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6087(Print)
ISSN : 2713-7414(Onlin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2 No.1 pp.73-86
DOI : https://doi.org/10.17333/JKSSN.2024.12.1.73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Self-confidence in Simulation Learning Based on National League for Nursing/Jeffries Simulation Framework
NLN Jeffries Simulation Framework 기반의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의 영향요인

Jung-Suk Kim*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Hyejeon College

김정숙*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 Kim, Jung-Suk Department of Nursing, Hyejeon College, 19 Daehak 1-Gil, Hongseong, Chungnam-do, 32244, South Korea Tel: +82-41-630-5340, Fax: +82-41-630-5296, E-mail: jsk@hj.ac.kr
20240513 20240609 20240620

Abstract


Purpose: Improving students’ self-confidence is an important strategy in simulation learni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self-confidence in simulation learning based on the Jeffries Simulation Framework.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140 senio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on students’ self-confidence were collected for student/ facilitator factors (satisfaction on major, overall grade average, and facilitator satisfaction), educational practice factors (active learning, collaboration, diverse ways of learning and educational goals), and simulation design characteristics factors (objectives/information, support, problem solving, feedback, and fidelity).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gression model had an adjusted R2 of .61, indicating that education goal, active learning, facilitator satisfaction, and fidel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tudents’ self-confidence in simulation learning. Conclusion: To increase students' self-confidence with simulation learning strategies, it is necessary to design lessons that include educational goals, active learning, improved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ator and fidelity based on the Jeffries Simulation Framework.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시뮬레이션 교육은 임상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며 간호 분야를 포함한 의료교육에서 넓게 보급되고 있다(Walters, Potetz, & Fedesco, 2017).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이론적 지식과 실습을 통합하여 중재를 강화할 수 있는 생산적인 학습이다(Chan, Wong, Yau, & Chan, 2023). 시뮬레이션은 임상환경 현실을 모방하는 활동으로 정의되며 역할극과 마네킹과 같은 장치와 기술을 통해 의사결정과 비판적 사고를 높이고, 지식을 전환하여 시뮬레이션의 안전한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인다(Koukourikos et al., 2021).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능동적인 학습경험을 통한 학습자의 역량개발과 자신감 향상은 임상적응 및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Cowperthwait, 2020). 또한 학습자 자신감은 비판적사고와 몰입도를 높여 의미 있는 학습과정을 만드는 중요한 촉진 도구이다(Chan et al., 2023). 따라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자신감 향상은 학생들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주요 요소이며 발전시켜야 할 교육전략 중 하나이다. 특히 간호학생은 예비 간호사로서 졸업 후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통합적 사고와 적용, 의사 소통, 전문직간의 협력, 간호술기, 업무조정, 리더십 등이 필요하다(Zenani, Sehularo, Gause, & Chukwuere, 2023). 현재 간호교육은 간호학생이 갖추어야 할 간호 지식과 술기가 강조되는 반면 임상실습에서는 환자안전과 권리가 강조되면서 관찰중심의 교육으로 한계점이 있어, 학업성취도 및 학습자 자신감을 감소할 수 있다(Park & Ji, 2018). 이러한 대안으로 임상과 유사한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실제에 근거한 상황학습은 간호술기를 포함한 간호실무능력 향상에 유용한 학습방법으로 학업성취도 및 학습자 자신감을 향상시켜 졸업 후 간호 실무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oukourikos et al., 2021). 그러므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전략은 중요한 요소이다.

    시뮬레이션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안전한 임상환경에 노출되어 능동적으로 지식과 술기를 통합하고 디브리핑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성찰 및 표현함으로 학습자의 자신감이 증가될 수 있다(Moule, 2011). 이러한 시뮬레이션 교육전략은 경험학습이론(Kolb, 1984), 임상적 판단 모델(Clinical judgment model) (Tanner, 2006) 등이 기반이 되어 사용되었다. 이후 시뮬레이션 교육에서는 지식과 술기를 연계하여 통합적 사고를 통한 의사결정과 문제해결 태도를 갖추기 위해 다양한 교육전략이 도입되었으며, 대표적으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학습동기화(Motivated in learning), 웹기반 문제중심학습(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근거기반 시뮬레이션학습(Simulation evidencebased learning) 등을 시도하였다(Kim, Lim, & Lee, 2022;Park & Kim, 2021;Song & Kim, 2023). 이러한 교육전략 적용 시 학습자 자신감은 교육에 많은 영향을 주고, 결과로서도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Lin, Han, Huang, Chen, & Su, 2022).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실무연계와 학습자 자신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전략 도입에는 이론 활용을 추천하고 있다(Irwin, Butler, & Brown, 2023).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서 NLN/Jeffries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National League for Nursing/ Jeffries Simulation Framework, NLN/JSF)(Jeffries, 2005)은 시뮬레이션 개발, 시행,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교육전략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Salifu, Christmals, & Reitsma, 2022). 2005년 개발한 간호 교육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NLN/JSF)는 2007년과 2012년 두 번의 개정 후 시뮬레이션 교육전략에 유용한 모델로 인정되고 있다(Cowperthwait, 2020). NLN/JSF은 시뮬레이션 교육설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구성요소로써 학습자요인, 교수자요인, 교육실무요인이 있으며 시뮬레이션 설계특성으로 수업의 목표와 정보(Objectives/information), 충실도(Fidelity), 복잡성(Complexity), 지지(Cue), 피드백(반영)(Debriefing)을 포함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지식(Knowledge), 술기(Skill performance), 학습만족도(Learner satisfaction), 비판적사고 (Critical-thinking), 자신감(Self-confidence)을 포함하고 있다(Jeffries, 2005). NLN/JSF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연구는 교육 설계과정을 통해 목표, 정보제공, 피드백(반영), 충실도를 평가하거나 (Yoo & Kim, 2018),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을 위해 실습만족도, 자신감이 활용되었다(Kim, 2021). 이외에도 NLN/JSF을 통한 학습자의 간호역량에 대한 구조모형 연구가 있다(Park & Ji, 2018). NLN/ JSF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기대결과인 자신감은 간호 수행에 직접적 영향을 주며, 자신감은 임상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하였다 (Mills, Field, & Cant, 2009). 그러므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에 대한 영향요인을 관찰하고 규명하는 것은 교육전략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NLN/JSF 기반의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규명함으로써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NLN/JSF을 중심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학습자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및 수업관련 특성에 따른 학습자 자신감의 차이를 파악한다.

    둘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요인과 교수자 요인에 따른 학습자 자신감의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교육실무요인과 시뮬레이션 설계요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의 영향요인을 파악한다.

    3. 개념적 기틀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에 영향요인과 변수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NLN/ JSF을 근거로 하여 개념적 틀을 구성하였다(Jeffries, 2005).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Figure 1과 같으며 NLN/JSF에서는 학습자요인으로 연령, 학습수준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교수자요인으로 인구학적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Jeffries, 2005).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효과적 학습을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은 중요하며 두 요소는 시뮬레이션 모델에 포함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Park & Ji, 201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Yoo & Kim, 2018)를 토대로 유의한 결과를 제시한 전공만족도, 평균성적을 학습자 요인에 포함하였고, 교수자요인은 교수만족도로 구성하였다. 교육실무요인인 시뮬레이션 수업방법으로 능동적 학습, 협력, 교육의 다양성, 교육목표를 포함하였다. 시뮬레이션 설계특성으로 학습정보와 학습자의 지지, 문제해결, 디브리핑의 피드백, 현실성을 포함하여 결과요인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에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조사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C도에 소재한 일 대학교의 간호 학과에서 정규 시뮬레이션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4학년 재학생으로 본 연구의 방법과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 연구 참여에 동의한 156명이다. 대상자의 표본크기는 간호시뮬레이션 수업에서 학습자신감의 영향요인을 파악한 선행연구(Kim, 2021)를 근거로 G*Power 3.1.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위한 양측검정, 유의수준(α) .05 일 때, 검정력 (1-β) .80, 효과의 크기(f2) .15 (medium), 예측요인 13개로 설정하여 산출했을 때 최소 표본의 크기는 131명으로 산출되었다. 불성실한 응답자 16명을 제외한 총 14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한 도구들은 도구 개발자들로부터 사용승인을 받았다.

    1) 일반적 특성 및 수업경험 특성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과 연령을 포함하였고 선행연구(Park & Ji, 2018)를 근거로 수업경험 특성에 시뮬레이션 학습동기를 높음(아주 높음, 높음), 중간(보통), 낮음(낮음, 아주 낮음)로 재분류하였고, 임상기반 시뮬레이션 수업경험은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1, 2학기로 분류하였다. 비판적사고 및 문제중심학습 수업경험은 유·무로 분류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불안정도는 ‘아주 높음, 높음, 중간, 낮음, 아주 낮음’의 다섯 문항을 ‘높음, 중간, 낮음’ 세 문항으로 재분류하였다.

    2) 학습자요인 및 교수자요인

    학습자요인은 선행연구(Park & Ji, 2018)를 근거로 전공만족도와 평균성적을 포함하였다. 전공만족도는 ‘만족, 보통, 불만족’ 세 문항을 ‘만족과 보통’, ‘불만족’ 두 문항으로 재분류하였다. 평균성적은 직전학기까지의 평균성적으로 4.0∼4.5, 3.5∼4.0, 3.0∼3.5, 3.0미만의 네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교수자요인은 선행연구(Yoo & Kim, 2018)를 근거로 시뮬레이션 교육의 교수만족도이며, ‘만족, 보통, 불만족’ 세 문항을 ‘만족과 보통’, ‘불만족’인 두 문항으로 재분류하였다.

    3) 교육실무요인

    시뮬레이션 교육 방법에 해당하는 교육실무요인은 미국간호연맹(National League for Nursing, NLN)(2005)에서 개발한 시뮬레이션 교육실무 척도 (Education Practice Questionnaire in simulation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Yoo, 2016)로 사용하였다.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영역으로 능동적 학습(10문항), 협력(2문항), 교육의 다양성(2문항), 교육목표(2문항)로 구성되었다.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시뮬레이션 교육 방법이 잘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Jeffries와 Rizzolo (2006)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86, Yoo (2016)의 연구에서 .91, 본 연구에서는 .84이었다.

    4) 시뮬레이션 설계특성

    시뮬레이션 설계특성 도구는 NLN(2005)에서 개발한 시뮬레이션 설계 척도(Simulation Design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Yoo, 2016)로 사용하였다.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영역으로 학습정보와 내용(5문항), 지지(4문항), 문제해결(5문항), 피드백(4문항), 현실성(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시뮬레이션 설계가 잘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Jeffries와 Rizzolo (2006)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92, Yoo (2016)의 연구에서 .90, 본 연구에서는 .91이었다.

    5) 학습자 자신감

    자신감은 NLN (2005)에서 개발한 학습자 자신감 척도(Student Self-confidence in Learning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Yoo, 2016)로 사용하였다. 학습자 자신감은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자 자신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Jeffries와 Rizzolo (2006)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87, Yoo (2016)의 연구에서 .72, 본 연구에서는 .81이었다.

    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2022년 4월 D 대학교 기관생명 윤리위원회 승인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IRB No: 1044371-202203-HR- 004-01).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2년 9월 5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시뮬레이션 수업 예정인 4학년 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H대학교 간호학과 시뮬레이션 센터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전 연구자가 대상자들에게 연구목적과 절차를 설명하였고, 학생들의 자율권을 보장하기 위해 연구 참여 의사와 상관없이 수업 이수과정과 성적평가에 대한 불이익이 없음을 충분이 설명하였다. 대상자 동의 후 서면동의서를 작성하고,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발적 동의 후 연구가 진행되었고, 연구기간, 방법, 참여에 대한 이익, 익명성 보장, 답례 등에 대한 구체적 설명 후 서면 설명문을 제공하고 설명하였다. 설문지는 자가 보고식 방법으로 약 20분 정도 소요됨을 설명문에 포함하였다. 또한 연구진행 시 대상자는 일련의 번호로 명기하고 설문지는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연구정보가 포함된 컴퓨터는 암호를 설정하여 관리됨을 설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종료일로부터 3년간 보관하고 이후 모두 파쇄 처리 하여 익명성 유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5. 자료분석방법

    자료분석은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수업경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인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학습자 자신감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수업경험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2) 학습자요인과 교수자요인은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학습자 자신감에 따른 학습자요인과 교수자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 3) 학습자 자신감과 교육실무요인(능동적 학습, 협력, 교육의 다양성, 교육목표) 및 시뮬레이션 설계특성 (학습정보와 내용, 지지, 문제해결, 피드백, 현실성)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 4) 개념적 기틀에서 제시한 변수들이 학습자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과 수업경험 특성에 따른 학습자 자신감의 차이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6.4세이며, 85.7%가 여성이었다. 수업경험 특성에서 시뮬레이션 교육 동기는 ‘중간’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44.3% 이었고, ‘낮음’, 28.6%, ‘높음’ 27.1%로 나타났다. 임상기반 시뮬레이션 수업경험을 두 학기 진행한 대상자는 97.9%로 많았으며, 비판적사고 수업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94.3%, 문제중심학습 수업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95.0% 이였다. 시뮬레이션의 불안정도는 ‘중간’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45.7%이었고, ‘높음’ 27.9%, ‘낮음’ 26.4% 순서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수업경험 특성 중 시뮬레이션 교육 동기에 따른 학습자 자신감은 중간 군이 4.1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높은 군 4.08점, 낮은 군 3.73점 순서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2.21, p<.001). 사후검정 결과 학습동기가 낮은 군에 비해 중간과 높은 군의 학습자 자신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시뮬레이션 수업의 불안정도에 따른 학습자 자신감은 불안이 중간 군에서 4.21점으로 가장 높았고, 높은 군 4.01점, 낮은 군이 3.79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F=8.23, p<.001). 사후검정 결과 불안이 낮은 군에 비해 중간이거나 높은 군의 학습자 자신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able 1).

    2. 학습자요인 및 교수자요인에 따른 학습자 자신감의 차이

    학습자요인 중 전공만족도는 ‘만족 및 보통’이 63.6%, ‘불만족’은 36.4%로 나타났다. 평균성적은 3.5∼4.0점이 36.4%로 가장 많았고, 3.0∼3.5점과 3.0점 미만의 학생이 각각 22.9%였으며 4.0∼4.5점의 학생이 17.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수자 요인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교수만족도는 ‘불만족’이 50.7%, ‘만족 및 보통’이 49.3%로 나타났다.

    학습자요인 중 전공만족도에 따른 학습자 자신감은 만족 및 보통인 군이 4.11점으로 불만족군의 학습자 자신감 3.83점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3.26, p=.002). 교수자요인인 교수만족도에 따른 학습자 자신감은 만족 및 보통인 군이 4.16점으로 불만족 군의 학습자 자신감 3.86점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03, p<.001) (Table 2).

    3. 학습자 자신감과 교육실무요인, 시뮬레이션 설계특성간의 상관관계

    학습자 자신감은 교육실무요인인 능동적 학습 (r=.64, p<.001), 협력(r=.48, p<.001), 교육의 다양성(r=.53, p<.001), 교육목표(r=.62,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시뮬레이션 설계특성에서 학습정보와 내용(r=.47, p<.001), 지지(r=.47, p<.001), 문제해결(r=.60, p<.001), 피드백(r=.57, p<.001), 현실성(r=.47, p<.001)과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Table 3).

    4.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의 영향 요인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NLN/JSF을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므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귀모형에 투입된 독립변수는 시뮬레이션 교육 동기와 불안, 전공만족도, 교수만족도, 능동적 학습, 협력, 교육의 다양성, 교육목표, 학습정보와 내용, 지지, 문제해결, 피드백, 현실성을 투입하였다. 독립변수 중 수업경험 특성에 포함된 시뮬레이션 교육 동기와 불안은 낮은 군을 더미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단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던 학습자 및 교수자요인의 전공만족도와 교수만족도에서 불만족 군을 더미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의 가정을 검정하기 위해 모든 변수의 정규성과 선형성을 확인하였고 Durbin-Watson 통계량은 2.16으로 기준 값인 2에 가까워 자기상관에 문제가 없었다. 표준화 잔차의 산포도와 p-p plot을 통하여 잔차의 등분산성과 정규성을 확인하였고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수는 절대값 .03∼.30으로 모든 변수들이 독립적임을 확인하였다. 공차한계는 .53∼1.0으로 0.1이상이었으며, 분산팽창인자 (variance inflation factor) 값은 1.0∼1.8로 10보다 작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었다. 특이값 검증 결과 표준화 잔차가 절대값 3미만이며 Cook’s distance의 최댓값도 .17로 절대값 1을 초과하지 않아 특이 값이 없음을 확인하였다(Pardoe, 2020).

    1단계에서는 수업경험 특성 중 학습자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동기와 불안을 투입하였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3.57, p=.002). 1단계 모형의 설명력은 2.0% 였다.

    2단계는 학습자(전공만족도) 및 교수자요인(교수 만족도)을 추가로 투입하였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9.59, p<.001). 전공만족도(β= -.18, p=.033)와 교수만족도(β=-.36, p<.001) 모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0.0%로 증가하였다.

    3단계 회귀분석에서는 교육실무요인인 능동적 학습, 협력, 교육의 다양성, 교육목표 변수를 투입하였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7.30, p<.001). 교육실무 변수의 모형설명력은 40.0%이며, 학습자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교육목표 (β=.33, p<.001), 능동적 학습(β=.27, p=.002)순으로 나타났다. 3단계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60.0% 로 나타났다.

    최종 모형인 4단계에서는 시뮬레이션 설계특성 변수로 학습정보와 내용, 지지, 문제해결, 피드백, 현실성을 투입하였을 때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17.21, p<.001), 현실성(β=.15, p=.048) 변수만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설계특성 변수를 포함한 4단계 모형의 설명력은 61.0%였으며, 최종모형에서 학습자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교육목표(β=.29, p<.001), 능동적 학습 (β=.23, p=.015), 교수만족도(β=-.17, p=.008), 현실성(β=.15, p=.048)의 순서로 나타났다(Table 4).

    Ⅳ. 논 의

    본 연구는 NLN/JSF을 기반으로 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 하였다. 교육에서 자신감은 수업의 내용과 원리에 대해 자신 있게 알고 수행하는 것으로 학습한 지식과 기술을 실제직무에 활용하는 바탕이 되는 요소를 의미한다(Tomlinson & Imbeau, 2023). 따라서 학습자 자신감은 지식이나 기술을 전이하는데 동기화 되는 부분으로 간호학생들이 전공지식과 간호술기를 통합하고 임상상황에 적용하는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Koukourikos et al., 2021). 그러므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중요한 요소인 학습자 자신감을 파악하여 그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는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 자신감의 평균은 5점 만점에 4.01점이었다. 동일한 도구로 측정한 선행연구(Park & Ji, 2018)에서 3.84점에 보다 약간 높았으며, 대상자를 3, 4학년으로 수행한 Yoo와 Kim (2018)의 연구에서 3.64점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상자의 학년에 대한 부분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나타난 선행연구(Park & Ji, 2018)는 모든 대상자가 4학년이었으나, Yoo와 Kim (2018)의 연구에서는 3학년(51.0%)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학년에 의한 양적인 학습경험이 학습자 자신감에 중요한 부분이며 특히 실습교육에 있어서는 반복적 실습과 노출이 자신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Labrague, McEnroe‐ Petitte, Bowling, Nwafor, & Tsaras, 2019)와 연관된다. 따라서 학년별 시뮬레이션실습을 단계적으로 구성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것은 학습자 자신감 향상에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목표, 능동적 학습, 교수만족도, 현실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교육 목표는 학습자 자신감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교육목표는 학습자가 배움을 통해 변화 하는 방향성을 포함하고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을 제공한다(Hong, 2022). 이는 대학교육과정의 운영 개선방안을 탐색한 Hong (2022)의 연구에서도 수업과정에서 교육목표는 교육의 결과인 학습 성과를 성취하기 위한 지표이자 행동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핵심요소로 제시한 결과와 일치한다. 특히 실습교육에서 목표는 학습자가 상황에 맞춰 지식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며 명확하고 뚜렷하게 제시되도록 하고 있다(Jeong, 2016).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은 임상상황을 통한 시나리오 기반의 실습교육으로 주제로 선정된 하나의 임상상황에서도 다양한 상황전개 및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때 임상상황에 대한 다양한 부분을 모두 반영하고자 한다면 학습자의 능력과 수준이 반영되지 못하는 지나친 교육이 될 수 있다 (Watts et al., 2021). 즉, 교육목표의 정확한 제시없이 시나리오 상황의 복잡성과 전개의 다양성을 모두 포함한다면 학생들은 시나리오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혼돈할 수 있으며 간호수행에 자신감이 감소될 수 있다(Watts et al., 2021). 따라서 시뮬레이션에서 교육목표는 학습자의 학년과 학습성과에 따라 정확한 방향성이 중요하며 이는 학습자 자신감으로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요인은 능동적 학습이었다. 능동적 학습은 교육상황과 관련된 요인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교수자와 상호작용함으로써 학습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요소이다(Walters et al., 2017). 이 때 시뮬레이션 운영 상황인 능동적 학습의 시간제한은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에게 중요한 요소이므로 시나리오 운영에 제한된 시간을 통해 학습자의 집중력과 학습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고 제시하 였다(Jeffries & Rizzolo, 2006). 또한 능동적 학습을 통해 학습자는 실습몰입을 경험할 수 있어 최적의 학습동기와 학습효과를 이끌 수 있는 동력이 된다(Cowperthwait, 2020). 따라서 능동적 학습을 위한 시나리오 운영을 위해 시나리오 개발단계에서 부터 정확한 운영시간을 배정하여 몰입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다.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생들의 교수만족도는 학습자 자신감에 세 번째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만족도가 ‘불만족’일수록 학습자 자신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뮬레이션 교육의 교수만족도가 수업운영과 교수방법에 따라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와 일치 한다(Agha, Alhamrani, & Khan, 2015). 교수자는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생의 요구를 인식하고 교육목표를 세워 적절한 학습환경을 이끌어주는 지지적 역할을 하는 촉진자이다(Watts et al., 2021).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 역량을 강화하여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 될 수 있다(Park & Ji, 2018). 그러므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의 교수만족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수법 개발, 실습 및 디브리핑 운영을 위한 질 관리 등 교수자의 역량개발도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현실성이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네 번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설계특성에 해당하는 현실성은 가상환경의 현실 반영도를 의미하며, 시뮬레이션 수업의 영향요인을 확인한 Yoo & Kim (2018)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현실성의 수준은 시뮬레이션의 교육환경, 사용되는 기구, 학생들의 참여도에 의해 결정된다(Watts et al., 2021). 시나리오의 사례가 학습자가 이해되도록 하며, 시뮬레이션 교육의 인체모형, 장비, 음성 등과 같은 요소가 갖추어지고, 학습자의 인식, 시나리오 역할에 대한인지 등을 높여 현실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Watts et al., 2021). 따라서 현실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임상기반 시나리오의 개발과 교내실습 환경점검 등을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현실성(High-fidelity)을 높여 양질의 실습기회를 제공하는 전략으로 학습자 자신감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단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던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동기와 불안, 전공만족도, 협력, 교육의 다양성, 학습정보와 내용, 지지, 문제해결, 피드백은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Kim, 2021;Park & Ji; 2018, Yoo & Kim, 2018) 본 연구에서는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니었다. 이는 학습자가 경험했던 실습환 경과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시나리오 사례 및 단계에 따른 결과로서 학습자 자신감은 학습환경 및 개인의 내적특성과 높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한 맥락으로 생각된다(Hong, 2022).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의 시나리오 개발단계부터 학습목표를 구체화하고 능동적 학습전개와 현실성 높은 수업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교수만족도를 높여 학습자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개 대학의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둘째, 횡단적조사연구로 학습자 자신감을 설명하는 인과관계를 유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셋째, NLN/JSF을 기반으로 하여 이론적 개념 틀을 포함하고 있어 체계적 접근방법을 확보하도록 하였으나, 단계를 재구성하여 개념 틀로 적용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요인의 변수를 임의 선정한 제한점이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NLN/JSF을 개념적 기틀로 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습자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규명함으로써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 되었다.

    학습자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4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수업경험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학습자 및 교수자 요인 투입 시 교수만족도가 학습자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실무요인의 변수를 투입한 모형에서는 교육목표와 능동적 학습이 유의하였다. 마지막 4단계는 시뮬레이션 설계특성의 변수를 투입 하였고 현실성이 학습자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변수로 나타났다. 4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모형의 설명력은 61.0%였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학습자가 간호학적 지식과 술기를 연계시키며 통합적 사고를 통한 의사결정과 문제를 해결하는 교육방법으로 임상실습의 제한적인 상황을 보완하고 임상실무 수행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대체방안으로 학습자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은 중요하다. 향후연구에서는 학습자와 교수 자요인의 변수를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이론 및 모델을 적용하여 학습자 자신감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관심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결과를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제언한다.

    Figure

    JKSSN-12-1-73_F1.gif
    Conceptual framework.

    Table

    Self-confidence of Participant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lass Experience (N=140)
    PBL=Problem-based learning
    The Differences of Self-confidence according to Student and Facilitator Factors (N=140)
    Inter-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Educational practice Factors and Design Characteristics Factors (N=140)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Self-confidence in Simulation Learning (N=140)

    Reference

    1. Agha, S. , Alhamrani, A. Y. , & Khan, M. A. (2015). Satisfaction of medical students with simulation based learning. Saudi Medical Journal, 36(6), 731-736.
    2. Chan, H. M. , Wong, S. L. , Yau, S. Y. , & Chan, S. H. (2023). Use of prebriefing in simulation-based experience for nursing education: A scoping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care Simulation, 11(8), 1-16.
    3. Cowperthwait, A. (2020). NLN/Jeffries simulation framework for simulated participant methodology.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42, 12-21.
    4. Hong, H. J. (202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analysis of the learning objectiv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6(5), 291-300.
    5. Irwin, P. , Butler, S. , & Brown, R. A. (2023). Implementing the undergraduate simulation framework for large nursing cohorts: A program evalu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80, 1-8.
    6. Jeffries, P. R. (2005). A frame 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6(2), 96-103.
    7. Jeffries, P. R. , & Rizzolo, M. A. (2006). Designing and implementing models for the innovative use of simulation to teach nursing care of ill adults and children: A national multi-site, multi-method study. New York, NY: National League for Nursing.
    8. Jeong, H. H. (2016).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conceptions of good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college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 43(1), 231-259.
    9. Kim, E. J. (2021). The influenc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 Instruction, 21(14), 711-720.
    10. Kim, J. S. , Lim, E. S. , & Lee, Y. (2022). Effect of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learning experience and anxiety.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10(2), 65-78.
    11. Kolb, D. A. (1984).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Upper Sadle River: Prentice Hall.
    12. Koukourikos, K. , Tsaloglidou, A. , Kourkouta, L. , Papathanasiou, I. V. , Iliadis, C. , Fratzana, A. , et al. (2021). Simulation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Acta Informatica Medica, 29(1), 15-20.
    13. Labrague, L. J. , McEnroe‐Petitte, D. M. , Bowling, A. M. , Nwafor, C. E. , & Tsaras, K. (2019). High‐fidelity simulation and nursing students’ anxiety and self‐confidence: A systematic review. In Nursing Forum, 54(3), 358-368.
    14. Lin, C. , Han, C. , Huang, Y. , Chen, L. , & Su, C. C. (2022). Effectiveness of the use of concept maps and simulated cases as a teaching-learning strategy in enhancing the learning confidence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A qualitative approach. Nurse Education Today, 115, 105418.
    15. Mills, J. , Field, J. , & Cant, R. (2009). The place of knowledge and evidence in the context of Australian general practice nursing.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6(4), 219-228.
    16. Moule, P. (2011). Simulation in nurse educ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Nurse Education Today, 31(7), 645-646.
    17.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5, December 22). Description of Available Instruments. Ret rieved January 10, 2022, from https://www.nln.org/education/teaching-resources/tools-and-instruments
    18. Pardoe, I. (2020). Applied regression modeling. New Jersey, NJ: Wiley.
    19. Park, M. H. , & Kim, E. J. (2021). Effect of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the structured discussion-based problem bas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9(2), 47-59.
    20. Park, S. J. , & Ji, E. S. (2018). A structural model on the nursing competencies of nursing simulation lear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5), 588-600.
    21. Salifu, D. A. , Christmals, C. D. , & Reitsma, G. M. (2022). Frameworks for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imulation‐ based nursing education: A scoping review. Nursing & Health Sciences, 24(3), 545-563.
    22. Song, Y. A. , & Kim, M. (2023).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A non-randomized tria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9(3), 229-238.
    23. Tanner, C. A. (2006).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6), 204-211.
    24. Tomlinson, C. A. , & Imbeau, M. B. (2023). Leading and managing a differentiated classroom (2nd ed.). Alexandria, VA: ASCD Books.
    25. Walters, B. , Potetz, J. , & Fedesco, H. N. (2017). Simulations in the classroom: An innovative active learning experience.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3(12), 609-615.
    26. Watts, P. I. , McDermott, D. S. , Alinier, G. , Charnetski, M. , Ludlow, J. , Horsley, E. , et al. (2021). Healthcare simulation standards of best practiceTM simulation desig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8, 14-21.
    27. Yoo, J. H. (2016).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clinical competency in simulation-based education-based on Jeffries's simulatio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28. Yoo, J. H. , & Kim, Y. J. (2018).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flow experience during simulation-based learning.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4, 1-8.
    29. Zenani, N. E. , Sehularo, L. A. , Gause, G. , & Chukwuere, P. C. (2023). The contribution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developing competent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BMC Nursing, 22(1), 315.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submission.kssn.or.kr

    3. KSSN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4. Contact us

      simulationkorea@gmail.com(General)
      simulationkorea.edit@gmail.com(Publishing)
      kana20th@naver.com
      jkana@kanad.or.kr