)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의 주관적 규범 역시 환자 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Kim N. Y., 2022)으로 나타나고 있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주 관적 규범은 임상현장의 관리자, 구성원들이 환자안 전관리활동을 하도록 기대하는 것에 대한 개인의 인 식이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직접간호의 비중이 높은 간호사에게서는 행위의도를 매개하여 행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Kim & Jeong, 2019), 직접간호에 대한 제한점이 있는 간호대학생 의 경우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수행하도록 부과되는 사회적 압력 또한 낮은 것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생 각된다. 주관적 규범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관찰자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Kim, 2018), 이후 ROE 시뮬레이션 시 오류를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한 토론 후 학생이 직접 오류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고, 교수자와 학생이 서로 관찰한 결과 를 공유하면서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을 구성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행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을 내면화시키는 것을 통해 행위의 변화 를 이끌어 내는 동기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관적 규범 도구가 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신뢰도와 타 당도가 확보되지 않았을 수 있으므로 주관적 규범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추후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 된 주관적 규범 도구를 활용하여 반복연구를 하여 인과관계를 명확히 확인 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 결과 ROE 시뮬레이션교육을 받은 간호 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 점수는 5점 만 점에 4.26점으로 ROE 시뮬레이션교육을 받지 않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 점수 3.35 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같은 도구로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과 임상실 습을 교내실습으로 대체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관리 수행자신감을 측정한 결과 각 3.88점과 3.76 점으로 나타난 것(Lim & Song, 2021)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은 의 료 관련 감염 예방 및 관리, 투약 안전, 수혈관리 등 의 환자안전을 위한 훈련에 적합하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Cant, Cooper, & Lam, 2020)를 지지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개인보다는 팀을 이루었을 때 오류 발견율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Kim, Y. J., 2022), 동료와 팀을 이루었을 때 더욱 빠르게 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고 자신들이 찾은 것이 위 험요인이라는 확신감도 높았다는 결과(Clay et al., 2017)로 미루어 본 연구에서 ROE 시뮬레이션을 5-6명의 팀으로 진행하였던 것도 환자안전관리 수 행자신감을 높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환자안 전 교육방법 중의 하나로 환자안전에 위험이 될 수 있는 상황을 재현하여 실제 환자를 위험에 노출시키 지 않으면서 교육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교육은 WHO (2011)의 환자안전 교육과정 가이드에서도 제 시하는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다. 그 중 ROE 시뮬레 이션은 교수자가 설정한 오류를 학생이 찾아 해결방 안을 모색하면서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통 합하게 하는 교육방법으로(Kim, Y. J., 2022), 간 호교육인증평가의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하나인 ‘환 자안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충실도 시뮬 레이션을 포함하여 표준화 환자, 하이브리드, 단순 마네킹 등 다양한 상황으로 시연이 가능한 효율적인 교육방법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D시에 위치한 1개 대학교를 대 상으로 하였고,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이므로 연 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또한 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의 사용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가 확보되지 않았을 수 있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 는 ROE 시뮬레이션을 하면서 학생이 오류를 발견 하고 해결 방안을 토론하였으나, 오류를 직접 교정 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학생들이 발견한 오류를 직접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과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를 활용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의 안전 위험을 파악할 수 있다.’와 ‘환자안전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 팀워크를 발휘한다.’를 학습목표로 응급실 에 입원한 65세 여성 대상자에게 수술 전 간호가 모 두 마무리된 상황임을 인계받고 라운딩을 하는 사례 이며, 시나리오 내용은 환자의 안전 위험 순위에 포 함되는 투약 안전, 낙상 위험, 절차 안전, 병원 관련 감염, 심부정맥혈전 예방, 손 위생과 관련된 오류 30개를 팀별로 찾아내는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와 관련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및 행위 의도와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ROE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태도 점 수, 지각된 행의 통제 점수, 행위 의도 점수 및 환자 안전관리 수행자신감 점수가 참여하지 않은 간호대 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ROE 시뮬레이션이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역 량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학생들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내 보건의료관련 종사자의 환자안전 교육 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Figure

    Table

    Room of errors simulation education set up for nursing students
    ID=identification; AST=after skin test; CVC=central venous catheter; BP=blood pressure; EKG=electrocardiogram; OP=operation; NPO=nil per os; NG=nasogastric; DVT=deep vein thrombosis.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 = 35)
    *Fisher’s exact test, M=mean; SD=standard deviation.
    Testing a Hypothesis (N = 35)
    SD=standard deviation.

    Reference

    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2. Ajzen, I. (2013). Constructing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questionnaire. TPB Questionnaire Construction. Retrieved October 11, 2022, from http://people.umass.edu/aizen/pdf/tpb.measurement.pdf
    3. Cant, R. P. , Cooper, S. J. , & Lam, L. L. (2020). Hospital nurses’ simulation-based education regarding patient safety: A scoping review.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44, 19-34.
    4. Choi, S. H. , & Lee, H. Y. (2015).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1(2), 184-192.
    5. Chun, K. H. , Park, Y. S. , & Oak, J. W. (2021).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undergraduate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3(1), 37-45.
    6. Clay A. S. , Chudgar S. M. , Turner K. M. , Vaughn J. , Knudsen N. W. , Farnan J. M. , et al. (2017). How prepared are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o identify common hazard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nal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14, 543–549.
    7. Eyikara, E. , & Baykara, G. Z. (2017). The importance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World Journal on Educational Technology: Current Issues, 9(1), 2-7.
    8. Fan, C. W. , Chen, I. H. , Ko, N. Y. , Yen, C. F. , Lin, C. Y. , Griffiths, M. D. , et al. (2021).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explaining the intention to COVID-19 vaccination uptake among mainl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 online survey study. Human Vaccines & Immunotherapeutics, 1-8.
    9. Jeffries, P. R. , Rodgers, B. , & Adamson, K. (2015). NLN Jeffreis simulation theory: Brief narrative descrip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6(5), 292-293.
    10. Jung, S. Y. , Lee, E. K. , Lee, B. G. , & Park, J. H. (2023). Nursing simulation program for patient safety and infection prevention based on a brain-based learning framework: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11(1), 97-108.
    11. Kang, M. , Jang, Y. , & Song, U. R. (2020).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nursing students: A quantile regression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3), 230-240.
    12. Kim, H. J. , & Song, H. S. (2020).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troductory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2), 74-84.
    13. Kim, N. Y. (2018). Structural model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operating roo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yang University, Nonsan.
    14. Kim, N. Y. (2022).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Focus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Koran Public Health Nursing, 36(1), 47-58.
    15. Kim, N. Y. , & Jeong, S. Y. (2019).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clinical nurse: A modifi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5(5), 384-392.
    16. Kim, S. H. , & Ham, Y. S.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08-319.
    17. Kim, Y. J. (2022).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with ‘Room of errors’ sim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10(2), 35-45.
    18. Kuo, S. Y. , Wu, J. C. , Chen, H. W. , Chen, C. J. , & Hu, S. H. (2020).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and problem-based scenarios on the improvement of graduating nursing students to speak up about medication errors: A quasi-ex-perimental study. Nurse Education Today, 87, 104359.
    19. Lee, E. O. , Lim, N. Y. , Park, H. A. , Lee, I. S. , Kim, J. I. , Bae, J. I. , et al. (2009). Nursing research. Seoul: Soomoonsa.
    20. Lim, J. R. , & Song, H. S. (2021). A comparison of the clinical competence, knowledg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confide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6(7), 65-73.
    21. Loboda, C. , Vigneron, J. , Mulot, C. , May, I. , & Demore, B. (2019). A “chamber of errors” adaptation to assess pharmaceutical assistants’ knowledge in chemotherapy preparation. Journal of Oncology Pharmacy Practice, 25(2), 454-459.
    22. Madigosky, W. S. , Headrick, L. A. , Nelson, K. , Cox. K. R. , & Anderson T. , (2006). Changing and sustaining medical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patient safety and medical fallibility academic medicin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81(1), 94-101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22). Korean patient safety incident report 2021.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23). Korean patient safety incident report 2022.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5. Park, J. H. (2011).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skill of nursing students toward patient safety.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6. Park, M. J. , Kim, I. S. , & Ham, Y. L. (2013). Development of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 for hospital employe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3(5), 332-341.
    27. Patient Safety Tools. (2013, March).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Retrieved November 19, 2023, from https://www.ahrq.gov/research/findings/evidence-basedreports/makinghcsafer.html
    28.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11, July 6). WHO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 Multi-professional edition. Retrieved July 19, 2022, from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9789241501958
    29.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23, September 11). Patient safety. Retrieved November 6, 2023,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patient-safety
    30. Yu, M. , Kim, E. Y. , Kim, J. K. , & Lee, Y. (2021). Development of a simulation program related to patient safety: Focusing on medication err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7(2), 107-117.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