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2 No.1 pp.17-32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4.12.1.17

Patient Safety Competence Nursing Experience of Nurse : A meta-synthesis Study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합성 연구

Jin Lee1, SunHwa Park2, Mi-Seon Kim3*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Seojeong University
2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ungcheong University
3Registered Nurse, Department of Nursing,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이 진1, 박선화2, 김미선3*
1서정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2충청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3한양대학교병원 간호국 간호사
*Corresponding Author: Kim, Mi-Seon HANY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Seoul: 222-1, Wangsimni-ro Seongdong-gu, Seoul, Korea (04763) Tel: +82-2-3399-1592, E-mail: aurora009@hanmail.net
20231101 20231213 20240126

Abstract


Purpose: To review systematically the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the patient-safety competence of nurses based on nurses’ nursing experiences, synthesizing the results understanding. Methods: The well-known Thomas and Harden meta-synthesis method was applied. Five databases were searched for relevant literature: CINAHL , RISS , DBpia, KISS, NDSL. Results: Six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for review. Three themes were synthesized: patient-safety incidents and patient-safety competency of nurses in emergency situations; processes to advance patient-safety competency in nursing; advancing patient-safety competency in nursing. Eight subthemes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is study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nurses’ experiences in terms of patient-safetycompetenc. Based on systematic review and meta-synthesis of basic patient-care data, study results sugges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patient-safety competencies in nursing and provide evidence for further research.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환자안전역량이란 환자를 불필요한 위해 및 그 위험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간호인력이 갖추어야 할 지식, 기술, 태도를 의미하고(Jang, 2013),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이란 환자에게 사고나 위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며, 환자안전을 증진 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환자확인, 구두 및 전화처방, 투약간호, 수술 및 시술 간호, 안전한 환경, 감염예방, 낙상예방, 욕창예방, 위기관리 등을 의미한다(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7; Lee & Yang, 2022). 즉, 환자안전역량 간호는 환자안전 활동 및 관리 전체와 같은 간호사의 핵심역량을 의미한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는 환자안전이 병원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라고 하였고, 환자안전은 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성을 환자안전을 위해서 허용되는 범위 안에서 최소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또한, 환자안전사건은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사건으로, 그 사건으로 인해서 환자에게 발생한 피해의 유무와 상관없이 병원에서 일어나는 모든 종류의 사건(Incident), 과오(error), 실수(mistake) 등을 포함하는데(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0), 환자안전은 예방 가능한 사고로 인한 위험이 없는 안전한 상태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4)라고 하였다. 이에 환자안전사건은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사건으로서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피해의 유무와 상관없이 의료기관에서 일어나는 모든 종류의 사건(Incident), 과오(error), 실수(mistake) 등을 포함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0). 따라서 환자안전을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는 바로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높이는 것으로서, 의료기관 내에서 직접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은 환자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다(Lee & Yang, 2022).

    이처럼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중요성 관련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중환자실 간호사대상의 연구(Lee & Lee, 2016)에서도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역량이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안전 간호활동 관계를 조사한 연구(Kim & Kim, 2017)에서 안전간호활동과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 환자안전역량과 환자 안전문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환 자안전역량이 안전간호활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뒷받침하였다. 그리고 회복마취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 구(Yoo & Kim, 2021)에서는 환자안전 기술, 환자 안전 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고 환자안전지식은 임상경력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환자안전지식, 기술, 태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시행된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위험요인 인식과 역량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수행한 연구(Lee, Jeon, Lee, Kim & Jeong, 2021)는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직접 등록 여부, 간호사 1인당 1일 평균 투석건수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호사가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후 환자 안전역량 간호를 어떠한 방향으로 수행하고 있는지 시도된 연구는 환자안전역량 관련 연구에 비해서 많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환자안전을 보장하고 안전 사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의료인, 특히 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내에서 간접간호뿐만 아니라 직접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들의 환자안전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에 관한 중요성의 강조(Lee & Yang, 2022) 및 환자안전간호역량을 증진 시키는 방안도 강화해야 한다(Kim & Kim, 2017;Lee & Lee, 2016)며 양적연구 및 질적연구와 같은 다양한 연구 방법으로 선행연구들이 시도되어왔다.

    이에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은 대한간호협회 산하 기관인 Korea Nursing Association (KNA) 연수원에서 매년 시행되고 있는 보수교육과 각종 학회 및 세미나 교육을 비롯해서 소속된 기관의 환자안전역량 강화 교육 개발 및 역량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는 향후 간호사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매우 중요한 연구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파악하고 환자안전사건 발생과 관련된 문제점을 보완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가 제시한 다양하고 서로 다르게 나타난 결과를 환자안전 역량 간호에 적용하기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연구결과에 경험에 대한 각각 연구의 고유성을 존중하면서 핵심개념의 도출, 전환, 통합을 통해 결과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 한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은(Thomas & Harden, 2008) 특징의 질적 메타합성 방법을 통하여 심도 있는 해석과 합성을 통해서 각각의 연구들만으로는 밝혀지지 않은 공통적인 핵심개념들을 도출하려는 방법으로(Sandelowski & Barroso, 2007) 환자안전 역량 간호 경험의 의미 있는 개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국내 간호사는 국외 간호사와는 다른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국내 간호사 고유의 환자 안전역량 간호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 환자안전사건이 발생한 이후에도 지속 가능한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결과들의 공통점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고 합성하여 재해석함으로써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 메타합성 방법론에 의거해 관련 질적 연구들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의미 있는 주제들을 합성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환자안전역량 간호 증진을 위한 교육 몇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에 대해서 탐색한 결과들을 합성한 질적 메타합성(qualitative meta-synthesis) 연구이다.

    2.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는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의 체계적 문헌고찰 흐름도(Moher, Liverati, Tetzelaff, & Altaman, 2009)를 기반으로 하여 문헌선정 과정을 진행하였다(Figure 1).

    1) 문헌의 검색

    문헌검색의 기간 설정은 2013년에서 2022년까지 대상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기간을 10년으로 설정한 근거는 현상학 연구 고유의 시간적 자료를 통한 의미를 분석하고 합성하여 해석하기 위함이었다. 국내에서 출판된 질적 연구 논문 중에서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을 탐색한 연구들을 찾기 위해서 다음의 검색엔진을 사용하였다.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Data Base Periodical Information Academic (DBpia),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의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국외 데이터베이스로는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HAL)을 사용하였다. 합성대상 논문 선정의 기준은 (1) 국내 간호사 면허를 받은 병원 간호 사를 대상으로 (2) 질적연구방법으로 수행한 연구, (3)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을 탐색한 연구, (4) 한국어 또는 영어로 출판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제에 맞는 몇 개의 질적 연구를 예시 연구로 찾아서 각 연구의 제목과 Keywords 및 주요어를 참고해서 검색어를 선정하였다. 검색어(search key words)는 간호사 혹은 간호, 환자안전, 질적, 경험을 사용하였다. 검색 들을 전체 영역에서 AND 또는 OR로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2) 문헌의 선정과 제외기준

    검색 결과 총 221편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이 중 중복 175편, 제목의 검토를 통해서 본 연구의 합성 주제와 관련이 없는 문헌 3편, 양적 연구 37편, 간호 사가 아닌 대상의 연구 2편을 제외하고 6편의 문헌 이 선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총 6편의 문헌이 질적 메타합성 대상으로 선정되었다(Figure 1).

    3) 문헌의 자료추출

    본 연구자는 최종 선정된 논문들을 주의를 기울여 깊게 여러 번 읽고 탐독하며 각 논문의 기본 정보(출판 학회지, 연도, 저자, 연구 목적 및 연구 설계와 질문, 연구 참여자, 질적 연구방법론, 자료수집 방법 등), 주요 결과 및 결과별 참여자의 진술문을 별도의 표로 정리하였다(Table 1).

    4) 문헌의 질 평가

    질적 메타합성에서 합성대상이 되는 개별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단계로 다뤄지고 있지만, 질 평가의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이냐에 대해서는 연구자 및 전문가들 사이의 널리 합의된 방법은 없다. 각각의 연구마다 따로 질 평가를 통해서 메타합성의 원자료가 되는 각각 연구 결과의 신뢰도가 심각하게 훼손되었는지를 검토하여 합성에서 제외 시키거나, 질 평가를 개별 연구를 더 심층적으로 이해 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고 평가는 하되 연구방법론적인 질에 따라서 제외하기보다는 주제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판단 및 검토하기를 권장하는 의견도 있다 (Sandelowski & Barroso, 2007). 본 연구에서 최종 선정된 6편의 문헌은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 (CASP) for qualitative studies 2011년 판을 이용하여 본 연구자 3인이 각 연구의 질을 평가 하였다. CASP는 연구 목적의 명확한 서술, 질적 방법론 선택의 적절성, 연구 설계의 목적 적합성, 대상자 모집 및 자료수집 방법의 적절성, 참여자와 연구자 간의 관계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려, 자료 분석의 엄격성, 연구결과 서술, 연구의 가치 등을 포함한 10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대상 연구가 각 문항을 충족하면 2점, 전혀 충족하지 못하면 0점을 부여하여 부여된 점수를 문항별로 계산하였으며 합성 대상에 포함시키지 못할 만큼 연구의 질이 의심되는 논문은 없었다(Table 2).

    3. 질적 메타합성 단계 및 분석

    본 연구는 Thomas와 Harden (2008)에 의해 제시된 질적 연구에 대한 메타합성 방법을 근거로 하여 메타합성을 실시하였다.

    • 1단계 : 연구자는 개별 연구 결과에서 제시된 주제, 범주, 진술문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본 연구의 메타합성을 위해 관련된 내용 모두를 추출하여 정리하였다(codes).

    • 2단계 : 연구자는 정리된 결과(codes)를 모아 유사성과 차이점, 관련성 등에 대해 주의 깊게 반복적으로 검토하면서 유사한 내용을 각각의 하위주제(synthesized sub-themes)로 분류 하였다. 분류된 하위주제에 대해서도 다시 codes와 검토하며 수정하였다.

    • 3단계 : 2단계에서 분류된 하위주제 목록을 중심으로 각 연구 별로 제시되었던 주제 이상의 정련화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합성된 주제 (synthesized themes)를 도출하였다.

    Ⅲ.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을 탐색한 질적연구들을 통해 3가지의 합성주제와 8개의 하위합성주제가 도출되었다. 합성된 주제는 총 3 가지로 응급 상황에서의 환자안전사건과 환자안전 역량 간호에서부터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위한 향상을 위한 과정을 겪으면서 환자안전역량 간호가 향상 되는 것이었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3).

    합성주제 1. 응급 상황에서의 환자안전사건과 환자안전역량 간호

    간호사의 응급 상황에서의 환자안전사건과 환자 안전역량 간호의 첫 번째 하위합성주제는 위기 속에서도 수행되는 환자안전역량간호이었다. 간호사들은 환자안전사건의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었으며, 환자의 상태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었다. 두 번째 하위합성주제는 환자안전역량 간호 발휘의 어려움이었다. 이는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업무의 과중을 느꼈고, 열악한 근무 환경과 같은 개인 차원의 문제를 넘어 조직 시스템 차원의 문제에 압도됨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합성주제 1-1. 위기 속에서도 수행되는 환자안전역량 간호

    “다음에 똑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게 대처를 하는데 사고가 일어날 뻔한 현장을 제가 목격을 했을 때도 다시 한 번 교육을 하는거죠.” (A5)

    “약을 주더라도 한 번 더 확인하고 하는 경우가 더 많죠. 알아도 이거 IM 맞제 하고 물어보고 주는 경우가 생기고... 한 번 실수하게 되니까 자꾸 남한테는 내 꺼(내환자 주사)를 안주게 되고 나도 남의 꺼(다른 팀 환자 주사)를 안해주고 싶고... 그런 거...책임 소지도 있구요.” (A6)

    “물이 떨어져 있으면 물 닦아라 그러면 막 밀대 찾아서 닦아요. 물 때문에 미끄러진다고... 침대 발통도 밀고 잠가놓고, 그리고 의자가 침대 바로 앞에 있잖아요. 그러면 의자가 침대에서 조금 멀리 있으면 의자 쪽으로 다리를 뻗어 내려올려고 하다가 그러다가 넘어지니까 아예 치워 버리고 그래요.” (A6)

    하위합성주제 1-2. 환자안전역량 간호 발휘의 어려움

    “인력이 부족했어요. 전담 중환자실로 차출된 사람들이 수시로 격리되고 돌아와야 하고 해서 인력이 부족했죠. 격리도 안 되고 쭉 일하는 간호사도 피곤하고, 수시로 격리되는 간호사도 여기저기서 일하다가 격리 신세가 되기도 하고. 숙련된 인력이 부족한 데다 의료진들이 시시각각 계속 격리되니까 피로감이 상당했죠. 매일 오버타임을 서너 시간씩 할 수밖에 없었어요.” (A5)

    “수술보는 사람은 부족한데 방은 여기저기 열라고 하고, 우리는 또 급하니까 빨리빨리 해야 되고, 특히 응급수술 같은 경우에는 원칙을 지킬 시간이 없죠. 위급하니까.” (A5)

    “근데 우리병원 OCS 상에 문제가 조금 있는 거 같아요. #6와 ×6가 화면에 이렇게 오더가 나면서 자칫 잘못하면 헷갈리게 보일 때가 많아요. #6 는 #6 이대로 처방나면 되고, ×6는 ×6으로 나지 말고 q4시간 마다 이런 식으로 처방나면 안 헷갈리고 좋을텐데 꼭 #6, ×6으로 나니까 바쁘다보면 #와 ×를 자칫 잘못 픽업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거 같아요. 이렇게 시스템의 문제도 있는건데...시스템만 제대로 되어 있어도 이렇게 3 duty 동안 계속 잘못 줬을 가능성이 없었을 거 잖아요(한숨 쉼).” (A1)

    합성주제 2. 환자안전역량 간호 향상을 위한 과정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향상을 위한 과정 경 험에서 나타난 첫 번째 하위합성주제는 불안과 두려움으로 간호사들은 두근거림, 신경 예민 등 불안 증상을 호소했으며 간호사로서 사건의 책임에 대한 두려움을 느꼈다. 두 번째 하위합성주제는 긴장감과 죄책감으로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고 죄책감을 느꼈고 전문가답지 못한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통감했을 뿐 아니라 환자에게 해를 끼친 점에 대해 죄책감을 무겁게 느끼고 있었다. 세 번째 하위합성주제는 인내와 보람의 과정이었는데 어려움 속에서 상황을 인내하며, 결국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환자안전역량 간호가 향상되기 위해서는 결과로 나타난 하위합성주제와 같은 3가지 주요 주제와 같은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합성주제 2-1. 불안과 두려움

    “방문이 열려있고 뭔가 쿵 소리가 나서 달려갔더니 그 환자분이 bed-ridden인데 난간이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 침대 옆 탁자에 있는 리모컨을 집으려고 하다가 사이드레일 끝쪽에 빈 공간이 있는 데 몸이 너무 마르신 상태여서 몸을 기울이다가 그 난간으로 빠지신 거예요. 너무 무서웠어요. ‘진짜 잘못되면 어떻게 하지?’라는 두려움이요.” (A2)

    “당시에는 환자가 일단 쓰러져 있고 빨리 처치를 해서 환자가 이상이 있는지 봐야겠다는 생각 밖에 없었어요. 그렇게 정신없이 있다가 퇴근해서 집에 가면 걱정이 많이 돼요. 환자분 괜찮은지 말이죠.” (A4)

    하위합성주제 2-2. 긴장감과 죄책감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계속해서 사고가 발생하면 위축되고 자신감이 없어져요. 그리고 왜 확인을 안 했을까? 그때 왜? 라는 자책감이 가장 많이 드는 것 같아요.” (A2)

    하위합성주제 2-3. 인내와 보람

    “처음에는 상태가 위중했던 환자분이 나중에는 좋아지셔서 글로 써서 저희한테 이야기해주셨는데 첫 말이 ‘고맙다고 옷 입은 거 보니 많이 힘들죠?’ 하며 힘내라고 하는 거예요. 제가 힘 내라고 해드려야 하는데 오히려 저희한테 고맙다고 하시니...눈물이 핑 돌더라고요.” (A1)

    합성주제 3.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향상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향상 경험에서 나타난 하위 합성주제의 첫 번째 하위합성주제는 대상자 중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로 자격 있는 충분한 간호사 인력 배치를 하였고, 조직구성원의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자가 어떨까라는 생각을 한 번 더 하는 것은 대상자 중심의 환자안전 역량 간호의 실현이 나타난 것이었다. 두 번째 하위 합성주제는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전략 모색으로 환자안전역량 인식 수준의 향상과 개방적이고 명확한 의사소통으로 나타나 환자안전역량 간호가 증진되어 전략이 결국 확보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세 번째 하위합성주제는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확장이었으며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내면화와 환자안전을 포함한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하위합성주제 3-1. 대상자 중심의 환자안전역 량 간호

    “그 일 이후로 일할 때 보면은 오더를 평상시랑 다르다 그러면 다시 한번 확인을 하게 되고, 경각심을 갖고 주의하게 되고 그러니깐 조심하게 되는 것 같고 그래서 좋아요. 주사를 놓을 때 단순히 전에는 처방난대로만 이렇게 해서 주기로 했었는 데 이제는 내가 투약을 함으로써 그 환자가 어떨까라는 생각을 한 번 더 생각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됐던 것 같아요. 그리고 투약사고 내용을 항상 후 배들이 주사를 줄 때, 챙길 때 얘기를 항상 하고 있어요. 왜냐면 나와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얘기를 하고 있어요.” (A4)

    “여기 몇 호실 어느 어르신이 침대에서 내려오다가 떨어지셔서 골절 수술 하셨다고 절대로 혼자 내려오시지 말라고 말씀드렸죠. 그러니 많은 노인 환자들이 그런가? 하시면서 저희한테 도움도 청하시기 시작하시면서 확실히 사고가 줄었어요. 아무래도 저희가 구구절절 길게 설명하는 것 보다 이렇게 설명하는 게 확 와 닿으시나봐요.” (A2)

    “노인 환자분들 같은 경우에는 낙상방지, 안전관리 설명문이 너무 어렵잖아요. 그 분들에게 맞는 설명문이라든지 하다못해 글자라도 좀 크게 출력된 문구를 보시면 좀 낫지 않을까 싶고....... 또 노인 환자분들의 느린 템포에 맞춰줄 수 있는 검사 준비 시간, 입.퇴원 준비시간 등 제도적 개선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A2)

    하위합성주제 3-2.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전략 모색

    “그래도 예전에 비해 인증하면서 더 안전해진 것 같아요. 우리가 교육을 많이 받았잖아요. 체계에 대해서. 예를 들어 환자안전 사고가 발생하면 먼저 환자상태를 보고 주치의에게 보고하고 필요한 처치를 하고 전산으로 환자안전 사고를 보고하고 이렇게 다 절차가 있으니까. 그런 체계대로 따라 가는 것 같아요.” (A3)

    “솜 10개 카운트하는데... 그 후 마커 있는 걸로 바뀌었어요.” (A5)

    “입원하시는 노인 환자분들 같은 경우에는 정말 개인별로 건강 차이가 뚜렷한 것 같아요. 아시다시피 노인 환자인데 의외로 7, 80세라 해도 정정하신 분들이 있거든요. 60세라도 저희 말을 이해 못하는 분들이 많아요. 평소에 입원도 잘 안하시고 시골에 계신 분들은 좀 더 협조가 안되고 그래요. 이렇게 차이가 많으니까 개별적 접근이 안전관리 하는데 좀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싶어요.” (A2)

    하위합성주제 3-3.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확장 “안전사고를 겪게 되면 모든 것을 다시 생각하게 되는 것 같고 안 좋은 경험이지만 그 경험이 꼭 나쁘다고만 할 수 없어요. 이런 경험을 통해 쌓이면서 완벽하고 숙련된 간호사가 되는 것 같아요.” (A3)

    “사고경험 후에 스스로 예민해져서 남을 절대 못 믿게 되요. 적어도 3번은 환자를 확인하고 또 확인하게 되었어요. 항상 나태해지지 말자는 생각과 똑같은 일을 하니까 환자한테 조심해서 대하고 더 신중하고 마음가지도 달라졌어요.” (A3)

    “사례를 들으면 인식이 되니까, 그런 비슷한 상황의 환자를 대할 때 한 번이라도 그 생각을 하게 되니까 인식하게 될 것 같아요. 실제 사례를 한 번 듣고 두 번 들으면서 더 확인하고, 투약 연결할 때도 환자 한 번 더 확인하게 되고.” (A4)

    Ⅳ. 논 의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임상실무현장에서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적용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최종 선정된 총 6편의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합성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국내 간호사의 임상실무현장에서 확인된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경험은 응급상황에서도 환자안전사건과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수행하면서 환자안전역량 간호 향상을 위한 과정을 겪으면서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향상이라는 3가지 합성주제와 6개의 하위합성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질적 메타합성 연구에 사용된 6편의 연구 중 2편의 연구는 2020년 이후에 출판된 논문이었고, 4편의 연구는 2020년 이전에 출판된 논문이었다. 약 10년간의 시간적 변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간호사들은 임상실무현장에서 환자안전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 하며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확장하도록 최선을 다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로 나타난 합성주제는 ‘응급상황에서의 환자안전사건과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합성주제로 위기속에서도 수행되는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어려운 난이도 때문에 환자 안전역량 간호 발휘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주제가 도출된 결과(codes)에서는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업무의 과중을 느꼈고, 열악한 근무 환경 속 업무에 압도될 수밖에 없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을 결정한다(Baek & Shin, 2021;Lee et al., 2021;Lee, Lee, Ahn, & Kim, 2022)고 했다.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전문직 자율성 및 안전분위기에 따라 형성된다는 선행연구(Kim & Kang, 2022)와 유사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두 번째로 나타난 합성주제는 ‘환자안전역량 간호 향상을 위한 과정’으로 나타났다. 하위합성주제로는 불안과 두려움에 이어 긴장감과 죄책감을 느끼지만 인내를 통해 보람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록 환자안전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 함에도 불구하고 환자안전사건이 발생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었다. 이는 Kim (2011)의 환자안전 개념을 분석한 연구에서 나타난 환자안전 결과 문화형성, 조직문화로 선행되어야 성취될 수 있다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추후 통제 밖의 환자안전사건을 예방하기 위한 더욱 능동적인 환자안전역량 간호 전략을 수립하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따라서 환자안전사건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이미 발생한 환자안전사건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자안전역량 간호 발휘의 우수성을 간호 사에게 적용(Mok & Kim, 2020)해볼 수 있을 것이 다. 반면,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간호사는 소진이 되어 인내심으로 버틸 수밖에 없는 상당한 위기와 갈등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환자안전사건 및 위기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을 병원 간호사들의 사건보고 평가활용에 대한 우려감과 사건보고의 개선 효과에 대한 신념 부족이 사건 보고 행위와 관련됨을 보여준다(Kim, Song, Ahn, & Boo, 2021)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환자안전 사건보고가 추후에 적용될 인사 평가를 통해 간호사 개인에게 부정적인 좌절감을 줄것이라고 생각 된다.

    특히 하위합성주제결과로 도출된 인내와 보람에서는 환자안전사건을 지나서 환자안전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더욱 환자안전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전략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경험을 통한 간호에서 보람 마저 느끼는 경험도 알 수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Kim, Song, Rhee, & Hur, 2006)에서 병원간호사의 사건보고 불이행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무과실 보고 경험여부, 평가활용 우려, 개선효과에 대한 신념으로 나타나서 불안과 두려움에 이어 긴장감과 죄책감을 느꼈을 때 그 다음에 어떻게 의사결정하고 행동하는것에 따라서 환자안전역량 간호가 달라진다고 하여서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게다가 선행연구(Kim et al., 2006)의 연구수행은 약 10여년전에 이뤄졌지만 환자안전사건과 관련하여 부정적 경험요소를 감소시키고, 사건보고의 평가활 용에 대한 우려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직문화의 개 선이 필요하며 사건보고의 개선효과에 대한 신념을 강화해야 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연구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같이 환자안전사건 발생 및 위기는 돌발상황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임상실무현장의 간호사들이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인내심이 한계에 부딪히지 않도록 소진되는 부분을 단순한 간호조직적 차원의 지지뿐만 아니라 병원과 정책 차원의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병원조직 차원에서 간호사들이 환자안전 위기 상황을 소속된 부서 및 간호조직 차원에서 해결하도록 소극적으로 관망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업무 환경과 시스템을 조성해주어야 한다. 이뿐만 아니라 환자안전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간호사들의 소진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로 나타난 합성주제는 ‘환자안전역량 간호 향상’으로 나타났다. 하위합성주제로는 대상자 중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통해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전략을 모색해서 결국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확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 위기를 살펴본 선행연구(Lee, Morse, & Kim, 2021)에서 가장 역량이 발전되었고, 간호사를 대상으로 팬데믹 시대에 재난 위기 상황을 이겨내는 윤리의식이 나타난 선행연구(Kong, 2021)에서도 환자안전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것과 유사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간호사들은 임상실무현장에서 환자안전사건 위기에도 불구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환자안전역량이 증진되는 발전을 거듭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Kong (2021)의 연구 에 따르면 간호윤리는 간호전문직관을 통해서 사명감과 더불어 발휘되어서 환자안전역량 간호 행위를 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마련한다고 하였으므로 추후에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있어 간호전문직관 함양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선행 연구(Kim et al., 2021;Lee et al., 2021;Yoo & Kim, 2021)에서 신규간호사부터 경력간호사에 이르기까지 경력이 많을수록 높은 환자안전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현실 상황을 주목한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환자안전역량은 단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는 선행연구(Kim et al., 2021)를 살펴봤을 때, 경력간호사가 다빈도의 환자안전 사건 사례를 통해서 경험적 지식과 더불어 반복되는 반복 교육을 통한 지식과 환자안전역량을 위한 수행능력이 향상되는 현상을 뒷받침해주는 결과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환자안전역량 증진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 을 검토해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성이 재확인 되었다고 생각된다. 그 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원내 교육뿐만 아니라 원외 교육의 하나인 보수교육을 시행하는 대한간호협회의 KNA연수원과 같은 조직의 교육을 통해서 기존의 환자안전역량 증진 교육뿐 아니라 간호사 및 전문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또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환자안 전역량증진 교육이 확대되고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본 연구결과는 선행연구(Lee & Ji, 2021)의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이 경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의사소통 및 셀프리더십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난 결과도 유사한 맥락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이는 환자안전사건 대처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서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한 선행연구(Mok & Kim, 2020)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 적용된 시나리오 사례는 최대한 실제와 유사한 사례로 현실감 있게 느껴지게끔 타당하게 구성되었기 때문에 의사소통능력을 증진 시키고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는데 뚜렷한 효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추후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증진을 위한 상위수준의 교육을 개발 및 적용할 때에 시나리오 개발에 있어서 실제 임상의 사례가 최대한 반영되는 것이 교육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며, 더 나아가 병원평가에서 제시하는 환자안전 실무지침 등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Koo (2021)의 연구에서는 경력간호사라고 해도 상황에 따라서 투약오류와 같은 환자안전사건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다소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투약 오류의 원인으로 반복적인 업무에 의한 부주의 등의 개인적 요인과 의사소통 문제 등의 조직적 요인으로 나뉘어진다. 그중, 수술실 및 회복실의 경우에는 설사 경력간호사라 해도 투약할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에 투약오류와 같은 환자안전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환자안전사건을 과거에 경험한 이후에도 환자안전사건이 반복해서 발생할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한 간호사가 역량이 낮은 간호사라는 인식을 하는 것은 간호사 스스로에게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발휘하는 데 있어서 갈등 및 방해조건이 될것이라고 생각된다. 더 나아가 환자안전사건을 극복하지 못한 간호사는 실패하거나 역량이 낮은 간호사라는 조직 안에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 ‘책임성’과 ‘비난하지 않기’ 사이의 균형을 위한 공정 문화(Just Culture)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Wachter & Gupta, 2018)고 하였다. 또한, 지속 가능한 환자 안전역량 간호 성취 강화를 위해서 간호조직 및 병원조직 전체 측면에서 환자안전역량 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 모두를 긍정적으로 지지하고, 성취에 따른 적절한 보상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은 환자안전사건 발생과 위기가 시작된다 하더라도 환자안전역량 간호 향상을 위한 과정을 통해서 결국,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향상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 실무현장에 재직 중인 간호사들의 경험이 나타난 것이 간호실무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질적 메타 합성을 통해 각 질적 연구의 고유성을 존중하면서 핵심개념의 도출, 전환, 통합을 통해 결과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의 메타합성에서 사용된 질적연구 6편은 국내에서 출간된 논문으로서 2014∼2021년에 수행되었고 기존에 시도하지 않았던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의 주요 주제를 드러내어 심층적인 이해를 이끌어낸 것이 간호 연구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메타합성에서 사용된 질적연구는 국내에서 시행한 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했기에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을 중심으로 한 질적메타합성 연구와 정확한 의미로 비교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에 관한 심층적인 이해를 하고자 6개의 질적 연구를 분석 및 합성하였다. 질적 메타합성 연구 방법에 따라 간호사의 관점에서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에 관련된 조건, 전반적인 흐름, 관련 요인 등을 토대로 공통이 되는 속성을 도출한 결과 3개의 합성된 주제와 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간호사의 의미 있는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을 확인해봄으로써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임상실무현장에 적용 및 활용하는 방 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활용 한 간호사를 중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한 교육방법으로 개발한다면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본 연구에서 국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의 의미를 확인하였으므로 국외 간호사의 경험과의 비교 연구 또는 국내외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간호 경험의 통합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최종 중심의미로 나 타난 ‘환자안전역량 간호의 확장’ 및 그 역량을 강화 할 수 있도록 임상실무현장에서 간호사를 교육하고 있는 교육전담간호사를 비롯한 임상실습 전담교원 등을 위한 환자안전역량 교육 정보 및 교육 자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요 구된다.

    Appendix: List of Studies Synthesized

    • A1. Kim, Y. M. (2020). Nurse’s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accid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Quality Research, 5(1), 26-39.

    • A2. Cho, H. M. (2020). Clinical nurse’s safety management experiences with old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2(2), 105-116.

    • A3. Lee, M. J., & Kang, H. K. (2019).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accident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2), 139-147.

    • A4. Kim, Y. J. (2017). Nurse’s experiences of inpatients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24(2), 106-117.

    • A5. Park, K. O., Kim, J. K., & Kim, M. S. (2015). Operating room nurse’s experiences of securing for patients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45(5), 761-772.

    • A6. Lee, T. K., Kim, E. Y., & Kim, N. H. (2014). A phenomenological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accident in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 35-47.

    Figure

    JKSSN-12-1-17_F1.gif
    PRISMA Flow Chart

    Table

    Study Characteristics
    Result of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C=Can't tell; Y=Yes
    Themes and Sub-themes form the Initial Finding in the included Studies

    Reference

    1.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4). Methods guide for effectiveness and comparative effectiveness reviews (Report No. 10(14)‐EHC063‐EF):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Publication: Rockville, MD, USA.
    2. Baek, O. J. , & Shin, S. H. (2021). The moderating effect of patient safety knowled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experience and patient safety perception for patients in primary care institution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3(4), 387-398.
    3. Hannes, K. (2011). Critical apprais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J. Noyes et al. (Ed.), Supplementary Guidance for Inclus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Cochrane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1 (updated August 2011). Cochrane Collaboration Qualitative Methods Group.
    4. Jang, H. N. (2013).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patient safety competence assessment tool. Ma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 Kim, J. E. , Song, J. E. , Ahn, J. A. , & Boo, S. J. (2021).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4(2), 12-23.
    6. Kim, K. K. , Song, M. S. , Rhee, K. S. , & Hur, H. K. (2006). Study on factors affecting nurses’ experience of non-reporting inci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2(3), 454-463.
    7. Kim, M. J. , & Kim, J. K. (201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0), 268-279.
    8. Kim, M. R. (2011).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1(1), 1-8.
    9. Kim, S. G. , & Kang, D. H. S. (2022). The effect of perception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rofessional autonomy and safety climat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on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4), 715-724.
    10. Kong, B. H. (2021). Nursing ethics during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ethics of care.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24(3), 303-315.
    11. Koo, M. J. (2021). Analysis of medication errors of nurses by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7(1), 109-119.
    12.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8, January). Measurement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Korea, 1-82. Seoul.
    13. Lee, G. M. , & Ji, E. S. (2021). The influence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Focusing o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7(2), 114-123.
    14. Lee, J. J. , Jeon, M. Y. , Lee, J. J. , Kim, G. N. , & Jeong, D. I. (2021). Effect of dialysis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isk factor and patient safety competenc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7(2), 210-219.
    15. Lee, J. M. , & Yang, Y. K. (2022). Factors affecting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0), 319-330.
    16. Lee, S. E. , Morse, B. L. , & Kim, N. W. (2021). Patient safety educational interventions: A systematic review with recommendations for nurse educators. Nursing Open, 9(4), 1967- 1979.
    17. Lee, S. H. , & Lee, Y. H. (2016).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4), 2215-2229.
    18. Lee, Y. H. , Lee, Y. J. , Ahn, J. A. , & Kim, H. J. (2022).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and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5(2), 1-13.
    19. Moher, D. , Liverati, A. , Tetzelaff, J. , & Altman, D. G. (2009). Reprint-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The PRISMA statement. Physical Therapy, 89(9), 873-880.
    20. Mok, S. H. , & Kim. S. H. (2020). Development and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communication to prevent patients from safety accident by nurses working in the public medical institut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21(10), 115-126.
    21. Sandelowski, M. , & Barroso, J. (2007). Handbook for synthesising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Springer.
    22. Thomas, J. , & Harden, A. (2008). Methods for the thematic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systematic reviews. BioMed Central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8, 45.
    23. Wachter, M. R. , & Gupta, K. (2018). Understanding patient safety (3rd ed.).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July 20). WHO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 Multi-professional edition. Retrived February, 2, 2023. from https://www.who.int/health-topics/patient-safety#tab=tab_1.
    25. Yoo, J. B. , & Kim, J. S. (2021). Effect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perianesthsia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3(4), 1923-1936.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